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AR 자료를 이용한 갯벌 퇴적환경 특성 연구 = Application of SAR DATA to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a Tidal Fl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84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토양의 유전상수 (dielectric constant) 표면의 거칠기 (surface roughness)와 지표면의 기하 (geometric)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요소들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자...

      이 연구에서는 토양의 유전상수 (dielectric constant) 표면의 거칠기 (surface roughness)와 지표면의 기하 (geometric)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요소들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자료를 이용하여 강화도 갯벌의 표층 퇴적환경을 분석하였다. JERS-1, ENVISAT과 ALOS 위성의 다양한 SAR 자료로부터 레이더 후방산란계수 (backscattering coefficient)를 추출하여 각 퇴적환경 요소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시간변화에 따른 지표의 변화 정도를 알 수 있는 긴밀도 (coherence)를 추출하여 퇴적상과 비교하였다. SAR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산란계수와 긴밀도를 이용한 강화도 갯벌 퇴적환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높은 긴밀도를 갖는 지역은 입도가 작은 펄이 많이 포함된 펄 퇴적상이며 긴밀도가 낮을수록 큰 입도가 많이 분포하는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강화도 갯벌은 다른 갯벌과는 달리 조류로가 많이 발달하여 썰물 시 수분함유량에 많은 영향을 주어 모래 퇴적상과 혼합 퇴적상은 갯벌의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 수분함유량이 감소하여 후방산란계수가 점차 감소한다. 그러나 펄 퇴적상에서는 지형 고도가 높아 해수의 많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조류로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토양 수분함유량이 감소하지만 후방산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갯벌은 토양 수분함유량뿐만 아니라 표면에 남아있는 잔존수도 많아 강우량이 많은 날은 지표 잔존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교적 후방산란계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 긴밀도, 후방산란계수와 각 퇴적환경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향후 강화도 갯벌 퇴적환경의 공간적 분석을 위해 각각의 요소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omparisons of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nd the coherence values which had been extracted from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such as JERS-1, ENVISAT and ALOS satellites with surface roughness, surface geometric and soil m...

      In this study, comparisons of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nd the coherence values which had been extracted from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such as JERS-1, ENVISAT and ALOS satellites with surface roughness, surface geometric and soil moisture content were carried out. As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coherence values from SAR images, the coherence was shown high in the region containing more of mud fraction due to higher viscosity of fine grain-size. A lot of tidal channels were well developed in the Ganghwa tidal flat, affecting the drainage of seawater and subsequent soil moisture content by exposure time of tidal flat.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consequently, appeared to be lower in sand flat and mix flat with decrease of soil moisture. In contrast, most mud flats were distributed at high elevation so that soil moisture was not much influenced by seawater.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in mud flat seem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ensity of tidal channel. In addition, lowering backscattering coefficients in the all Ganghwa tidal flat was observed when surface remnant water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fall. The correlation between backscattering coefficient, coherence and sediment environment factors in the Ganghwa tidal flat was investigated. In the future, more quantitative spatial analysis will be helpful to well understand the sedimentary influence of various sediment environment fa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희삼, "인공위성 SAR 영상과 산란계를 이용한 조간대 갯벌의 후방산란계수 변화 연구" 강원대학교 2007

      2 엄진아,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과 프랙털 분석을 이용한 조간대 수로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2008

      3 한국해양연구원, "갯벌의 효율적인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1998

      4 우한준,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한국해양연구원 24 (24): 331-343, 2002

      5 Nielsen, E. M., "Wetland change mapping for U.S. mid- Atlantic region using an outlier detection technique" 112 : 4061-4074, 2008

      6 Goetz, S. J., "Monitoring freshwater, estuarine and nearshore benthic ecosystems with multi-sensor remote sensing: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112 : 3993-3995, 2008

      7 Ulaby F. T., "Microwave remote sensing" 2 : 1062-, 1982

      8 Rowan, E. S., "Interferometric Correlation and Intertidal Sediment Properties around the Dornoch Firth, North-east Scotland, Estuarine" 53 : 193-204, 2001

      9 Gilmore, M. S., "Integrating multi-temporal spectral and structural information to map wetland vegetation in a lower Connecticut River tidal marsh" 112 : 4048-4060, 2008

      10 Gade, M., "Classification of sediments on exposed tidal flats in the German Bight using multi-frequency radar data" 112 (112): 1630-1613, 2008

      1 채희삼, "인공위성 SAR 영상과 산란계를 이용한 조간대 갯벌의 후방산란계수 변화 연구" 강원대학교 2007

      2 엄진아,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과 프랙털 분석을 이용한 조간대 수로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2008

      3 한국해양연구원, "갯벌의 효율적인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1998

      4 우한준,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한국해양연구원 24 (24): 331-343, 2002

      5 Nielsen, E. M., "Wetland change mapping for U.S. mid- Atlantic region using an outlier detection technique" 112 : 4061-4074, 2008

      6 Goetz, S. J., "Monitoring freshwater, estuarine and nearshore benthic ecosystems with multi-sensor remote sensing: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112 : 3993-3995, 2008

      7 Ulaby F. T., "Microwave remote sensing" 2 : 1062-, 1982

      8 Rowan, E. S., "Interferometric Correlation and Intertidal Sediment Properties around the Dornoch Firth, North-east Scotland, Estuarine" 53 : 193-204, 2001

      9 Gilmore, M. S., "Integrating multi-temporal spectral and structural information to map wetland vegetation in a lower Connecticut River tidal marsh" 112 : 4048-4060, 2008

      10 Gade, M., "Classification of sediments on exposed tidal flats in the German Bight using multi-frequency radar data" 112 (112): 1630-1613, 2008

      11 Van der wal, D., "Characterisation of surface roughness and sediment texture of intertidal flats using ERS SAR imagery" 98 (98): 96-109, 2005

      12 Ryu, J. H., "Application of the Landsat TM/ETM+, Kompsat EOC and IKONOS to study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tidal flats of Kanghwa and Hwang islands" 140-143, 2004

      13 Ryu, J. H., "A critical grain size for Landsat ETM+ investigations into intertidal sediments, A case study of the Gomso tidal flats" 60 (60): 480-49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