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공적개발원조라는 틀 아래서 캄보디아 국가수준 학생평가 시스템 개선을 위한 우리나라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사례를 제시하였다. 캄보디아 국가평가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79514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5-168(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공적개발원조라는 틀 아래서 캄보디아 국가수준 학생평가 시스템 개선을 위한 우리나라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사례를 제시하였다. 캄보디아 국가평가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이 연구에서는 공적개발원조라는 틀 아래서 캄보디아 국가수준 학생평가 시스템 개선을 위한 우리나라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사례를 제시하였다. 캄보디아 국가평가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캄보디아 학습성과 평가체제 향상 및 개선을 위해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변화 주도자의 평가역량 강화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두어 국제교육개발협력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는 캄보디아 국가평가 시험의 문항 및 검사지 개발 측면에 대한 출제 전문성 개발 지원, 둘째는 캄보디아 국가평가 데이터 분석 측면에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으로 세분화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평가 분야 개발협력의 실천적 사례로 향후 한국의 국제교육개발협력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실증적 경험과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캄보디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교육개발협력 컨설팅 연구가 하드웨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교육체제의 효율적 운영과 질적 제고를 도모하는 기초교육 분야나 소프트웨어적 사업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국가수준 학생평가체제 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 사업은 교육평가 체제 구축과 시행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는 독창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경, "한·캄보디아 중장기 교육협력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9
2 윤종혁, "캄보디아의 교육 현황 및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7
3 박희진, "캄보디아와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교육기회 확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4 김진희, "캄보디아와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Ⅱ) :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초등교원 역량 강화" 한국교육개발원 2016
5 배귀희, "캄보디아 공무원역량 강화 컨설팅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숭실대학교 산학렵력단 2012
6 "보도자료: 내년도 공적개발원조 1,295개 사업 총 2조 7,286억원 국개위 의결 (2016.5.30.)"
7 손혁상, "대캄보디아 ODA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및 전략개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8 최영렬, "국제교육협력 시범사업 발굴・지원(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교육인적자원부 2007
9 김경훈, "교육개발협력을 위한 학습성과 평가체제 구축 및 시행에 대한 컨설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0 김경훈, "교육개발협력을 위한 캄보디아 학습성과 평가체제 구축 및 시행에 대한 컨설팅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 정미경, "한·캄보디아 중장기 교육협력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9
2 윤종혁, "캄보디아의 교육 현황 및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7
3 박희진, "캄보디아와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교육기회 확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5
4 김진희, "캄보디아와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Ⅱ) :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초등교원 역량 강화" 한국교육개발원 2016
5 배귀희, "캄보디아 공무원역량 강화 컨설팅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숭실대학교 산학렵력단 2012
6 "보도자료: 내년도 공적개발원조 1,295개 사업 총 2조 7,286억원 국개위 의결 (2016.5.30.)"
7 손혁상, "대캄보디아 ODA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및 전략개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8 최영렬, "국제교육협력 시범사업 발굴・지원(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교육인적자원부 2007
9 김경훈, "교육개발협력을 위한 학습성과 평가체제 구축 및 시행에 대한 컨설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0 김경훈, "교육개발협력을 위한 캄보디아 학습성과 평가체제 구축 및 시행에 대한 컨설팅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1 Masino, S, "What works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learning in developing countries" 48 : 53-65, 2016
12 Riddell, A,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to education. What can be learned" 48 : 23-36, 2016
13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Cambodia, "The Cambodia ODA Database"
14 MoEYS, "Results of grade six student achievement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in 2013" Education Quality Assurance Department 2015
15 OECD, "PISA for Development capacity needs analysis: Cambodia"
16 OECD, "PISA for Development capacity building plan: Cambodia"
17 조지민, "KICE 교육 개발 협력 추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8 Menucha Birenbaum, "International trends in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13 (13): 117-140, 2015
19 Heyneman, S. P,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future of education assistance" 48 : 9-22, 2016
20 Baker, E. L, "From the assessment of education to the assessment for education: Policy and futures" 116 (116): 1-24, 2014
21 Booth, M. N, "Education and Gender in Contemporary Cambodia" 4 (4): 42-50, 2014
22 MoEYS(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Sport), "Education Strategic Plan 2014-2018"
23 Courtney, J, "Do Monitoring and Evaluation Tools, Designed to Measure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Primary Education, Constrain or Enhance Educational Development" 28 : 546-559, 2008
24 World Bank, "Capacity Development Briefs No.31" World Bank Institute 2009
농촌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결정요인: 아프리카 탄자이나 리아뭉구 지역
조기 은퇴자의 평생교육활용 국가직무능력개발(NCS)교육이 조직 적응과 직업전환에 미치는 영향: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조기은퇴자의 빈곤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6-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지역발전연구소 ->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for Regional Studies and Development ->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IPAID | ![]() |
2009-06-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Area Studies and Development -> Institute for Regional Studies and Development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37 | 0.711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