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이데거와 니체의 예술 이해 = Über die Kunst in der Philosophie von Heidegger und Nietzsch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3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vorliegende Arbeit gibt einen Überblick der Nietzscheschen Artisten-Metaphysik, untersucht das Heideggersches Nachdenken über die Kunst im Bezug auf seine frühre Seinsproblematik und analysiert die gleichen und unterschiedlichen Einstellungen über die Kunst von den beiden Denkern. Die Heideggersche Interpretation über die Hölderlins Dichtung ist, wie Heidegger selber sagt, eine Diagnose über die Zeit sowohl von den nicht mehr existierenden als auch von den noch nicht angekommnen Göttern. Und sie beinhaltet gleichzeitig die Bestimmung von der Moderne als eine dürftige Zeit wegen dieser doppelseitigen Abwesenheit der Güöttern. Solche Betrachtungsweise von Heidegger ist aber erst durch seine aufmerksame Lektüre von Nietzsche ermöglicht. Der Perspektive von Heidegger, welche die Künstler als die Rettender der dürftigen Zeit betrachtet, liegt das Nietzsche‘s Verständnis für die Kunst vor, dass die Kunst einen mächtigen Einfluß einübt bei dem möglichen Wechsel des Lebensprinzipes.
      번역하기

      Die vorliegende Arbeit gibt einen Überblick der Nietzscheschen Artisten-Metaphysik, untersucht das Heideggersches Nachdenken über die Kunst im Bezug auf seine frühre Seinsproblematik und analysiert die gleichen und unterschiedlichen Einstellungen �...

      Die vorliegende Arbeit gibt einen Überblick der Nietzscheschen Artisten-Metaphysik, untersucht das Heideggersches Nachdenken über die Kunst im Bezug auf seine frühre Seinsproblematik und analysiert die gleichen und unterschiedlichen Einstellungen über die Kunst von den beiden Denkern. Die Heideggersche Interpretation über die Hölderlins Dichtung ist, wie Heidegger selber sagt, eine Diagnose über die Zeit sowohl von den nicht mehr existierenden als auch von den noch nicht angekommnen Göttern. Und sie beinhaltet gleichzeitig die Bestimmung von der Moderne als eine dürftige Zeit wegen dieser doppelseitigen Abwesenheit der Güöttern. Solche Betrachtungsweise von Heidegger ist aber erst durch seine aufmerksame Lektüre von Nietzsche ermöglicht. Der Perspektive von Heidegger, welche die Künstler als die Rettender der dürftigen Zeit betrachtet, liegt das Nietzsche‘s Verständnis für die Kunst vor, dass die Kunst einen mächtigen Einfluß einübt bei dem möglichen Wechsel des Lebensprinzip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니체의 ‘예술가 형이상학’을 개괄한 후, 하이데거의 예술에 대한 고찰을 그의 전기사상과의 연관 속에서 살피고, 그의 예술관이 니체의 예술관과공유하는 지점과 그로부터 분기해 독자적인 길을 가는 지점을 분석한다. 이를통해 니체를 전통 형이상학의 완성자로 보는 하이데거의 니체독해를 니체와 하이데거의 예술관이라는 틀에서 재삼 검증해 본다. 시대의 변환가로 예술가를 정초하는 것처럼 보이는 횔덜린의 시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은 그의 말처럼 “달아나버린 신들과 도래하는 신들의 시대”에 대한 규정이며 현대를 두 가지 의미의 결여로 설명하는 시대규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횔덜린에 대한 이러한 접근이가능해진 것은 명백히 니체의 영향이다. 예술가를 궁핍한 시대의 변환가로 바라보는 시각의 근저에는 삶의 원칙을 바꾸는 데 예술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니체의 예술 이해가 놓여있다. 무궁한 삶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영역인 예술에서 단지 나르시스적인 개인의 자기현시만을 보는 현대의 예술 이해는 명백히문화적 가능성의 축소이자 인간의 왜소화이다. 인간의 구체적 행위와 나아가 전체적인 삶의 의미를 감지하고 찾아서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능력이 현대에 사라졌거나 최소한 위축되고 말았다는 진단은 두 사상가 모두에게 공통된 것이다.
      니체에게는 끝없는 자기극복을 통해 새로운 관점과 지평을 열어나가는 장이예술이라면, 하이데거에게 예술은 인간이 삼가며 귀 기울일 때 감춰진 존재가현상하는 탁월한 영역이다. 니체에게 예술가는 역사 속에서 인류가 경험했던 기존의 관점들을 자유자재로 다루며 새로운 집짓기와 해체의 유희를 하는 어린아이나 주권적 개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하이데거에게서 예술가는 스스로의 실존을 문제 삼는 현존재(Da-sein) 중에서도 존재의 심연에서 오는 소리를들을 줄 아는 성숙한 자를 지칭하는 기호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두 사상가가 서로 상이한 예술개념을 통해서 가르치는 지점이 크게 달라 보이지는 않는다. 근원적 일자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영원한 가치의 창조와 해체의 창조적인 작업을 지속하자는 니체와 망각되었던 존재와의 올바른 관계를 정립하자는 하이데거에게 있어서, 그것이 생명의 고양이건 존재의 빛 속에서 사는 것이건, 이들에게 예술은 근원적인 삶으로의 귀환이 가능해지는 곳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니체의 ‘예술가 형이상학’을 개괄한 후, 하이데거의 예술에 대한 고찰을 그의 전기사상과의 연관 속에서 살피고, 그의 예술관이 니체의 예술관과공유하는 지점과 그로부터 분...

      본 연구는 니체의 ‘예술가 형이상학’을 개괄한 후, 하이데거의 예술에 대한 고찰을 그의 전기사상과의 연관 속에서 살피고, 그의 예술관이 니체의 예술관과공유하는 지점과 그로부터 분기해 독자적인 길을 가는 지점을 분석한다. 이를통해 니체를 전통 형이상학의 완성자로 보는 하이데거의 니체독해를 니체와 하이데거의 예술관이라는 틀에서 재삼 검증해 본다. 시대의 변환가로 예술가를 정초하는 것처럼 보이는 횔덜린의 시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은 그의 말처럼 “달아나버린 신들과 도래하는 신들의 시대”에 대한 규정이며 현대를 두 가지 의미의 결여로 설명하는 시대규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횔덜린에 대한 이러한 접근이가능해진 것은 명백히 니체의 영향이다. 예술가를 궁핍한 시대의 변환가로 바라보는 시각의 근저에는 삶의 원칙을 바꾸는 데 예술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니체의 예술 이해가 놓여있다. 무궁한 삶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영역인 예술에서 단지 나르시스적인 개인의 자기현시만을 보는 현대의 예술 이해는 명백히문화적 가능성의 축소이자 인간의 왜소화이다. 인간의 구체적 행위와 나아가 전체적인 삶의 의미를 감지하고 찾아서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능력이 현대에 사라졌거나 최소한 위축되고 말았다는 진단은 두 사상가 모두에게 공통된 것이다.
      니체에게는 끝없는 자기극복을 통해 새로운 관점과 지평을 열어나가는 장이예술이라면, 하이데거에게 예술은 인간이 삼가며 귀 기울일 때 감춰진 존재가현상하는 탁월한 영역이다. 니체에게 예술가는 역사 속에서 인류가 경험했던 기존의 관점들을 자유자재로 다루며 새로운 집짓기와 해체의 유희를 하는 어린아이나 주권적 개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하이데거에게서 예술가는 스스로의 실존을 문제 삼는 현존재(Da-sein) 중에서도 존재의 심연에서 오는 소리를들을 줄 아는 성숙한 자를 지칭하는 기호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두 사상가가 서로 상이한 예술개념을 통해서 가르치는 지점이 크게 달라 보이지는 않는다. 근원적 일자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영원한 가치의 창조와 해체의 창조적인 작업을 지속하자는 니체와 망각되었던 존재와의 올바른 관계를 정립하자는 하이데거에게 있어서, 그것이 생명의 고양이건 존재의 빛 속에서 사는 것이건, 이들에게 예술은 근원적인 삶으로의 귀환이 가능해지는 곳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이데거, 마르틴, "횔덜린 시의 해명(하이데거)" 아카넷 2009

      2 윤병렬, "하이데거의 횔더린 시(詩)-해석과 “다른 시원”" 한국하이데거학회 (7) : 169-208, 2002

      3 신상희, "하이데거의 예술론" 인문학연구원 (41) : 165-190, 2008

      4 최상욱, "하이데거에 있어 “위대한 예술”의 척도"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231-254, 2012

      5 김창래, "통일과 해체의 이율배반 – 하이데거의 니체해석에 관한 이른바 있을 법하지 않은 논쟁의 불가피성에 대하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4 : 63-88, 2001

      6 니체, "유고(1888년 초-1889년 1월 초)" 책세상 2006

      7 니체, "유고(1869년 가을-1872년 가을)" 책세상 2005

      8 지젝, 슬라보예, "오페라의 두 번째 죽음" 민음사 2010

      9 하이데거, 마르틴, "숲길, 마르틴 하이데거" 나남출판 2008

      10 하이데거, 마르틴, "사유의 경험으로부터" 도서출판 길 2012

      1 하이데거, 마르틴, "횔덜린 시의 해명(하이데거)" 아카넷 2009

      2 윤병렬, "하이데거의 횔더린 시(詩)-해석과 “다른 시원”" 한국하이데거학회 (7) : 169-208, 2002

      3 신상희, "하이데거의 예술론" 인문학연구원 (41) : 165-190, 2008

      4 최상욱, "하이데거에 있어 “위대한 예술”의 척도" 한국하이데거학회 (29) : 231-254, 2012

      5 김창래, "통일과 해체의 이율배반 – 하이데거의 니체해석에 관한 이른바 있을 법하지 않은 논쟁의 불가피성에 대하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4 : 63-88, 2001

      6 니체, "유고(1888년 초-1889년 1월 초)" 책세상 2006

      7 니체, "유고(1869년 가을-1872년 가을)" 책세상 2005

      8 지젝, 슬라보예, "오페라의 두 번째 죽음" 민음사 2010

      9 하이데거, 마르틴, "숲길, 마르틴 하이데거" 나남출판 2008

      10 하이데거, 마르틴, "사유의 경험으로부터" 도서출판 길 2012

      11 니체, "비극의 탄생" 책세상 2007

      12 염재철, "미학대계 제1권. 미학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81-501, 2011

      13 박찬국,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그린비 2015

      14 박찬국, "니체와 하이데거" 그린비 [서울] 2016

      15 하이데거, 마르틴, "강연과 논문" 이학사 2015

      16 김창래,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세 가지 실존" 철학연구소 44 : 311-349, 2016

      17 Aristoteles, "Über die Dichtkunst, Ins Deutsch übersetzt und mit erläuternden Anmerkungen und einem die Textkritik betreffenden Anhang versehen von Dr. Friedrich Ueberweg" Verlag von L. Heimann 1869

      18 Plumpe, Gerhard, "Ästhetische Kommunikation der Moderne, Bd. 2, Von Nietzsche zur Gegenwart" Springer Fachmedien 1993

      19 Plutarchos, "Werke, Moralische Schriften, übersetzt von Joh. Christian Bähr, Band 10" 1835

      20 Nietzsche, Friedrich,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II 2" 1967

      21 Hoffmann, Johann Napomuk, "Wahrheit, Perspektive, Interpretation. Nietzsche und die philosophische Hermeneutik" 1994

      22 Forget, Philippe, "Text und Interpretation: Deutsch-französische Debatte" 1984

      23 Heidegger, Martin, "Phänomenologische Interpretation zu Aristoteles" 1921

      24 Heidegger, Martin, "Nietzsche: Der europäische Nihilismus" Vittorio Klostermann 1986

      25 Krummel, Richard Frank, "Nietzsche und der deutsche Geist. Bd. 2" Walter de Gruyter 1998

      26 Schmidt, Jochen, "Nietzsche Kommentar. Die Geburt der Tragödie" De Gruyter 2012

      27 Schlegel, Friedrich, "Kritische Ausgabe, Band 1: Studien des klassischen Altertums" 1979

      28 Nietzsche, Friedrich, "Götzendämmerung, KSA Bd. 6" de Gruyter 1988

      29 Wagner, Richard, "Gesammelte Schriften und Dichtungen, Band 9" 1907

      30 Safranski, Rüdiger, "Ein Meister aus Deutschland. Heidegger und seine Zeit" 2004

      31 Benn, Gottfried, "Doppelleben, Zwei Selbsdarstellungen" 1950

      32 Nietzsche, Friedrich, "Die fröhliche Wissenschaft, KSA Bd. 3" de Gruyter 1988

      33 Wagner, Richard,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II., Gesammelte Schriften und Dichtungen, Band 3" 1907

      34 Schopenhauer, Arthur,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II, Werke in Fünf Bänden, Band II" Haffmans Verlag 1988

      35 Wilamowitz-Möllendorff, Ulrich von, "Der Streit um Nietzsches ‘Geburt der Tragödie’. Die Schriften von E. Rohde, R. Wagner, U. v. Wilamowitz-Mölendorff" Georg Olms Verlag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니체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74 1.84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