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읽기교재의 텍스트 구성방안 = A Study on designing Texts for Korean reading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8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give a suggestion as to how to design various text types in a Korean reading textbook. To develop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various texts which are used in the same discourse community must also be adapted in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field as a foreign language. In this reason first, Brinker and Ko-yungkeun's textlinguistics theori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field will be discussed. And then secondly, based on these theories, I will further classify the texts of 6 Korean reading textbooks (levels 1 to 6 published by Yonsei University Press) into the six text types and then mention the necessity for text types in Korean reading texts. Lastly, I attempt to present various texts in view of diversity of text types from levels 1 to 6. This paper should hopefully be a little contribution for teaching Korean reading classes effectively and construction Korean reading text books as a syllabu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give a suggestion as to how to design various text types in a Korean reading textbook. To develop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various texts which are used in the same discourse community must also be adapted in the Korean readi...

      This paper aims to give a suggestion as to how to design various text types in a Korean reading textbook. To develope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various texts which are used in the same discourse community must also be adapted in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field as a foreign language. In this reason first, Brinker and Ko-yungkeun's textlinguistics theori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field will be discussed. And then secondly, based on these theories, I will further classify the texts of 6 Korean reading textbooks (levels 1 to 6 published by Yonsei University Press) into the six text types and then mention the necessity for text types in Korean reading texts. Lastly, I attempt to present various texts in view of diversity of text types from levels 1 to 6. This paper should hopefully be a little contribution for teaching Korean reading classes effectively and construction Korean reading text books as a syllabu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 읽기」(1∼5급) in: 「한국어독본 고급(5,6급)」"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2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52-92, 2004

      3 김지영, "한국어 작문의 상호 협력적 교수-학습 방안 연구" 57-82, 2002

      4 서정학,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2007

      5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6 고영근, "텍스트이론,-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아르케 1999

      7 김갑년, "텍스트유형의 화행론적 분류" 한국독일어문학회 74 : 500-523, 2000

      8 클라우스 브링커,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4

      9 텍스트 언어학회 지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07

      10 윤석민, "텍스트언어학과 문학작품 분석" 한국어학회 (25) : 53-88, 2004

      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 읽기」(1∼5급) in: 「한국어독본 고급(5,6급)」"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2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52-92, 2004

      3 김지영, "한국어 작문의 상호 협력적 교수-학습 방안 연구" 57-82, 2002

      4 서정학,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2007

      5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6 고영근, "텍스트이론,-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아르케 1999

      7 김갑년, "텍스트유형의 화행론적 분류" 한국독일어문학회 74 : 500-523, 2000

      8 클라우스 브링커,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4

      9 텍스트 언어학회 지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07

      10 윤석민, "텍스트언어학과 문학작품 분석" 한국어학회 (25) : 53-88, 2004

      11 볼프강하이네만, "텍스트 언어학 입문" 도서출판 역락 2001

      12 고익환, "유형-분류기준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독일어문학회 8 : 5-31, 1998

      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14 김정숙, "담화능력배양을 위한 읽기 교육 방안" 국제 한국어 교육학회 7 : 295-309, 1996

      15 김지영, "담화능력 배양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과제 개발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09-130, 2005

      16 김익두,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00

      17 박진용, "국어과 교육의 텍스트 유형분류" 청람어문교육학회 20 : 261-282, 1998

      18 이도영,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2 : 249-276, 2007

      19 주옥파,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65-188, 2004

      20 Brown, Gillian, "Discours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