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대 국회 상임위원회 유형별 법안 가결 요인 분석 = Bill Success and Standing Committees: Evidence from the 19<sup>th</sup> Session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6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싱클레어(Sinclair, 1986)의 이론에 기반하여, 19대 국회의 국토교통, 보건복지, 기획재정위원회를 각각 재선, 정책, 권력지향 위원회로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위원회 소관 법률안 가결...

      본 논문은 싱클레어(Sinclair, 1986)의 이론에 기반하여, 19대 국회의 국토교통, 보건복지, 기획재정위원회를 각각 재선, 정책, 권력지향 위원회로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위원회 소관 법률안 가결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국토교통위원회의 경우, 법안 공동발의자 수와 대표발의자의 여당 소속 여부 등 지역구 이익 확보에 중요한 다른 의원들과의 관계가 가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본회의 중위투표자와의 이념 거리는 짧을수록 법안 반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위원회의 경우, 국회의원들의 정책 전문성이 강조되기 때문에 대표발의자의 해당 위원회 소속 여부가 특히 더 유의미한 가결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획재정위원회에서는 정당 변수보다 본회의와의 이념 거리가 더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선, 좋은 정책 추구, 권력지향 등 국회의원들의 다양한 선호가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해 표출된다는 점을 실증한 데 의의를 가지며, 한국의 국회 상임위원회가 정부, 정당 지배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입법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는 관련 연구와 맥을 함께 한다. 다만, 20대 국회 전반기의 입법 자료에 대한 보충 분석 결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화에 주의를 요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awing on Sinclair (1986), we analyze factors affecting bill success in standing committees of the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by employing binomia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s. We label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i...

      Drawing on Sinclair (1986), we analyze factors affecting bill success in standing committees of the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by employing binomia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s. We label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ittee,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and Strategy and Finance Committee of the Korean parliament as reelection, policy, and power committees, respectively. In the reelection committee, congressmen pursu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to secure the interests of their constituents, which was evidenced b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cosponsors and party membership of the sponsor. Meanwhile, as policy expertise is valued in the policy committee, a sponsor’s committee membership appeared to be critical. In the power committee, individual factors (i.e., ideological preferences, committee membership) were more important than party variables. This research empirically shows that multiple preferences of congressmen are expressed via congressional committees, which supports previous studies arguing that standing committees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re no longer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or parties, but play a key role in the legislative process. Considering the results of robustness tests on the first half of the 20th Session, however, caution is needed in generalizing the resul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미,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1-57, 2012

      2 유승익, "한국 국회의원 충원방식과 대표성 : 7대에서 17대 국회의원 선거분석" 13 (13): 101-127, 2007

      3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4 이한수, "제19대 국회 평가:국회선진화법과 입법 활동"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5-38, 2014

      5 전진영, "제18대 국회 상임위원회의 입법권력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7 (7): 57-73, 2012

      6 박찬표, "제17대 국회의 정당 경쟁 구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5-40, 2008

      7 가상준, "정치적 선호도와 당선 횟수로 본 17대 국회 상임위원회 특징" 사회과학연구소 15 (15): 236-278, 2007

      8 길정아, "정부 신뢰, 회고적 투표, 그리고 당파적 편향: 2014년과 2018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8 (18): 31-70, 2019

      9 현재호, "정당간 경쟁연구: 1952-2000 - 선거강령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89-215, 2004

      10 김준석, "입법시간과 입법결과의 경쟁위험분석(Competing Risks Analysis): 18대 국회 접수의안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1 (21): 71-98, 2012

      1 박경미,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1-57, 2012

      2 유승익, "한국 국회의원 충원방식과 대표성 : 7대에서 17대 국회의원 선거분석" 13 (13): 101-127, 2007

      3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4 이한수, "제19대 국회 평가:국회선진화법과 입법 활동"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5-38, 2014

      5 전진영, "제18대 국회 상임위원회의 입법권력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7 (7): 57-73, 2012

      6 박찬표, "제17대 국회의 정당 경쟁 구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5-40, 2008

      7 가상준, "정치적 선호도와 당선 횟수로 본 17대 국회 상임위원회 특징" 사회과학연구소 15 (15): 236-278, 2007

      8 길정아, "정부 신뢰, 회고적 투표, 그리고 당파적 편향: 2014년과 2018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8 (18): 31-70, 2019

      9 현재호, "정당간 경쟁연구: 1952-2000 - 선거강령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89-215, 2004

      10 김준석, "입법시간과 입법결과의 경쟁위험분석(Competing Risks Analysis): 18대 국회 접수의안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1 (21): 71-98, 2012

      11 법제처, "의원입법 지원업무 편람" 생각쉼표 & ㈜휴먼컬처아리랑 2015

      12 박상운, "의원의 입법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제17대~19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소관 의원 발의 법안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44-170, 2015

      13 최준영, "의원발의의 동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사건계수 분석기법(Event Count Analysis)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6 (16): 309-328, 2006

      14 박윤희, "의원발의 법안의 상임위원회 통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8 (8): 29-56, 2013

      15 이유주, "의안 자동상정제도가 국회의 입법과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8

      16 임재금, "본회의 무제한 토론제 도입에 따른 예상 및 과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205-213, 2012

      17 오혜진, "법안에 따른 정당과 상임위원회의 입법 영향력" 한국정당학회 13 (13): 155-180, 2014

      18 이현우, "국회의원의 표결 요인 분석: 정당,이념 그리고 지역구" 극동문제연구소 21 (21): 187-218, 2005

      19 김한나, "국회의원의 정치적 목표와 상임위원회 활동의 정치적 결과 : 제18대, 제19대 국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8

      20 박천오,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선호성향과 동기" 7 (7): 293-315, 1998

      21 김보전, "국회의원의 법조인 경력은 입법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18대 국회에 대한 경험적 분석" 1 (1): 59-83, 2016

      22 전진영, "국회의원의 대표유형에 따른 정책적 관심과 영향력의 차이분석: 제18대 국회 의원발의안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3 (23): 211-234, 2014

      23 전진영, "국회의원의 갈등적 투표행태 분석: 제16대 국회 전자표결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0 (40): 47-70, 2006

      24 한정훈, "국회의원별 불참율의 차이에 관한 요인분석: 제18대 국회 전반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5 (45): 121-147, 2011

      25 문우진, "국회의원 개인배경과 입법: 입법 메커니즘과 16대와 17대 국회의 입법생산성"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6 (16): 35-67, 2010

      26 정종섭, "국회의 성공조건: 윤리와 정책" 동아시아연구원 109-147, 2004

      27 김성휘, "국회 최고 ‘꿀보직’ 국토위·복지위·미방위는 무슨죄"

      28 최정원, "국회 입법과정의 변화와 특징 : 입법환경과 입법행위자를 중심으로" 35 (35): 129-151, 2001

      29 이현우, "국회 상임위원회의 운영: 전문성과 대표성의 재평가"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145-176, 2009

      30 한치록, "계량경제학 강의" 박영사 2016

      31 이현출, "가결과 부결의 이분법을 넘어: 17대 국회의 입법시간과 처리결과에 대한 경쟁위험분석" 한국정치학회 46 (46): 121-144, 2012

      32 Adler, E. Scott, "Why Congressional Reforms Fail: Reelection and the House Committee Syste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33 Sinclair, Barbara, "The Role of Committees in Agenda Setting in the U.S. Congress" 11 (11): 35-45, 1986

      34 Weingast, Barry R., "The Industrial Organization of Congress : or, Why Legislatures, Like Firms, Are Not Organized as Markets" 96 (96): 132-163, 1988

      35 Binder, Sarah A., "The Dynamics of Legislative Gridlock, 1947-1996" 93 (93): 519-533, 1999

      36 Shepsle, Kenneth A., "Positive Theories of Congressional Institutions" 19 (19): 149-179, 1994

      37 Johnson, Chalmers A.,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2

      38 Cox, Gary W., "Legislative Leviathan: Party Government in the Hou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39 Krehbiel, Keith, "Information and Legislative Organizatio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40 강신재, "FTA 비준동의안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 분석: 제18대, 제19대 국회를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4 (24): 67-101, 2018

      41 Evans, Peter B., "Embedded Autonomy : State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42 Hurwitz, Mark S., "Distributive and Partisan Issues in Agriculture Policy in the 104th House" 95 (95): 911-922, 2001

      43 Fiorina, Morris P., "Congress, Keystone of the Washington Establishment" Yale University Press 1989

      44 Fenno, Richard, "Congress in Committees" Little, Brown & Company 1973

      45 Mayhew, David, "Congress : The Electoral Connection" Yale University Press 1974

      46 Gilligan, T. W., "Collective Decisionmaking and Standing Committees: An Informational Rationale for Restrictive Amendment Procedures" 3 (3): 287-335, 1987

      47 Fiorina, Morris P., "Alternative Rationales for Restrictive Procedures" 3 (3): 337-345, 1987

      48 Easton, David, "A Framework for Political Analysis" Prentice Hall 1965

      49 장성구, "20대 당선인 최고인기 상임위는 국토위…국방위는 꼴찌"

      50 가상준, "18대 국회 상임위원회 전반기와 후반기 비교 연구" 한국정당학회 11 (11): 5-30, 2012

      51 서인석, "18대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에 관한 연구: 지역 및 의정경험에 대한 SNA 분석" 정부학연구소 18 (18): 187-226, 2012

      52 박경미, "17대 국회의원의 법안 발의와 처리 결과: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선호도와 교섭단체 소속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159-185, 2009

      53 이현출, "17대 국회 의원입법안 분석: 발의, 내용, 심의결과" 한국정당학회 8 (8): 255-286, 2009

      54 서현진, "17대 국회 의원발의 법안의 가결 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43 (43): 89-111, 2009

      55 김민전, "17대 국회 본회의 표결에 나타난 정당 간 정책연합"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6 (16): 161-190, 2010

      56 박윤희, "17-18대 국회 상임위원회 의원발의 법안의 가결 요인 비교분석: 위원회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3 (23): 235-262, 2014

      57 김민전, "14대 국회의원의 의사결정 구조: 상임위원회의 배정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1.1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