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 도구의 통합적 타당화 연구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The Unified Approach of Validation of the Survey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 Case of A-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72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 도구의 적합성과 측정의 정확성을 통합적 타당도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측정학적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본 검사도구의 타...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 도구의 적합성과 측정의 정확성을 통합적 타당도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측정학적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본 검사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A대학교 전체 재학생 중 21.7%를 표집하고 온라인 학생역량 통합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응답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검사내용에 기초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서 문항적합도 및 점이연 측정 상관계수를 추정한 결과, 내·외적합도, 점이연 측정 상관계수 모두 양호한 지수가 나타나 검사문항이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인을 적절하게 나타내고 있어 검사 내용에 기초한 근거를 확보하였다. 둘째, 내적 구조에 기초한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 요인의 아이겐 값과 표준잔차 분산을 산출하고, 추가로 각 문항 군이 유사한 속성을 재고 있는지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문항군 간 상관계수가 .89~.92로 이들은 본질적으로 같은 특성을 재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내적 구조에 기초한 근거를 확보하였다. 셋째, 실제에 기초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험자 적합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피험자의 85.5%가 Rasch 측정모형에 적합한 문항 반응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반응과정에 기초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서 검사에 사용된 5점 평점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척도점수와 측정치간의 단조증가 형태를 보이고 있어 5점 척도가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생들의 응답반응형태가 검사개발자의 의도성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실제에 기초한 근거를 확보하였다. 다섯째, 일반화에 기초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에 대해서 차별기능문항이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본 진단검사의 4개 요인에 대해서 단일차원을 가정하는 Rasch 모형에 어느 정도 적합한지에 대한 신뢰도를 추정한 결과, 피험자와 문항에 대한 R신뢰도, 분리지수, 층화지수 모두 높은 내적 일관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타당도의 통합적 접근에 근거하여 다양한 타당도 근거를 확보함으로써 A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진단도구 점수의 타당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unified approach of validiting the survey tool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the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ystem by sampling 21.7% of students in A university. Specially, The v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unified approach of validiting the survey tool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the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ystem by sampling 21.7% of students in A university. Specially, The validation of the survey tool was tes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substantive, structural, generalizible aspect of validit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urvey tool, Rasch Measurement Model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content aspect of validity, both the mean squares fit and the point-biserial correlation were good. It was confirmed that the items appropriately represent the construct to be measured. Second,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structural aspect of validity, the first Eigen value, residuals and correlation was suitable. So they supported the evidence of unidimensioal.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ubstantive aspect of validity, 85.5% of the subjects showed an item response form suitable for the model. Fourth,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response process aspect of validity, a monotonic increase between the scale score and the measured value was shown was functioning appropriately across all factors.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eralizability aspect of validity, several gender-related DIF were also identified.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tems of four subordinate styles possessed of reliability. In conclusion, the survey tool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consisted of 46 items under the four subordinate styles and became a validated test tool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