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와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구성과 그 특징 =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stal Station Network Managed in Jeolla Southern Province between Goryeo and Early Joseon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1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근대시기 교통로에 대한 연구는 해당 시기 국가의 지방통치나 대외관계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매개가 된다. 이른바 ‘驛路網’은 역을 통해 각 군현 간을 연결하는 교통망이라고 ...

      전근대시기 교통로에 대한 연구는 해당 시기 국가의 지방통치나 대외관계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매개가 된다. 이른바 ‘驛路網’은 역을 통해 각 군현 간을 연결하는 교통망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전남지역(광주 포함)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고려시대 역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당시의 역로망을 복원하였다. 고려와 조선전기 모두 전남지역의 역 숫자는 34곳으로 동일하였지만, 그 중 29곳이 계승관계에 있는 역들이었으며, 고려시대에 운영되다가 폐지된 역 및 조선시대에 들어와 신설된 역은 각각 5곳에 지나지 않았다. 즉 통폐합 등의 변동이 심했던 군현의 경우와는 달리, 전남지역 역로망의 기본 골격은 고려와 조선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다만 고려시대에 운영되다가 조선전기에 폐지된 역의 위치를 살펴보면, 고려시대에는 영산강 서쪽의 서해안 방면에서 조선시대보다 역의 분포밀도가 높았으며, 군소규모의 속현으로 존재하다가 여말선초에 폐지된 군현에 위치하거나, 폐지된 군현 및 군현이 존재하지 않았던 곳으로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역 등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혁파되었다. 반면 조선시대에 신설된 역의 분포를 분석하면, 여말 이래 강조되어온 해안방비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남쪽 해안지대에 몇몇 역이 신설되었고, 그 외에도 기존 교통로를 대체하는 역로의 개발, 역의 설치가 미비했던 내륙지역의 원활한 역로망 구축 등의 이유로 역이 신설되었다. 대체로 고려시대의 역로망은 조선시대보다 영산강 서쪽의 서해안 방면을 중시했으며, 조선시대에는 해안의 방비라는 측면에서 남해안 방면을 보다 중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n traffic routes of pre-modem age can be a useful means for understanding important aspec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local administration and foreign relations in each age. So called 'postal station network' is defined as the traffic routes'...

      Study on traffic routes of pre-modem age can be a useful means for understanding important aspec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local administration and foreign relations in each age. So called 'postal station network' is defined as the traffic routes' network connected among prefectures or counties through postal stations. This research aims to restore the postal station network during pre-modem era on the area of current Jeolla Southern Province. Postal stations located on current Jeolla Southern Province in Goryeo and in Joseon dynasty were both 34 places. The 29 stations of them were successive from Goryeo to Joseon, stations functioned in Goryeo but closed in Joseon were 5 places, and stations newly opened in Joseon were also 5 places. It means that framework of postal station network in Jeolla Southern Province was very similar without any particular change between Goryeo and Joseon dynasty.
      Investigating locations of postal stations functioned in Goryeo era but closed in Joseon era, Goryeo's station density distribution was higher than Joseon's in west coastal region of Yeongsan River. On the contrary, some stations located on small-sized counties annexed in Joseon era or with places where counties did not exist were finally abolished. On the other hand, looking into the distribution of newly installed stations in Joseon era, we can see that the station installation of the south coastal reg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coastal defense emphasized since the late Goryeo era. Stations of other regions we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opening new postal routes as substitute of previous routes and establishing new postal network connecting with isolated regions where postal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On the whole, postal routes connecting toward west coastal area of Yeongsan River was regarded more important in Goryeo era, compared with Joseon era, While Joseon's postal network, in terms of coastal defense, considered south coastal area as more import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머리말
      • 2. 전남지역의 고려 역과 조선 역 비교 분석
      • 3.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 4. 고려시대 전남지역의 역로망
      • [초록]
      • 1. 머리말
      • 2. 전남지역의 고려 역과 조선 역 비교 분석
      • 3.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 4. 고려시대 전남지역의 역로망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羅州市木浦大學校博物館, "羅州市의 文化遺蹟" 1999

      2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3~16" 1982

      3 김정호, "전남의 옛터산책, 상 중 하" 사단법인 향토문화진흥원 1996

      4 정요근, "원간섭기 驛 이용수요의 급증과 그 대책" 고려사학회 (32) : 61-93, 2008

      5 영진문화사, "영진5만지도" 2010

      6 정요근, "고려시대 驛 분포의 지역별 불균등성" 부경역사연구소 (24) : 5-43, 2009

      7 鄭枖根,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 2008

      8 이병희, "高麗時代의 榮山江" 17 : 1998

      9 이병희, "高麗時代 全南地方의 鄕部曲" 1 : 1998

      10 韓禎訓, "高麗時代 交通과 租稅運送體系 硏究" 부산대 2009

      1 羅州市木浦大學校博物館, "羅州市의 文化遺蹟" 1999

      2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13~16" 1982

      3 김정호, "전남의 옛터산책, 상 중 하" 사단법인 향토문화진흥원 1996

      4 정요근, "원간섭기 驛 이용수요의 급증과 그 대책" 고려사학회 (32) : 61-93, 2008

      5 영진문화사, "영진5만지도" 2010

      6 정요근, "고려시대 驛 분포의 지역별 불균등성" 부경역사연구소 (24) : 5-43, 2009

      7 鄭枖根,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 2008

      8 이병희, "高麗時代의 榮山江" 17 : 1998

      9 이병희, "高麗時代 全南地方의 鄕部曲" 1 : 1998

      10 韓禎訓, "高麗時代 交通과 租稅運送體系 硏究" 부산대 2009

      11 "高麗史節要"

      12 윤경진, "高麗史地理志 정리의 기준시점" 110 : 2000

      13 "高麗史"

      14 柳在春, "驛에 대한 築城과 기능에 대하여 三陟 沃原驛城을 중심으로" 3 : 1988

      15 "輿地圖書"

      16 "經國大典"

      17 國立木浦大學博物館, "海南郡의 文化遺蹟" 1986

      18 "朝鮮王朝實錄"

      19 越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917

      20 "新增東國輿地勝覽"

      21 "大東地志"

      22 金井昊, "地方沿革硏究全南을 中心으로" 光州日報出版局 1988

      23 "三國史記"

      24 "1872年 郡縣地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