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홍망(申弘望)의 유배일기 <장사일록(長沙日錄)>의 특징적 기록 경향과 자료적 가치 = Characteristic Record Trend and Data Value of Exile Diary < Jangsaillok(長沙日錄) > by Shin Hong-Mang(申弘望)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송孤松 신홍망申弘望(1600~1673)의 유배일기 『장사일록長沙日錄』은 1652년(효종3) 10월 9일부터 12월 21일까지 작성된 것이다. 10월 9일부터 17일까지는 한양으로 압송되는 여정을 기록하였고, ...

      고송孤松 신홍망申弘望(1600~1673)의 유배일기 『장사일록長沙日錄』은 1652년(효종3) 10월 9일부터 12월 21일까지 작성된 것이다. 10월 9일부터 17일까지는 한양으로 압송되는 여정을 기록하였고, 이후 11월 13일까지 약 25일 동안은 홍제원에서 유배지가 평해로 확정될 때까지 명을 기다리는 자신의 상황을 매일매일 기록하였다. 이때 신홍망이 장기간 홍제원에서 명을 기다린 것은 당초 벽동(현재 평안북도)으로 정배된 후 조정에서 정배 철회 논란이 지속되다가 도중에 감등減等되어 중도부처中途付處 형벌로 변경되었고, 이조차도 대신들의 철회 요청으로 혼란이 야기되면서 유배지를 확정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렸기 때문이다. 나머지 기간 동안은 유배지로 출발해서 그 곳에서의 생활 그리고 해배되어 평해를 떠나는 날까지 기록하였다.
      살펴본 결과 『장사일록』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 기록 경향을 뚜렷하게 나타냈다. 첫째, 유배형이 확정되어 집행될 때까지 조정의 논란이 지속되었는데 그 속에서 신홍망 개인이 겪은 상황이 정치적 배경과 함께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의 역사서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유배형 확정 과정이 실시간으로 기록된 셈이다. 물론 개인의 시선이라는 한계는 뚜렷하다. 둘째, 신홍망은 유배 시작부터 끝나는 날까지 자신을 물심양면으로 돕던 인물들과 그들이 지원해 준 行資 등을 꼼꼼하게 기록하였다. 대개의 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자나 호 또는 관직만 언급되기 일쑤여서 누구인지 알기 곤란한 상황이 많은데, 신홍망은 『장사일록』을 기록하며 인물마다 방점 표시를 할 만큼 공을 들였다. 인물표기 또한 당시 관직명을 정확하게 적거나 관직이 없을 땐 성명을 적어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셋째, 유배 당시 기록한 것이 아니라 말년에 일기 형식으로 재정리한 것이기에 신홍망이 유배 당시 지녔던 정서가 객관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장사일록』은 신홍망이 추후에 다시 기록하면서 자신에게 도움을 준 인물들을 꼼꼼하게 기록한 것 인만큼 단면적이기는 해도 당시 중앙 정계 인물들의 정치적 교류를 입체적으로 규명해 볼 수 있고 신홍망 개인 또는 문중의 인적 네트워크가 지역과 정치적 입지를 어떻게 넘나드는지 살펴볼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song Shin Hong-Mang(1600~1673)’s exile diary 『Jangsaillok』 was written from October 9th to December 21st 1652(The 3rd year in the reign of King Hyojong). From October 9th to 17th, the journey to be transferred to Hanyang was recorded. After th...

      Gosong Shin Hong-Mang(1600~1673)’s exile diary 『Jangsaillok』 was written from October 9th to December 21st 1652(The 3rd year in the reign of King Hyojong). From October 9th to 17th, the journey to be transferred to Hanyang was recorded. After that, for about 25 days till November 13th, everyday, he recorded his situation of waiting for the order until the place of exile was changed from Hongjewon to Pyeonghae. At that time, Shin Hong-Mang had to wait for the order in Hongjewon for a long time because it took a long time to finally decide the place of exile. After Byeokdong(currently, Pyeonganbuk -do) was originally decided as the place of exile, the dispute related to the withdrawal of exile was continued in the Royal Court. Meanwhile, it was commuted and changed to the punishment of exile, which even caused confusion as the ministers asked for its withdrawal. During the rest period, he recorded the days of departing for the place of exile, living in the place, and leaving Pyeonghae after the exile was lifted.
      In the results of examination, 『Jangsaillok』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 record trend as follows. First, from the decision to the execution of exile, the dispute was continued in the Royal Court, and the personal situation experienced by Shin Hong-Mang was described together with the political background in detail.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exile was recorded in real time, which is hard to be found in historical books such as 『Annals』 or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course, the individual’s view is its clear limitation. Secon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exile, Shin Hong-Mang meticulously recorded people who helped him materially and emotionally, and monetary help they supported. Most of the people appearing in the diary were mentioned only as ja, ho, or public post, so it is tough to know who they were. However, Shin Hong-Mang made efforts to record 『Jangsaillok』 by marking each person with side dots. Regarding the marking of people, the name of public post was correctly written. In case when there was no public post, the name was clarified. Third, it was not recorded during the time of exile, but reorganized in the form of diary in his latter years, so the emotions felt by Shin Hong-Mang during the exile were objectively described. 『Jangsaillok』 was recorded by Shin Hong-Mang again afterwards. As a record meticulously showing the people who helped him, it would be good to fragmentarily, but solidly examine the political exchanges of people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of the time, and also to examine how the human network of Shin Hong-Mang himself or his clan was crossing the region and political posi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