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 원인에 대한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3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이 성숙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인지, 아니면 1990년대 이후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금융 및 자산시장의 변화를 반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고는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이 성숙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인지, 아니면 1990년대 이후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금융 및 자산시장의 변화를 반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국민계정의 연도별 가계저축률을 가계조사 자료의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분기별 자료로 변환하여 표본수를 확충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가운데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더 빠르게 축소되었고, 고령화에 따른 노령인구 부양비율 증가, 연금제도 확대에 따른 가계의 연기금에 대한 지분증가 등이 가계저축률의 장기적 하락을 초래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경제성장의 고용흡수력 저하와 같은 노동시장 변화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해외 직접투자 증가, 정보통신기술 혁신, 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퇴직자 증가 및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으로 가계의 소득기반이 약화되었다.
      셋째, 외환위기 이후 금융기관들의 가계대출 및 신용카드 발급 활성화로 인한 가계부채의 증가,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원리금상환 부담 증대 및 주택마련을 위한 차입 증가는 가계저축률 하락을 초래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이러한 금융ㆍ자산시장 변수들이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가계저축률 반등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면 가계저축률의 하락은 경제성장률 저하, 고령화와 사회보장제도 확대라는 장기적 요인과 함께 가계부문에 대한 소득분배를 축소시키는 구조적 요인, 그리고 금융ㆍ자산시장의 변동요인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노동시장 의 구조 변화로 인해 가계의 소득기반이 대폭 약화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household saving turned to a decreasing trend in the early 1990s, and further fell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We seek to explain Korea’s savings trend reversal more deeply than the naive story of Korea’s transformation into a ...

      Korea’ household saving turned to a decreasing trend in the early 1990s, and further fell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We seek to explain Korea’s savings trend reversal more deeply than the naive story of Korea’s transformation into a mature economy, taking into account changes in labor, financial and asset markets.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studies, we convert annual observations of household saving rate from the National Accounts into the quarterly series using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results.
      Our empirical analysis on the period between 1990:Ⅰ and 2012:Ⅳ shows that slowdown of economic growth, ageing in the demographic trends, and strengthening of social security are the long-term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creasing trend of the saving rate. Secondly, i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a decline in the employment absorption rate. Thirdly, fluctuation of the household saving rate after the 1997 crisis could be explained by easing of liquidity constraint faced by households, a sharp increase in household debt, and a rise in housing price. Reversal of trends of these factor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ontributed to its rebound in the 2000s.
      The decline in the household saving rate is a long-run trend driven by slowdown of growth, ageing, strengthening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shrinking of labor income share. In particular, undermining of the households’ income foundation caused by “jobless growth” needs due attention in explaining why Korea’s household saving rate remains lo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문헌 검토
      • Ⅲ. 실증모형의 설정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문헌 검토
      • Ⅲ. 실증모형의 설정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제, "한국의 경제성장과 사회지표의 변화"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470 : 2012

      2 차은영, "저축행동과 유동성 제약: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44 (44): 27-48, 1996

      3 박종규, "우리나라의 저축률 하락: 거시적 구조변화와 미시적 요인" 조세연구원 7 (7): 93-140, 2000

      4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5 홍기석, "우리나라 저축률의 결정요인" 19 (19): 3-46, 1977

      6 유경원, "우리나라 가계저축률 격차의 발생원인 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22 : 103-135, 2008

      7 강창구,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한국 은행 42 (42): 49-79, 2010

      8 김기호, "비관측인자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한국은행 13 (13): 70-110, 2007

      9 이긍희, "벤치마킹 방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통계청 13 (13): 25-47, 2008

      10 송승주, "개인저축률과 거시경제 변수간 관계 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 연구원 377 : 2009

      1 조윤제, "한국의 경제성장과 사회지표의 변화"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470 : 2012

      2 차은영, "저축행동과 유동성 제약: 한국자료를 중심으로" 44 (44): 27-48, 1996

      3 박종규, "우리나라의 저축률 하락: 거시적 구조변화와 미시적 요인" 조세연구원 7 (7): 93-140, 2000

      4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5 홍기석, "우리나라 저축률의 결정요인" 19 (19): 3-46, 1977

      6 유경원, "우리나라 가계저축률 격차의 발생원인 분석" 한국경제연구학회 22 : 103-135, 2008

      7 강창구,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한국 은행 42 (42): 49-79, 2010

      8 김기호, "비관측인자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한국은행 13 (13): 70-110, 2007

      9 이긍희, "벤치마킹 방법을 이용한 월별 GDP 추정" 통계청 13 (13): 25-47, 2008

      10 송승주, "개인저축률과 거시경제 변수간 관계 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 연구원 377 : 2009

      11 신원섭, "가계저축률 하락과 정책과제" 한국은행 2010

      12 Horioka, C. Y., "Why is Japan’s Household Saving Rate so High? A Literature Survey" 4 (4): 49-92, 1990

      13 Bosworth, Barry, "Why Don’t Americans Save?" Center for Retirement Research at Boston College 2004

      14 Ogawa, Kazuo, "Why Did Japan’s Household Savings Rate Fall in the 1990s?" Institute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Osaka University 2006

      15 Kwack, Sung Yeung, "What Determines Saving Rates in Korea? The Role of Demography" 16 : 861-873, 2005

      16 Iwaisako, Tokuo, "Understanding the Decline in Japan’s Saving Rate in the new Millennium" 24 : 163-173, 2012

      17 김대환, "Time Preference and Saving Rate : Implications for Global Imbalances" 한국금융학회 26 (26): 61-91, 2012

      18 Ando, A.,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 Aggregate Implication and Testing" 53 (53): 55-84, 1963

      19 Braun, R. A., "The saving rate in Japan : Why It Has Fallen and Why It Will Remain Low" 50 : 291-321, 2009

      20 Okubo, Masakatsu, "The Intertemporal Elasticity of Substitution: An Analysis Based on Japanese Data" 78 (78): 367-390, 2011

      21 Feldstein, M., "The Economics of Public Services" MacMillan 174-205, 1977

      22 De Serres, A., "The Decline in Private Saving Rates in the 1990s in OECD Countries: How Much Can be Explained by Non-Wealth Determinants?" 36 : 117-153, 2003

      23 Modigliani, Franco, "The Chinese Saving Puzzle and the Life Cycle Hypothesis" 42 : 145-170, 2004

      24 Horioka, C. Y., "The (dis)Saving Behavior of the Aged in Japan" NBER 2009

      25 Sax, C., "Temporal Disaggregation of Time Series" 5 (5): 80-87, 2013

      26 Chamberlin, G., "Temporal Disaggregation"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11 : 1061-1021, 2010

      27 Feldstein, M., "Social Security, Induced Retirement and Aggregate Capital Accumulation" 82 : 905-926, 1974

      28 Koskela, Erkki, "Social Security and Household Saving in an International Cross Section" 73 (73): 212-217, 1983

      29 Newey, W., "Simple, Positive Semi-definite, Heteroskedasticity and utocorrelation Consistent Covariance Matrix" 55 (55): 703-708, 1987

      30 Park, Daekeun, "Saving, Growth, and Demographic Change in Korea" 19 : 394-413, 2005

      31 Modigliani, Franco, "Recent Declines in the Saving Rates: A Life Cycle Perspective" 5-42, 1990

      32 Mody, shoka, "Precautionary Savings in Great Depression" IMF 2012

      33 Burke, S. P., "Modelling Non—Stationary Economic Time Series : A Multivarite Approach" Palgrave Macmillan 2005

      34 Mankiw, N. G., "Macroeconomics" Worth Publishers

      35 Engle, R. F., "Long-run Economic Relationships : Readings in Cointe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36 Modigliani, Franco, "Induction, Growth and Trade. Essays in Honour of Sir Roy Harrod" Oxford 1970

      37 Sung Yeung Kwack, "Household Saving Behavior and the Effect of Income Growth: Evidence from Korean Household Survey Data" 경제연구소 16 (16): 323-341, 2003

      38 Obstfeld, Maurice, "Foundations of International Macro-economics" The MIT Press 1996

      39 Fesseau, Maryse, "Distributional Measures Across Households Groups in a National Accounts Framework-Results from an Experimental Cross-Country Exercise on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and Saving" OECD and Eurostat 2013

      40 Engle, R. F.,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55 : 251-276, 1987

      41 Flores, R. G., "An Enlarged Definition of Cointegration" 50 : 193-195, 1996

      42 Horioka, C. Y., "Aging, Saving, and Publc Pensions in Japan" NBER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