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일본 여성 청년 세대의 젠더 의식과 결혼 이행과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Consciousness and Transition to Marriage of Young Women i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연구의 목적은 젠더 의식(결혼 가치관, 모성 이데올로기, 남성 생계부양자 의식)이 여성 청년 세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여성 청년들의 젠더 의식과 ...

      본연구의 목적은 젠더 의식(결혼 가치관, 모성 이데올로기, 남성 생계부양자 의식)이 여성 청년 세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여성 청년들의 젠더 의식과 결혼 이행과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의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 데이터는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1-8차(2007-2020)이다. 일본 데이터는 동경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청년패널조사JLPS-Y, 1-10차(2007-2016) 및 장년패널조사 JLPS-M, 1-10차(2007-2016)이다. 분석 대상자는 18세 이상 50세 미만으로 한정하였으며, 한국은 7,893명, 일본은 3,429명이 선정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결혼 상태 변화를 종속변수로, 젠더 의식을 독립변수로 하는 이산시간 사건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결혼 이행 확률을 높이는 요인은 남성은 직장을 가지고 여성은 가정을 돌보는 것이 좋다는 성별 역할 분업 의식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과 결혼 후의 생활에 대한 이상 사이에서 결혼으로 이행하기 이전에 가치관의 타협을 할 가능성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은 결혼을 필수라고 생각할수록, 결혼하면 자녀를 빨리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수록 결혼 이행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가치관의 효과와 모성이데올로기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면 한국에서는 결혼과 출산이 생애 과정에서 순차적이고 당위적으로 이루어지는 규범이 강하게 남아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주현 ; 이수진, "한국과 일본 비혼 현상의 성별 차이" 한국인구학회 42 (42): 115-138, 2019

      2 채민진, "한국 2, 30대 남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 인식" 서울대학교 2019

      3 임훈민 ; 김중백, "취업이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36 (36): 45-67, 2013

      4 오영은 ; 추주희, "청년층의 결혼 및 가족가치관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 21 11 (11): 1217-1232, 2020

      5 유계숙 ; 정선영, "청년초기 미혼 대학생의 기대자녀수를 설명하는 요인의 탐구: 태도, 규범, 행동 통제감의 요인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79-89, 2018

      6 최효미,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49-55, 2017

      7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8 호정화,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혼인 및 거주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7 (37): 25-59, 2014

      9 이순미, "비혼 청년층의 가족의식에 나타난 가족주의의 변형과 젠더 차이" 사회과학연구소 40 (40): 1-30, 2016

      10 오지혜,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패널 1998~2016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0-81, 2020

      1 김주현 ; 이수진, "한국과 일본 비혼 현상의 성별 차이" 한국인구학회 42 (42): 115-138, 2019

      2 채민진, "한국 2, 30대 남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 인식" 서울대학교 2019

      3 임훈민 ; 김중백, "취업이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36 (36): 45-67, 2013

      4 오영은 ; 추주희, "청년층의 결혼 및 가족가치관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 21 11 (11): 1217-1232, 2020

      5 유계숙 ; 정선영, "청년초기 미혼 대학생의 기대자녀수를 설명하는 요인의 탐구: 태도, 규범, 행동 통제감의 요인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79-89, 2018

      6 최효미,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49-55, 2017

      7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8 호정화,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혼인 및 거주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7 (37): 25-59, 2014

      9 이순미, "비혼 청년층의 가족의식에 나타난 가족주의의 변형과 젠더 차이" 사회과학연구소 40 (40): 1-30, 2016

      10 오지혜,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패널 1998~2016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0-81, 2020

      11 변수정, "미혼인구의 자녀 및 가족 관련 생각" 268 : 19-34, 2018

      12 탁현우, "미혼남녀의 결혼지연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서울행정학회 31 (31): 223-244, 2020

      13 진미정 ; 정혜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31-51, 2010

      14 김정석,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57-70, 2006

      15 이상림, "미혼 인구의 결혼 관련 태도" 268 : 6-18, 2019

      16 김은정, "미혼 여성이 지각한 결혼 가치관과 성역할 가치관이 결혼 의향에 미치는 영향" 194-194, 2018

      17 박경숙,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성역할 분리규범, 경제 조정의 우발적 결합" 28 (28): 33-62, 2005

      18 우해봉,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혼 연기 혹은 독신?" 한국인구학회 32 (32): 25-50, 2009

      19 유홍준 ; 현성민,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33 (33): 75-101, 2010

      20 정희경 ; 신형진, "결혼가치관의 변화가 초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32 (32): 132-155, 2020

      21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26 (26): 95-140, 2006

      22 厚生労働省, "若者の意識に関する調査"

      23 的場康子, "若者の性別役割分業意識を考える" LifeDesign 38-40, 2013

      24 永瀬伸子, "若年層の雇用の非正規化と結婚行動(特集:少子化に関する家族・労働政 策の影響と少子化の見通しに関する研究)" 58 (58): 22-35, 2002

      25 山田昌弘, "結婚不要社会" 朝日新書 2019

      26 小林淑恵, "結婚・就業に関する意識と家族形成: 循環モデルによる検証" 39 : 1-18, 2006

      27 永瀬圭, "結婚に関わる意識と女性の社会経済的地位―計量分析を通して―" 京都大学 2018

      28 内閣府, "男女共同参画白書令和2年版"

      29 国立社会保障, "現代日本の結婚と出産-第15回出生基本動向調査報告書―"

      30 加藤, "現代家族の構造と変容-全国家族調査[NFR98]による計量分析" 東京大学出版会 41-58, 2004

      31 藤原翔, "東京大学社会科学研究所パネル調査プロジェクトディスカッションペーパーシリーズ94:パネル調査からみる非認知的スキル、仕事の負担、結婚に影響する意識、資産の不平等" 東京大学社会科学研究所 2016

      32 橋本摂子, "未婚者層における結婚意識の変動と社会階層的要因:パネル・ロジット モデルによるアスピレーション分析" 東京大学社会科学研究所 2009

      33 彭潤希, "未婚女性の結婚, 出産に対する阻害要因-結婚, 出産, 育児, 介護および就業に関する意識調査から" 44 (44): 423-433, 1999

      34 三好向洋, "日本における労働市場と結婚選択" (638) : 34-42, 2013

      35 上野恵子, "文献の動向から見た育児不安の時代的変遷" 14 : 185-196, 2010

      36 内閣府, "平成28年度男女共同参画社会に関する世論調査報告書"

      37 内閣府, "平成24年度男女共同参画社会に関する世論調査報告書"

      38 白河桃子, "専業主婦になりたい女たち" ポプラ新書 2014

      39 津谷, "学歴と雇用安定性のパートナーシップ形成への影響" 65 (65): 45-63, 2009

      40 文部科学省, "学校基本調査"

      41 水落正明, "学卒直後の雇用状態が結婚タイミングに与える影響" 22-23 : 67-176, 2006

      42 中谷奈津子, "婚男女における結婚意欲の関連要因―家族形成意識に関する福井・大阪における調査から―" 69 (69): 105-114, 2018

      43 小林盾, "婚活における結婚の規定要因はなにか―結婚研究の視点から, えひめ結婚支援センターを事例とした量的分析―" 31 (31): 70-83, 2016

      44 何芳, "女性の稼得能力は結婚を妨げるのか?" 47 : 129-146, 2018

      45 ソニー生命保険株式会社, "女性の活躍に関する意識調査 2019"

      46 内閣府, "令和元年度男女共同参画社会に関する世論調査報告書"

      47 佐々木尚之, "不確実な時代の結婚JGSSライフコース調査による潜在的稼得力の影響の検証—" 24 (24): 152-164, 2012

      48 酒井, "フリーターのその後―就業・所得・結婚・出産" 535 : 29-41, 2005

      49 コルムシオリガ, "ジェンダー意識は結婚への移行に影響を与えるのか:パネルデータを用いた男女比較分析" 2 : 169-183, 2019

      50 福田節也, "ジェンダーシステムと女性の結婚選択(2)-日本における「女性の経済 的自立仮説」の検証" 76 : 54-62, 2007

      51 山田昌弘, "なぜ若者は保守化したのか希望を奪い続ける日本社会の真実" 朝日新書 2015

      52 阿部正浩, "「結婚の意思決定モデルとその実証」阿藤誠編『家族政策および労働政策が 出生率および人口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研究:総合報告書(平成8年度~平成10年度):厚生科学研究 費補助金政策科学推進研究事業』" 395-417, 1999

      53 장경섭, "‘위험회피’ 시대의 사회재생산: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한국가족학회 23 (23): 1-23, 2011

      54 Goldscheider, F., "The gender revolution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anging family and demographic behavior" 41 (41): 207-239, 2015

      55 Burgess, S., "The Role of Income in Marriage and Divorce Transitions among Young Americans" 16 (16): 455-475, 2003

      56 Goldscheider, F., "Sex Differences in the Entry into marriage" 92 (92): 91-109, 1986

      57 Cunningham, M.,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s about gender and social contexts during young adulthood" 34 (34): 862-892, 2005

      58 Esping-Andersen, G., "Re-theorizing family demographics" 41 (41): 1-31, 2015

      59 Bellani, D., "Never partnered : A multilevel analysis of lifelong singlehood" 37 : 53-100, 2017

      60 Espenshade, T., "Marriage Trends in America : Estimates, Implications, and Underlying Causes" 11 (11): 193-245, 1985

      61 Barber, J. S., "Gender role attitudes and marriage among young women" 39 (39): 11-31, 1998

      62 Kolpashnikova, K., "Country differences in the link between gender-role attitudes and marital centrality : Evidence from 24 countries" 61 (61): 291-309, 2020

      63 Pessin, L., "Changing gender norms and marriage dynamics in the United States" 80 (80): 25-4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