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강 점막 하 주입 Midazolam과 경구 투여한 Chloral Hydrate의 용량에 따른 산소 포화도 및 생징후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 Effect of Submucosal Midazolam on Percutaneous Saturation Percentage of Oxygen (SpO2), End-tidal Carbon Dioxide (EtCO2) and Physiologic Response When Combined with Chloral Hydrate, Hydroxyzine and Nitrous Oxide Se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3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pO2, PR, EtCO2, RR with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Thirty two sedation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one group taking oral CH (6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1 mg/kg) and the other group recieving oral CH (5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2 mg/kg). For evaluating the depth of sedation, data including saturation percentage of oxygen (SpO2), pulse rate (PR), end-tidal carbon dioxide (EtCO2), respiratory rate (RR)
      and the behavior scale were checked every 2 minutes and were collected for only 40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were analyze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
      Results: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pO2, PR, EtCO2, RR during sedation between two groups (P>0.05). The values of SpO2, PR, EtCO2 and RR for both groups remained within the normal valu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mbination of oral CH, hydroxyzine,nitrous oxide gas inhalation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improved the sedation quality without compromising safety. (JKDSA 2006; 6: 89~97)
      번역하기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pO2, PR, EtCO2, RR with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Thirty two sedation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pO2, PR, EtCO2, RR with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Thirty two sedation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one group taking oral CH (6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1 mg/kg) and the other group recieving oral CH (5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0.2 mg/kg). For evaluating the depth of sedation, data including saturation percentage of oxygen (SpO2), pulse rate (PR), end-tidal carbon dioxide (EtCO2), respiratory rate (RR)
      and the behavior scale were checked every 2 minutes and were collected for only 40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were analyze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
      Results: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pO2, PR, EtCO2, RR during sedation between two groups (P>0.05). The values of SpO2, PR, EtCO2 and RR for both groups remained within the normal valu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mbination of oral CH, hydroxyzine,nitrous oxide gas inhalation and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improved the sedation quality without compromising safety. (JKDSA 2006; 6: 89~97)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아는 성인과 달리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으로 미성숙해서 치과 치료에 대해서도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Barr et al, 1977). Loc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조사 대상자의 50.9%가 어린시절 처음 치과 공포를 경험하였고,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낸다고 한다(Locker et al, 1999). 이와 같은 증상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일종으로 치과 치료에 대해 회피 반응을 보이거나 불면증 및 악몽을 호소하기도 한다(De Bellis et al, 2005).
      그러므로 치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예방하기 위해 진정법을 고려해야 한다. 진정을 이용한 치과 치료는 특히 행동 조절이 어려운 소아 환자에게 더욱 필요하다(Nathan, 1989; AAPD Guideline,2005).일반적으로 진정법은 의식하 진정(conscious sedation)과 깊은 진정(deep sedation)으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의식하 진정(conscious sedation)은 약물의 작용에 의해 유도된 의식 억제 상태로, 의식 수준에 따라 경미한 진정(minimal sedation)과 중등도 진정(moderate
      sed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깊은 진정(deep sedation)은 의식하 진정에 비해 보다 깊은 수준으로 진정되어 환자의 보호 반사가 부분적으로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신 마취의 상태 및 위험 수준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는 유도된 무의식 상태로서 환자의 보호 반사 기능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상실되는 수준이다. 이러한 정의에 의해 의식 수준
      이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의식 수준은 연속선상에 있으므로 계획하는 진정 깊이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 감시를 철저히 해야 한다(AAPD Guideline,
      2005).약물은 진정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약물에 의한 진정 시 최대한의 치료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환자의 안전을 위해 약물의 종류, 용량 및 투여 경로를 신중히 고려해야한다. 진정 치료 시 사용되는 약물은 안전해야 하고, 투여 시 통증이 없어야 하고, 약효 발현과 회복 속도가 빨라야 하며, 가역적이고,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소아의 진정을 위해 benzodiazepine, barbiturate, chloral hydrate,
      opioid 계통의 약물이 단독 혹은 병용으로 사용한다(Roelofse, 2000). 미국 소아 치과 학회 조사에 의하면 chloral hydrate, hydroxyzine, 그리고 nitrous oxide
      흡입 진정은 소아치과 의사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의 조합이다(Wilson et al, 1998).Chloral hydrate (이하 CH)는 1832년 Justin Liebig에 의해 소개된 이래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는 수면제 중 하나이다. 오늘날 소아과, 응급센터, 방사선
      과, 치과에서 소아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Graham, 1988; Pediatrics, 1993). CH에 대한 안전성과 진정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되었고(Nathan,
      1987; D'Agostino and Terndrup, 2000), 성공률은 18%에서 90%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낮은 성공률은 CH의 적은 용량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Nathan,
      1987). 이 약물은 원래 불면증을 위해 처방되었는데, 치과에서는 소아의 경구 진정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 약물은 alcohol 유도체이며, 위 장관을 통해 빠르게 심혈관계로 흡수되고 간과 신장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활동성 형태인 trichloroethanol(이하TCE)이 된다. 경구 투여 후 졸림 또는 얕은 잠은 보통 30분에서 40분 사이에 나타나고, 작용 기간은 2시간에서 5시간이다. 진정 작용은 대사산물인 TCE
      때문이다. 흡수 후에 CH는 주로 TCE로 나머지는 trichloroacetic acid ...
      번역하기

      소아는 성인과 달리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으로 미성숙해서 치과 치료에 대해서도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Barr et al, 1977). ...

      소아는 성인과 달리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으로 미성숙해서 치과 치료에 대해서도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Barr et al, 1977). Loc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조사 대상자의 50.9%가 어린시절 처음 치과 공포를 경험하였고,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낸다고 한다(Locker et al, 1999). 이와 같은 증상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일종으로 치과 치료에 대해 회피 반응을 보이거나 불면증 및 악몽을 호소하기도 한다(De Bellis et al, 2005).
      그러므로 치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예방하기 위해 진정법을 고려해야 한다. 진정을 이용한 치과 치료는 특히 행동 조절이 어려운 소아 환자에게 더욱 필요하다(Nathan, 1989; AAPD Guideline,2005).일반적으로 진정법은 의식하 진정(conscious sedation)과 깊은 진정(deep sedation)으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의식하 진정(conscious sedation)은 약물의 작용에 의해 유도된 의식 억제 상태로, 의식 수준에 따라 경미한 진정(minimal sedation)과 중등도 진정(moderate
      sed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깊은 진정(deep sedation)은 의식하 진정에 비해 보다 깊은 수준으로 진정되어 환자의 보호 반사가 부분적으로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신 마취의 상태 및 위험 수준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는 유도된 무의식 상태로서 환자의 보호 반사 기능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상실되는 수준이다. 이러한 정의에 의해 의식 수준
      이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의식 수준은 연속선상에 있으므로 계획하는 진정 깊이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 감시를 철저히 해야 한다(AAPD Guideline,
      2005).약물은 진정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약물에 의한 진정 시 최대한의 치료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환자의 안전을 위해 약물의 종류, 용량 및 투여 경로를 신중히 고려해야한다. 진정 치료 시 사용되는 약물은 안전해야 하고, 투여 시 통증이 없어야 하고, 약효 발현과 회복 속도가 빨라야 하며, 가역적이고,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소아의 진정을 위해 benzodiazepine, barbiturate, chloral hydrate,
      opioid 계통의 약물이 단독 혹은 병용으로 사용한다(Roelofse, 2000). 미국 소아 치과 학회 조사에 의하면 chloral hydrate, hydroxyzine, 그리고 nitrous oxide
      흡입 진정은 소아치과 의사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의 조합이다(Wilson et al, 1998).Chloral hydrate (이하 CH)는 1832년 Justin Liebig에 의해 소개된 이래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는 수면제 중 하나이다. 오늘날 소아과, 응급센터, 방사선
      과, 치과에서 소아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Graham, 1988; Pediatrics, 1993). CH에 대한 안전성과 진정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되었고(Nathan,
      1987; D'Agostino and Terndrup, 2000), 성공률은 18%에서 90%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낮은 성공률은 CH의 적은 용량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Nathan,
      1987). 이 약물은 원래 불면증을 위해 처방되었는데, 치과에서는 소아의 경구 진정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 약물은 alcohol 유도체이며, 위 장관을 통해 빠르게 심혈관계로 흡수되고 간과 신장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활동성 형태인 trichloroethanol(이하TCE)이 된다. 경구 투여 후 졸림 또는 얕은 잠은 보통 30분에서 40분 사이에 나타나고, 작용 기간은 2시간에서 5시간이다. 진정 작용은 대사산물인 TCE
      때문이다. 흡수 후에 CH는 주로 TCE로 나머지는 trichloroacetic acid ...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8 0.29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