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체형 분석 및 사상체질과 체격 발달의 관련성 연구 = The Study on Somatotype of Elementary Students in Incheo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and Obe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25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hildhood obesity and to compare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body circumference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835 case(411 females and 424 males) of elementary stud...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hildhood obesity and to compare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body circumference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835 case(411 females and 424 males) of elementary students. We took the body sizes by Inbody 720 and analysed the body shape of childhood. Besides we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4 groups(Soumin, Soyangin, Taeumin, Taeyangin) and compared between each Constitutions and body circumferences. Results and Conclusions : The more students become obesity, the more they have big body sizes based on BMI and Obesity degree. When the students become more obesity, they have more bigger limb sizes than trunk sizes based on BMI and Obesity degree. Taeumin group showed that the each body size was more bigger than other constitutions. Especially,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waist circumferences of Taeumin and others. but Soyangin had more bigger neck circumferences than others. Soumin has the biggest mean circumferences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than other constitutions, and Taeumin has more mean circumferences of lower limbs than upper limb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주요 상병 및 건강행태 분석: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부문 심층분석결과" 2003

      2 "학동기 아동 및 청소년들의 비만도 측정 및 각 측정방법들 간의 상관관계" 18 (18): 306-315, 1997

      3 "타인종에 있어 체질과 체성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15 (15): 124-128, 2003

      4 "체질량지수와 질병이환의 관련성" 10 (10): 147-155, 2001

      5 "소아의 체질적 특성과 사상의학적 고찰" 15 (15): 121-139, 2001

      6 "소아발달단계에 따른 비만의 특성" 14 (14): 59-61, 2005

      7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지침" 42 (42): 1338-, 1999

      8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지침" 42 : 1240-1243, 1999

      9 "소아 비만 환아에서 체지방 측정법간의 연관성" 47 (47): 485-490, 2004

      10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Ⅱ의 표준화 연구: 각 체질집단의 군집별 Profile 분석을 중심으로" 8 (8): 187-246, 1996

      1 "한국인의 주요 상병 및 건강행태 분석: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부문 심층분석결과" 2003

      2 "학동기 아동 및 청소년들의 비만도 측정 및 각 측정방법들 간의 상관관계" 18 (18): 306-315, 1997

      3 "타인종에 있어 체질과 체성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15 (15): 124-128, 2003

      4 "체질량지수와 질병이환의 관련성" 10 (10): 147-155, 2001

      5 "소아의 체질적 특성과 사상의학적 고찰" 15 (15): 121-139, 2001

      6 "소아발달단계에 따른 비만의 특성" 14 (14): 59-61, 2005

      7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지침" 42 (42): 1338-, 1999

      8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지침" 42 : 1240-1243, 1999

      9 "소아 비만 환아에서 체지방 측정법간의 연관성" 47 (47): 485-490, 2004

      10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Ⅱ의 표준화 연구: 각 체질집단의 군집별 Profile 분석을 중심으로" 8 (8): 187-246, 1996

      11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Ⅱ에 대한 타당성 연구: 각 체질집단의 군집별 Profile 분석을 중심으로" 8 (8): 247-294, 1996

      12 "사상체질분류검사에 의한 체질진단과 체성분분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13 (13): 24-34, 2000

      13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사상체질분류 검사지Ⅱ(QSCCⅡ)의 연구5: 문항분석을 중심으로" 15 (15): 11-21, 2003

      14 "비만을 어떻게 판정, 평가할 것인가" 14 (14): 53-58, 2005

      15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12 (12): 137-, 2003

      16 "동의수세보원" 행림출판사 137-142, 1986

      17 "The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c syndrome of visceral obesity: effect on patients risk" 6 : 8-17, 1998

      18 "The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c syndrome of visceral obesity: effect on patients risk" 6 : 8-17, 1998

      19 "The changes with age of the anatomical distribution of fat" 16 : 191-6, 1982

      20 "Physical status" World Health Organization 452-, 1995

      21 "Onset of Obesity in a 36 year birth cohort" 293 : 299-303, 1986

      22 "Obesity evaluation and treatment: Expert Committee recommendations,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Bureau,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and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8

      23 "National Heart, Lung, and Blodd Institute Obesity Education Initiative Expert Panel.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6 (6): 51-209, 1998

      24 "Long-term morbility and mortality of overweight adolescents:a follow-up of the Harvard Growth Study of 1922 to 1935" 327 : 1350-5, 1992

      25 "Establishing a standard definition for child overweight and obesity worldwide: international survey" 320 (320): 1240-1243, 2000

      26 "Do the obese remain obese and the lean remain lean" 70 : 351-3, 1980

      27 "Body mass index as a measure of adipo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e: a validation study" 132 : 204-210, 1998

      28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independently contribute to the pridiction od nonabdominal,abdominal subcutaneous,and visceral fat" 75 (75): 683-688, 2002

      29 "Body fat distribution and 5-year risk of death in older women" 269 : 483-7, 1993

      30 "Biological and clinical aspcts of regional body fat distribution" 6 : 163-71, 1993

      31 "Anthrop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in women" 20 (20): 753-758,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