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경제적 효과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5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utilized the 8th and 9th longitudinal data of KOWEPS and adopted and analyzed difference in difference model as a quasi-experimental model for the analysis of socio-economic effects in adoption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At this time, PSM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utilized to reduce the selection bias configuring comparative group that ha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 experiment group. In summary of results from the analysis,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turned out to contribute to increase earned income of the participating seniors. However, they did no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n social intimacy in relations and on family relationship to be achieved b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nd also to reduction of privately transferred income. Du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job opportunities in the market with high added-value that can utiliz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elderly and also of reinforcing social capital in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has been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has utilized the 8th and 9th longitudinal data of KOWEPS and adopted and analyzed difference in difference model as a quasi-experimental model for the analysis of socio-economic effects in adoption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

      This study has utilized the 8th and 9th longitudinal data of KOWEPS and adopted and analyzed difference in difference model as a quasi-experimental model for the analysis of socio-economic effects in adoption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At this time, PSM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utilized to reduce the selection bias configuring comparative group that ha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 experiment group. In summary of results from the analysis,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turned out to contribute to increase earned income of the participating seniors. However, they did no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n social intimacy in relations and on family relationship to be achieved b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and also to reduction of privately transferred income. Du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job opportunities in the market with high added-value that can utiliz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elderly and also of reinforcing social capital in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has been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2009

      2 윤지은,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29 (29): 743-759, 2009

      3 황종남, "중․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29 (29): 971-986, 2009

      4 이석원, "정책효과분석과 선택편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사업에 대한 순차적 선택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197-227, 2008

      5 이석원, "적극적 노년생활과 세대 간 가족관계 - 노일일자리사업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 한국정책학회 21 (21): 337-362, 2012

      6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7 석재은, "이중차이모델에 의한 공적연금제도의 영향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73-98, 2010

      8 지은정, "시장자립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분석 Ⅱ-시니어인턴십기업과 고령자친화기 업을 중심으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5

      9 지은정, "시장자립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분석 Ⅰ-참여노인을중심으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5

      10 최혜지, "센의 인간실현력(Human capability) 관점에 근거한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135-166, 2013

      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2009

      2 윤지은,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29 (29): 743-759, 2009

      3 황종남, "중․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29 (29): 971-986, 2009

      4 이석원, "정책효과분석과 선택편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사업에 대한 순차적 선택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197-227, 2008

      5 이석원, "적극적 노년생활과 세대 간 가족관계 - 노일일자리사업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 한국정책학회 21 (21): 337-362, 2012

      6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7 석재은, "이중차이모델에 의한 공적연금제도의 영향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73-98, 2010

      8 지은정, "시장자립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분석 Ⅱ-시니어인턴십기업과 고령자친화기 업을 중심으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5

      9 지은정, "시장자립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분석 Ⅰ-참여노인을중심으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5

      10 최혜지, "센의 인간실현력(Human capability) 관점에 근거한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135-166, 2013

      1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12 박영미,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243-264, 2015

      13 이석민,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가구의 소득과 소비에 미치는 영향: 계량경제학・통계적 정책평가방법 접근" 한국정책학회 21 (21): 259-284, 2012

      14 강소랑, "노인일자리사업이 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2015

      15 권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527-547, 2007

      16 김미곤,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7

      17 임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4 (14): 75-102, 2008

      18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19 윤홍식, "노인일자리사업과 가족생활 : 돌봄, 사적소득이전, 가족관계, 젠더 인식"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0) : 79-123, 2010

      20 고재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1209-1228, 2011

      21 최재원,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향 및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8 (8): 179-209, 2015

      22 김세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참여기간, 가족관계만족도, 참여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15-130, 2013

      23 배지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 특성" 2012

      24 김수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심리사회적 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371-393, 2014

      25 함철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29-250, 2010

      26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331-354, 2013

      27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효과평가" 한국노인인력개발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8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평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0

      29 이환범, "노인일자리사업 개선을 위한 효과성 평가" 대한지방자치학회 11 (11): 81-100, 2010

      30 원종욱, "기초연금 도입과 노후생활 안정 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1 강소랑, "기초노령연금제도가 고령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3 (23): 59-85, 2013

      32 강소랑, "국민연금이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165-195, 2015

      33 박상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 공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20 (20): 277-308, 2011

      34 통계청, "고령자 통계"

      35 강소랑,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고령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46 (46): 271-298, 2012

      36 Rosenbaum, Paul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70): 41-55, 1983

      37 Caliendo, M., "Some Practical Guida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1-29, 2005

      38 Franklin, 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BS Business Characteristics Survey"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2

      39 이석원,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에 의한 실업자 직업훈련 사업의 효과성 평가" 한국행정학회 37 (37): 181-199, 2003

      40 Essama-Nssah, B.,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Policy Impact Analysis: A Demonstration in EViews" World Bank Policy Research 2006

      41 Heckman, James J., "Matching as an Econometric Evaluation Estimator: Evidence from Evaluating a job Training Programme" 64 (64): 605-654, 1997

      42 Moffit, R. A., "Introduction to the Symposium on the Econometrics of Matching" 86 (86): 1-3, 2004

      43 Stock, J. H., "Introduction to econometrics" Pearson 2012

      44 Bourdieu, Pierre.,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1986

      45 McLaughlin, John A., "Handbook of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7-32, 2004

      46 Becker, Sascha O., "Estimation of average treatment effects based on propensity scores" 2 (2): 358-377, 2002

      47 Smith, J. A., "Does Matching Overcome LaLonde's Critique of Nonexperimental Estimators?" 125 : 305-353, 2005

      48 Heckman, James J., "Characterizing Selection Bias Using Experimental Data" 66 (66): 1017-1098, 1998

      49 Dehejia, Rajeev H., "Causal Effects in Nonexperimental Studies: Reevaluating the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94 (94): 1053-1062, 1999

      50 보건복지부, "2014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5 0.73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