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업별 분기자료를 이용하여, 개방화가 크게 확대된 1990년대 이후 생산성 격차와 인적자본뿐만 아니라 거시변수를 고려하여 제조업과 ICT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19179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0(2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업별 분기자료를 이용하여, 개방화가 크게 확대된 1990년대 이후 생산성 격차와 인적자본뿐만 아니라 거시변수를 고려하여 제조업과 ICT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업별 분기자료를 이용하여, 개방화가 크게 확대된 1990년대 이후 생산성 격차와 인적자본뿐만 아니라 거시변수를 고려하여 제조업과 ICT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 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산업 간 생산성 격차에 따라 생산 및 고용 측면의 산업구조 전반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자본 축적 및 설비투자율의 증가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산업의 비중 증대에 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산업별 무역수지 증대는 해당 산업의 비중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왔으며, 부품소재산업을 중심으로 한 대중 수입확대가 국제분업효과로 인해 국내의 해당 산업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점진적인 원화의 평가절상 추이는 같은 기간 지속적으로 추진된 혁신적 활동을 통한 품질경쟁력 증가를 반영하여, ICT산업의 비중 증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왔다. 그러나 각 산업별 해외직접투자가 해당 산업의 국내기반을 위축시켜 국내산업 비중을 감소시킨다는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 factors of industrial structure for three industries (manufacturing, ICT manufacturing, and an entire ICT industry) in Korea are investigated. Empirical results using quarterly data from 1993 show that the industrial sha...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 factors of industrial structure for three industries (manufacturing, ICT manufacturing, and an entire ICT industry) in Korea are investigated. Empirical results using quarterly data from 1993 show that the industrial shares are determined significantly with a inter-industrial difference of productivities, human capital, a trade balance, an (part & material) import from China, and a real won/dollar exchange rate. As increase of inter-industry difference of productivities, employment shares in all considered industries decrease but production shares increases. An import from China increases a domestic industrial share of corresponding industry due to the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It is found that investment rate and human capital increase, in particular, the share of ICT industry. Also production shares of ICT industries rise with an appreciation of won/dollar real exchange rate during the sample peri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창, "환율변동과 노동생산성 간의 관계분석" 한국은행 2006
2 신현수, "한중일 제조업 경쟁력 비교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07
3 하병기, "한국경제의 탈공업화 현황과 평가" 산업연구원 2003
4 심영섭, "한국 산업의 경쟁력 분석-한국 산업의 경쟁력 분석" 산업연구원 2001
5 박형근, "통화정책의 산업별 효과분석" 한국은행 2003
6 최용석, "중국의 부상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에 미친 영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7 김진용, "주력성장산업으로서 IT산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In 한은조사연구" 한국은행 2007
8 신현열, "제조업의 국외직접투자(Outflow FDI)가 국내고용에 미친 영향" 23-51, 2005
9 신태영, "제조업 공동화 연구: 해외직접투자가 무역수지와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정책원구원 2003
10 성명기, "원화가치 변동이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 및 대만의 비교분석" 국회예산처 2007
1 이병창, "환율변동과 노동생산성 간의 관계분석" 한국은행 2006
2 신현수, "한중일 제조업 경쟁력 비교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07
3 하병기, "한국경제의 탈공업화 현황과 평가" 산업연구원 2003
4 심영섭, "한국 산업의 경쟁력 분석-한국 산업의 경쟁력 분석" 산업연구원 2001
5 박형근, "통화정책의 산업별 효과분석" 한국은행 2003
6 최용석, "중국의 부상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에 미친 영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7 김진용, "주력성장산업으로서 IT산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In 한은조사연구" 한국은행 2007
8 신현열, "제조업의 국외직접투자(Outflow FDI)가 국내고용에 미친 영향" 23-51, 2005
9 신태영, "제조업 공동화 연구: 해외직접투자가 무역수지와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정책원구원 2003
10 성명기, "원화가치 변동이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 및 대만의 비교분석" 국회예산처 2007
11 산업연구원(A) 동향분석실, "원화 강세의 산업별 영향과 대응" 2006
12 문우식, "원貨强勢와 産業構造의 再編 : 企業採算性 미치는 效果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156) : 2003
13 김종섭, "우리나라의 제조업부문 해외직접투자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In 수은해외경제" 수출입은행 2005
14 임현준, "우리나라 탈공업화 현황과 대응방안" 한국은행 2003
15 신창목, "수출 호조의 원인: 대개도국 수출의 선전" 삼성경제연구소 2007
16 정준호, "서비스업 고용 변화요인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06
17 김현정, "서비스산업의 신성장동력 가능성 분석" 한국은행 2006
18 김휘석, "서비스산업 성장 동력화의 한계와 대응방안의 모색, In KIET 산업경제" 산업연구원 20-40, 2007
19 손상영, "산업구조 선진화 방향 및 정책개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
20 이홍직, "산업간 생산성 격차의 확대원인과 경제적 영향 분석" 한국은행 54-85, 2007
21 김주훈, "되살아나는 우리나라 제조업" 한국개발연구원 2007
22 김원규, "대중무역과 탈제조업화" 산업연구원 2006
23 이승신, "대 중국 교역 최근 동향과 전망" 한국무역협회 2007
24 이강남, "국제금융론" 법문사 2001
25 전봉걸,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 기업경영 관련 여건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2007
26 권지인, "국내 LCD 기업 수익성 악화 논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 (18): 2006
27 홍동표, "국내 IT산업의 성장요인 및 생산성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3
28 최창규, "換率變動과 生産․雇傭間의 關係" 한국은행 1997
29 최창규, "對美․對日 實質換率과 輸出入間의 關係分析" 한국은행 1998
30 Summers, R, "Service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In Managing the Service Economy: Prospects and Problems" MA 27-48, 1985
31 Jeanneney, S.G, "Real Exchange Rate and Productivity in China" 2004
32 Baumol, W.J, "Productivity and American leadership: The Long View" MIT Press 1989
33 Wood. A, "North-South trade, employment and inequality: Changing fortunes in a skii-driven world" Clarendon Press 1994
34 Tena, J., "Modelling Monetary Tranmission in UK Manufacturing Industry" Universidad Carlos III de Madrid 2006
35 Baumol, W. J., "Macroeconomics of unbalanced growth : the anatomy of urban crisis" 57 (57): 415-426, 1967
36 Johansen, S, "Likelihood-based inference in cointegrated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Oxford Univ. press 1995
37 Harris, R, "Is there a case for exchange-rate-induced productivity Changes?" 2001
38 Hayo, B, "Industry Effects of Monetary Policy in Germany" 1999
39 Peneder, M, "Industrial structure and aggregate growth" 14 : 427-448, 2003
40 김정언, "IT산업의 양극화 현황과 정책적 대응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
41 Wood, A, "How trade hurt unskilled workers" 9 (9): 57-80, 1995
42 OECD, "Guide to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43 Rowthorn, R, "Growth, trade, and deindustrialization" IMF 1998
44 Saeger, S, "Globalization and deindustrialization: Myth and Reality in the OECD" 133 (133): 579-608, 1997
45 Johansen, S, "Estimation and hypothesis testing of cointegration vectors in gaussian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29 : 1551-1580, 1991
46 Rowthorn, R, "Deindustrialization: causes and implications" IMF 1997
47 Engle, R. F,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55 : 251-276, 1987
48 Berman, E, "Changes in the demand for skilled labor within U.S. manufacturing: Evidence from the annual survey of manufacturers" 109 (109): 367-397, 1994
49 Kander, A, "Baumol's disease and dematerialization of the economy" 55 : 119-130, 2005
50 산은경제연구소, "2006년 기업경영성과 분석" 산업은행경제연구소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1.2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