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沙背也峴 연원 연구 = A Etymological study of Sabaeyahyeon(沙背也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2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etymology of Sabeyahyeon(沙背也峴).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st, ‘Sabaeyah-yeon(沙背也峴)’ was interpreted as 'North pass of Beomeo-sa,' 'Dawn pass,' and 'Yangsan(揷) p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etymology of Sabeyahyeon(沙背也峴).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st, ‘Sabaeyah-yeon(沙背也峴)’ was interpreted as 'North pass of Beomeo-sa,' 'Dawn pass,' and 'Yangsan(揷) pas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ume 'Saebaerye' because of the naming nature of the place name. Moreover, it is difficult to relate to 'Beomeo-sa' in geography. In addition, it is not a place related to 'mass production' in that the name of ‘Sabae, Saebae' is distributed nationwide. And 'Deokdam, Eong-gol, Seokweon, Dolteomi' which is near the 'Sabae Pass' can be reconstructed as 'high hill'.
      Second, Sabaeyah-yeon(沙背也峴) is read as 'Saebaerye' by i-du(吏讀)'s place name. Sabaeyah-yeon(沙背也峴) consists of ‘sa[沙]’ and ‘baeya'[背也]. ‘Sa[沙]’ is the meaning of the east, not the meaning of 'newness', 'between', and 'grass'. It is because the 'Sabaeya Pass'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east of 'Geumjeong Mountain'. 'Baeya' is a term for 'hill, shore, cliff' and is equivalent to 'bire, birye, bero, byeolh'. Because it is named the pass is located at a geographically high 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과 양산의 경계에 있는 ‘사배야현’, ‘사배현’, ‘사뱅이고개’, ‘사밧재’로 불리는 고개의 어원을 재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전...

      본 연구는 부산과 양산의 경계에 있는 ‘사배야현’, ‘사배현’, ‘사뱅이고개’, ‘사밧재’로 불리는 고개의 어원을 재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전에 ‘사배야현’은 ‘범어사의 북쪽 고개’, ‘새벽고개’, ‘삽(양산)의 고개’ 등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새배려’음은 지명의 명명 속성상 ‘새벽’으로 추정할 수 없으며, ‘범어사’의 ‘절[寺]’과 관련짓기에는 거리가 멀다. 또, ‘사배’ 혹은 ‘새배’라는 지명이 전국적으로 분포한다는 점에서 ‘양산’이라는 특정한 지명에 연유한 지명이 아니다.
      둘째, 사배 고개 인근의 마을인 ‘덕담’, ‘엉골’, ‘석원’, ‘돌트미’ 등은 서로 관련된 지명이다. 사배 마을을 원래 지명인 ‘덕담’은 ‘언덕에 위치한 마을’, ‘엉골’은 ‘비탈의 마을’, ‘석원’은 ‘돌+벌’ 즉, ‘높은 마을’이며 ‘돌트미’는 ‘돌담’으로 석원의 고유어이다.
      셋째, ‘사배야’는 이두식 지명으로 ‘새벼려’로 읽히는데, 이는 ‘새+배려’로 구성되어 있는 지명이다. 여기서 ‘새’는 고개의 위치가 금정산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동쪽’으로 해석된다. 배려’는 ‘언덕, 기슭, 벼랑’을 뜻하는 고유어 ‘비레, 비례, 벼로, 볋’을 의미하는데, 이 고개가 지형적으로 높은 곳에 가파르게 위치하기 때문에 명명된 것이다.
      핵심어 : 양산 지명, 부산 지명, 사배야현(沙背也峴), 사배치(沙背峙), 석원(石原), 엉골, 덕담, 돌트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양산 편"

      2 이돈주, "한국지명연구" 한국문화사 69-70, 2007

      3 유창균, "한국지명연구" 한국문화사 180-, 2007

      4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5 한글학회, "한국땅이름큰사전 상, 중, 하" 한글학회 1991

      6 이병운, "한국 행정 지명 변천사" 이회 2004

      7 천소영,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 2003

      8 이근열, "지명의 변화 유형과 원인-양산지명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9 : 1999

      9 이병운, "지명 삽량주(歃良州), 물금(勿禁)의 연원" 우리말학회 (37) : 95-118, 2014

      10 박명훈, "조선의 지명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5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양산 편"

      2 이돈주, "한국지명연구" 한국문화사 69-70, 2007

      3 유창균, "한국지명연구" 한국문화사 180-, 2007

      4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5 한글학회, "한국땅이름큰사전 상, 중, 하" 한글학회 1991

      6 이병운, "한국 행정 지명 변천사" 이회 2004

      7 천소영,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 2003

      8 이근열, "지명의 변화 유형과 원인-양산지명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9 : 1999

      9 이병운, "지명 삽량주(歃良州), 물금(勿禁)의 연원" 우리말학회 (37) : 95-118, 2014

      10 박명훈, "조선의 지명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5

      11 양산군, "양산군지" 경상남도인쇄공업협동조합 1989

      12 이근열, "양산 지명의 음운론적 변이" 부산한글학회 17 : 1998

      13 박소현, "양산 지명 연구 : 형태·음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전덕재, "신라 6부 명칭의 어의와 그 위치" 1 : 32-70, 1998

      15 박용식, "사월(沙月)형 마을 이름의 의미" 배달말학회 (41) : 137-157, 2007

      16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지명총람"

      17 김봉모, "부산인접지역 지명과 방언 연구" 세종출판사 2006

      18 이근열, "부산의 지명 연구" 도서출판 해성 2015

      19 이병운, "부산 행정구역 지명의 변천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9) : 329-378, 2007

      20 도수희, "백제의 전기어와 가라어의 관계" 한글학회 187 : 157-167, 2005

      21 이병선,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804-807, 1986

      22 강병륜, "고유지명어 연구" 박이정 1997

      23 최남희, "고려어 연구" 박이정 280-284, 2005

      24 천소영, "고대국어의 어휘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25 조강봉, "강·하천의 합류와 분기처의 지명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26 최중호, "가라어의 흔적을 찾아서" 한말연구학회 (30) : 327-349, 2012

      27 도수희, "『삼국유사』의 할주지명에 관한 해석 문제들" 한국문화사 210-, 2007

      28 이근열, "<부산지명총람> 지명 해석 오류 연구" 우리말학회 (21) : 263-292,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7 0.6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