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범패의 연행 형식과 의례 행위 = The form of performance and ritual condition of Buddhist ritual music Beompae -Through rare recordings ≪Yeongnam Beompae≫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8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남범패≫는 1969년 8월에 녹음하여 2007년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희귀음반 시리즈로 발간한 음반이다. 이 음반에는 45곡의 영남범패가 수록되어 있는데, 본 연구자는 이들 중 동일곡을 ...

      ≪영남범패≫는 1969년 8월에 녹음하여 2007년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희귀음반 시리즈로 발간한 음반이다. 이 음반에는 45곡의 영남범패가 수록되어 있는데, 본 연구자는 이들 중 동일곡을 다른 연주 형태로 노래하고 있는 ‘³지심신례’³와 ‘³삼귀의’두 곡을 찾았다. 지심신례는 독창과 합창, 삼귀의는 독창과 교창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을 비교하므로써 연주 형태에 따라 악곡의 변화가 어느 정도 일어나고 있는지, 이러한 변화는 재의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소리에 비해서 ‘³지심신례’³와 ‘³삼귀의’두 곡 모두 합창이나 교창으로 노래할 때는 단3도 정도 높은 키로 노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혼자 노래 할 때 보다 대중이 다 함께 노래할 때 좀 더 상기된 분위기가 조성된 결과로 보인다. 그런가하면 독소리와 합창, 독소리와 교창의 관계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중이 함께 노래 할 때 보다 혼자 노래 할 때 장식음이나 시김새가 좀 더 섬세하고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었다. 이는 다 함께 노래하는 경우 시김새를 자유로이 구사할 수 없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독소리(solo)에서 합창으로, 독소리에서 교창으로 불렀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대중 합창으로 부른 곡은 독소리와 그다지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대중이 주고받는 교창에서는 가사의 내용이 배로 늘어났고, 선율에 있어서는 범패조와 완전히 다른 민요조의 선율까지 부가되는가 하면 복수의 사물 타주와 북가락까지 가세하여 변화의 폭이 매우 컸다. 이러한 변화는 사물 타주에도 영향을 미쳤고, 재장의 분위기에도 커다란 변화를 주는가 하면 민요조의 선율은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und source of ≪Yeongnam Beompae≫ was recored in Aug 1969. They are 5CD set series of rare recordings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2007. Among the 45 Buddhist ritual Beompae songs published, I found fou...

      The sound source of ≪Yeongnam Beompae≫ was recored in Aug 1969. They are 5CD set series of rare recordings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2007. Among the 45 Buddhist ritual Beompae songs published, I found four versions of the same song recorded in different styles: Solo, Chorus, Solo, and Antiphonary. The solo singer and the leader singer of the chorus versions was the same person, so I compared with those songs each other and research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lo, chorus, and antiphonary styles, and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performance forms affect the ritual condition.
      During my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 pitch of the chorus and antiphonary songs was upper 3 minor interval greater than the solo version. I believe the atmosphere was affected by the greater number of people in the ritual place. Another difference was the ornamental grace and vibrato of the solo songs being more delicate than the chorus or antiphonary versions. It was such that the solo singer could sing more freely.
      Differences between the solo and chorus were smaller then the antiphonary song. The antiphonary song included a greater variety of lyrics, melody, and percussion rhythm, especially a folk song style. The fork song style in the antiphonary version made the ritual more exciting and accessible to the particip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영남범패 음원과 분류
      • Ⅲ. 같은 곡 다른 연행
      • Ⅳ. 교창의 확대 요소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영남범패 음원과 분류
      • Ⅲ. 같은 곡 다른 연행
      • Ⅳ. 교창의 확대 요소
      • Ⅴ. 악곡 형식과 의례 행위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