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운과 매체 = Phonolgy and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0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looks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y and media. I divide the media into print, videoㆍaudio and communications media. In the print media the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can’t fulfill the one-to-one correspondence . In...

      This paper looks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y and media. I divide the media into print, videoㆍaudio and communications media. In the print media the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can’t fulfill the one-to-one correspondence . In the video & audio media the news is expected to keep a good standard pronunciation, but actually it is not. There are many errors of print media in the captions of the news and entertainment program. The written language of the communications media has an exceptional aspect deviated from the norm. In the phonological education, it is the print media is used most often. The various articles of newspapers and books are utilized and the pictures such as articulation organ and map are used in the textbooks. Consonant and vowel system tables are also used frequently in the textbooks. In the case of video media the dialogues and scenes of the movie are used in printing. And in some textbooks it is possible to use audio media. In the case of communications media questions and answers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homepage or mobile phone text messages are used in the text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희,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언어정보연구소 27 (27): 1-18, 2010

      2 전병용,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대화방 언어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251-274, 2002

      3 이동석,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몇 가지 화법 문제" 청람어문교육학회 (35) : 27-49, 2007

      4 경남중등매체언어교육연구회, "중학교 국어과 매체언어교육의 교수ㆍ학습 방안"

      5 이동석,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음운 단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161-184, 2015

      6 방송심의기획팀, "주중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자막 사용 실태 조사"

      7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 월인 2003

      8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 동국대학교출판부 2013

      9 박종민, "의약품광고의 언어학적 특징 : 1920년에서 2005년까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의약품광고의 헤드라인과 서브헤드라인 분석" 한국언론학회 52 (52): 50-80, 2008

      10 유만근, "우리 나라 방송 언어 발음 문제 -언어규범 몰각한 KBS 1TV 뉴스 사투리 범벅을 중심으로" 국립국어연구원 5 (5): 65-88, 1995

      1 이주희,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언어정보연구소 27 (27): 1-18, 2010

      2 전병용,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대화방 언어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251-274, 2002

      3 이동석,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몇 가지 화법 문제" 청람어문교육학회 (35) : 27-49, 2007

      4 경남중등매체언어교육연구회, "중학교 국어과 매체언어교육의 교수ㆍ학습 방안"

      5 이동석,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음운 단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161-184, 2015

      6 방송심의기획팀, "주중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자막 사용 실태 조사"

      7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 월인 2003

      8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 동국대학교출판부 2013

      9 박종민, "의약품광고의 언어학적 특징 : 1920년에서 2005년까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의약품광고의 헤드라인과 서브헤드라인 분석" 한국언론학회 52 (52): 50-80, 2008

      10 유만근, "우리 나라 방송 언어 발음 문제 -언어규범 몰각한 KBS 1TV 뉴스 사투리 범벅을 중심으로" 국립국어연구원 5 (5): 65-88, 1995

      11 박진영, "아나운서처럼 매력 있게 말하기" 오래 2010

      12 이동석, "신문 방송 언어의 실태와 언어 규범" 한국어학회 33 : 61-86, 2006

      13 정수희, "방송언어의 규범과 언어 변화 -발음과 어휘(외래어)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24ㆍ25 : 41-61, 2007

      14 김희재, "방송광고어 분석" 강남대 국어국문학과 9 : 115-145, 1996

      15 차재은, "방송 언어와 국어 연구" 월인 2003

      16 신호철, "문법 교과서에서 매체의 활용 유형 연구" 한말연구학회 (39) : 95-125, 2016

      17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18 김혜숙, "매체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9 김대행,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한국어교육학회 97 : 7-44, 1998

      20 최병우, "매체 언어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헌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00

      21 김동환, "매체 언어와 국어 교육: 매체 언어의 소통 원리와 교육적 대상화의 방법"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00

      22 한성우, "대중매체 언어와 국어 음운론 연구" 어문연구학회 58 : 137-160, 2008

      23 이동석, "뉴스 자막 언어의 오류 실태 연구" 민족어문학회 0 (0): 5-41, 2006

      24 이문규, "국어지식 영역 음운 관련 단원의 내용 검토" 한국어문교육학회 27 : 243-264, 2003

      25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6 이병규, "국어과 교육 대상으로서의 매체의 특성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3) : 109-136, 2013

      27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활동 1-나" 미래엔 2013

      28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활동 1-가" 미래엔 2013

      29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주)사회평론 2012

      30 남미영, "국어 4" 교학사 2013

      31 김태철, "국어 3" 비상교육 2013

      32 전경원, "국어 3" 두산동아 2013

      33 이관규, "국어 3" 비상교과서 2013

      34 이삼형, "국어 3" 두산동아 2013

      35 박영목, "국어 3" 천재교육 2013

      36 이도영, "국어 3" 창비 2013

      37 방민호, "국어 3" 지학사 2013

      38 김종철, "국어 3" 천재교과서 2013

      39 윤여탁, "국어 2" 미래엔 2013

      40 김종철, "국어 2" 천재교과서 2013

      41 이관규, "국어 1" 비상교과서 2013

      42 이삼형, "국어 1" 두산동아 2013

      43 박영목, "국어 1" 천재교육 2013

      44 민현식, "국어 1" 좋은책신사고 2013

      45 이기정, "광고 언어의 음운론적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 : 105-122, 1999

      46 서울대학교 국어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두산동아 2002

      47 조경하, "게임 금칙어의 언어학적 연구-변형형의 생성과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0 : 33-73, 2011

      48 신호철, "『문법』 교과서에서 ‘말소리’ 단원의 양상과 문제" 국어국문학회 (150) : 53-78, 2008

      49 이동석, "‘효과’의 발음에 대하여" 우리어문학회 (43) : 225-253, 2012

      50 이병규, "‘매체’와 ‘매체언어’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 탐색" 한민족문화학회 49 (49): 95-119, 2015

      51 김승연, "TV 예능 프로그램 자막의 언어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1 : 51-77, 2013

      52 박철주, "PC 통신언어 명사의 음운론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9) : 457-486, 2006

      53 남영신, "4주간의 국어 여행" 성안당 2005

      54 구본관, "2015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회 56-74, 2015

      55 이경화, "2009 개정 국어교육과정 매체언어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한국교원대 28 : 67-8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6 1.79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