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 이래, 우리는 초기 감정적인 동요 분위기에서 소극적인 형태로 전화돼 계속 학술적 대응 태도를 고수해 오고 있다. 한국의 대응이 학술적 연구에만 그치는 동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 이래, 우리는 초기 감정적인 동요 분위기에서 소극적인 형태로 전화돼 계속 학술적 대응 태도를 고수해 오고 있다. 한국의 대응이 학술적 연구에만 그치는 동안 ...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 이래, 우리는 초기 감정적인 동요 분위기에서 소극적인 형태로 전화돼 계속 학술적 대응 태도를 고수해 오고 있다. 한국의 대응이 학술적 연구에만 그치는 동안 중국 정부의 묵인아래 중국의 동북공정논리는 전 세계로 빠르게 확대되어가고 있다. 그러한 관계로 한국에서의 동북공정에 대한 인식이 점점 소멸해가고 있다는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필자는 본고에서 동북공정논쟁이후의 한중 양국의 인식차이에 대한 비교를 해보고자 한다.
먼저,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인식은 아래와 같다.
첫째, 대외적으로 패권주의 발현을 지향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의 패권주의 발현이라는 측면을 정리하자면, 전세계적 패권국으로의 부상, 동아사이의 맹주로의 추구, 북한정권 붕괴 후 한반도까지의 영향력 행사 등까지 계획 중이다. 둘째, 중국내 내부적 인식 태도는 국경 지역 영토 확보 및 다민족 국가인 중국민의 정서적 분열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진행된 것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한국의 입장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인의 고구려사 역사인식에 대한 환기이다. 동북공정의 결과가 어떠하든, 한국사회는 반드시 고구려역사를 환기하고, 재고해봐야 할 것이다. 둘째, 민족주의 혹은 탈민족주의 및 동아시아론 등의 이론 등장이다. 다민족·다국가가 함께 생존하는 지구상에서 제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 혹은 탈민족주의 및 동아시아론이 함께 등장·주장되고 있는 것이다. 셋째, 이는 학술적 문제가 아닌 정치적 문제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은 동북공정을 학술적 문제로만 인식하고 있는데, 그들의 동북공정의 진정한 목적·그에 대한 대응책을 정확하게 분석, 파악,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에 우리는 대내적으로는 범국민적 제대로 된 역사인식 교육에 힘쓰고, 아울러 소중한 고대사에 대한 지각 있는 성찰이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002年中国开始推进东北工程以来,我们一直坚持了学术的对付态度。中国的东北工程逐渐扩大起来,韩中两国应...
2002年中国开始推进东北工程以来,我们一直坚持了学术的对付态度。中国的东北工程逐渐扩大起来,韩中两国应该重新认识东北工程。首先中国的立场如下。
第一,对外,他们内心向往霸权主义。第二,对内,他们力争多民族统一国家论。
反正,中国希望不只是在中国国内的少数民族统一问题上而且在全世界上出现霸权主义。韩国对东北工程的认识如下。
第一,韩国应唤起对高句丽的历史认识。无论东北工程结果如何,韩国社会一定要唤起对高句丽历史,并重新做考察。第二,出现了民族主义、脱民族主义、东亚细亚论等的理论。在多民族、多国家一起生存的世界上,强调自民族的优秀性的就是民族主义或脱民族主义及东亚细亚论等一起在主场。第三,需要国民觉悟到此问题不是学术问题,而是政治问题。从开始直到现在韩国认为东北工程是学术问题,但现在正确分析和把握东北工程的真正的目的,并要采取相应的对策。对此,我们致力于开展正确的历史教育,同时也在历史方面上互相承认、互相协作。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휘탁, "현대 중국의 변강?민족의식과 동북공정" 65 : 2003
2 임기환, "중국의 동북공정이 남긴 것" 62 : 2006
3 소치형, "중국의 동북공정과 정치적 의도" 23 : 2004
4 김우준, "중국의 대뇌외 전략과 동북공정: 현황과 우리의 대응" 22 : 2004
5 안병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동북공정" 7 (7): 2004
6 공봉진, "중국 신(新)중화주의에 관한 연구-동북공정을 중심으로" 4 (4): 2007
7 양지영,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학계의 대응"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여운건, "동북공정과 고대사 왜곡의 대응방안" 한국우리민족사연구회 2006
9 김위현, "동북공정 이후 우리학계의 과제" 42 : 2007
10 全哲洙, "開展東北邊疆問題硏究的幾個問題, 中國東北邊疆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1 윤휘탁, "현대 중국의 변강?민족의식과 동북공정" 65 : 2003
2 임기환, "중국의 동북공정이 남긴 것" 62 : 2006
3 소치형, "중국의 동북공정과 정치적 의도" 23 : 2004
4 김우준, "중국의 대뇌외 전략과 동북공정: 현황과 우리의 대응" 22 : 2004
5 안병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동북공정" 7 (7): 2004
6 공봉진, "중국 신(新)중화주의에 관한 연구-동북공정을 중심으로" 4 (4): 2007
7 양지영,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학계의 대응"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여운건, "동북공정과 고대사 왜곡의 대응방안" 한국우리민족사연구회 2006
9 김위현, "동북공정 이후 우리학계의 과제" 42 : 2007
10 全哲洙, "開展東北邊疆問題硏究的幾個問題, 中國東北邊疆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11 최광식, "東北工程의 배경과 내용 및 대응방안-고구려사 연구동향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33 : 2004
12 王洛林, "加强東北邊疆硏究, 促進學科建設, 中國東北邊疆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13 강준영, "中國의 東北工程 再論" 38 : 2006
14 "http://www.donga.com/fbin/output?f=jcs&n=200701260140&main=1"
15 "http://blog.naver.com/leehk0079?Redirect=Log&logNo=140035168010"
16 "http://blog.daum.net/rayrong0597/6249364"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동사성 동목구조 사용상의 오류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7 | 0.439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