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티파티운동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 Tea-party Movement and the Change of US Party Poli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4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0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압승에 크게 기여한 티파티운동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러한 변화가 거시적인 차원에서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 논의하였다. 티파티운동에 힘입은 공화당의 중서부 지역에서의 성공은 기왕에 지탱되어 왔던 미국 선거의 지형이 향후 변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티파티운동은 공화당 내부에도 변화를 가져와 예전의 사회적 보수주의와 경제적 보수주의 간의 각축이 보다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각축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지만 이번 중간선거의 결과는 공화당이 티파티운동 지지자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보다 폭넓은 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0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압승에 크게 기여한 티파티운동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러한 변화가 거시적인 차원에서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에 어떠한 함의를 주...

      이 글은 2010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압승에 크게 기여한 티파티운동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러한 변화가 거시적인 차원에서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 논의하였다. 티파티운동에 힘입은 공화당의 중서부 지역에서의 성공은 기왕에 지탱되어 왔던 미국 선거의 지형이 향후 변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티파티운동은 공화당 내부에도 변화를 가져와 예전의 사회적 보수주의와 경제적 보수주의 간의 각축이 보다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각축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지만 이번 중간선거의 결과는 공화당이 티파티운동 지지자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보다 폭넓은 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ea-party movement” and its contribution to the victory of the Republican party in 2010 midterm ele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article claims several implications of this movement for the change in US party politics. It is suggested that Republican success with the support of “Tea-party movement” may lead to the possible partisan realignment, but its consequences are dependent upon the intra-party conflicts of GOP between social conservatives and economic conservatives. At this moment, it can be said that the Republican party, with its electoral success, paved the way to broaden its base of support among the US electorate.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ea-party movement” and its contribution to the victory of the Republican party in 2010 midterm ele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article claims several implications of this movement for the change in ...

      This article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ea-party movement” and its contribution to the victory of the Republican party in 2010 midterm ele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article claims several implications of this movement for the change in US party politics. It is suggested that Republican success with the support of “Tea-party movement” may lead to the possible partisan realignment, but its consequences are dependent upon the intra-party conflicts of GOP between social conservatives and economic conservatives. At this moment, it can be said that the Republican party, with its electoral success, paved the way to broaden its base of support among the US elector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1980년대 이후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 Ⅲ. 티파티운동의 등장과 특성
      • Ⅳ. 티파티운동과 2010년 중간선거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1980년대 이후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 Ⅲ. 티파티운동의 등장과 특성
      • Ⅳ. 티파티운동과 2010년 중간선거
      • Ⅴ. 티파티운동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민, "전후 미국 정당기반 재편과 정당체계의 변화" 32 (32): 223-241, 1998

      2 유성진, "의회 개혁과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미국 공화당 의회 하 상임위원회 제도와 운영의 변화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8 (18): 117-139, 2008

      3 유성진, "미국정치 보수화의 한 단면 : 기독교 우파의 부상과 공화당 지지기반의 재편"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149-172, 2008

      4 정진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뉴딜연합의 약화를 중심으로" 30 (30): 199-222, 1996

      5 서현진, "문화적 쟁점과 미국 정당 지지기반 양극화, in 미국정치의 분열과 통합" 207-240, 2008

      6 최준영, "공화당의 남벌(南伐)전략과 남부의 정치적 변화" 신아시아연구소 14 (14): 154-177, 2007

      7 Morris, Dick, "“The New Republican Right.”Real Clear Politics (October 20)"

      8 Lau, Richard R., "Two Explanations for Negativity Effects in Political Behavior" 29 : 119-138, 1985

      9 Abramowitz, Alan, "The End of the Democratic Era? 1994 and the Future of Congressional Election Research" 48 : 873-889, 1995

      10 Wattenberg, Martin,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6"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 정진민, "전후 미국 정당기반 재편과 정당체계의 변화" 32 (32): 223-241, 1998

      2 유성진, "의회 개혁과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미국 공화당 의회 하 상임위원회 제도와 운영의 변화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8 (18): 117-139, 2008

      3 유성진, "미국정치 보수화의 한 단면 : 기독교 우파의 부상과 공화당 지지기반의 재편"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149-172, 2008

      4 정진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뉴딜연합의 약화를 중심으로" 30 (30): 199-222, 1996

      5 서현진, "문화적 쟁점과 미국 정당 지지기반 양극화, in 미국정치의 분열과 통합" 207-240, 2008

      6 최준영, "공화당의 남벌(南伐)전략과 남부의 정치적 변화" 신아시아연구소 14 (14): 154-177, 2007

      7 Morris, Dick, "“The New Republican Right.”Real Clear Politics (October 20)"

      8 Lau, Richard R., "Two Explanations for Negativity Effects in Political Behavior" 29 : 119-138, 1985

      9 Abramowitz, Alan, "The End of the Democratic Era? 1994 and the Future of Congressional Election Research" 48 : 873-889, 1995

      10 Wattenberg, Martin,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6"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1 Katona, George, "Psychological Economics" Elsevier 1975

      12 Axelrod, Robert, "Presidential Election Coalitions in 1984" 80 : 281-284, 1984

      13 Key, V. O., Jr., "Politics, Parties, and Pressure Groups" Thomas Y. Crowell 1964

      14 Miller, Warren, "Party Identification, Realignment, and Party Voting: Back to the Basics" 85 : 557-568, 1991

      15 Stanley, Harold, "Partisanship and Group Support over Time: A Multivariate Analysis" 80 : 969-976, 1986

      16 Burnham, Walter Dean, "Introduction: Bill clinton, Riding the Tiger, in The Election of 1996" Chatham House 1996

      17 Erikson, Robert, "Group Components of the Presidential Vote, 1952-1984" 51 : 337-346, 1984

      18 Buell, John, "Election Results" 57 : 39-41, 1997

      19 Erikson, Robert, "American Public Opinion: Its Origins, Content, and Impact" Longman 2010

      20 Swain, John W., "A New Look at Turnover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1789-1998" 28 : 435-457, 1998

      21 정진민, "1980년대 이후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34 (34): 237-254,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8 2.699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