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인 『쇼미더머니』시리즈를 통해 최근 힙합과 관련된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쇼미더머니』는 그간의 일반적인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달리 힙합이라는 하나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61019
2015
Korean
진정성 ; 힙합 ; 대중음악 ; 쇼미더머니 ; 오디션 프로그램 ; authenticity ; hiphop ; popularmusic ; ShowMe theMoney ; audition program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5-13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인 『쇼미더머니』시리즈를 통해 최근 힙합과 관련된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쇼미더머니』는 그간의 일반적인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달리 힙합이라는 하나의 ...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인 『쇼미더머니』시리즈를 통해 최근 힙합과 관련된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쇼미더머니』는 그간의 일반적인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달리 힙합이라는 하나의 장르에만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음악 애호가들과 일반 대중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타 장르에 비해 수용의 역사가 짧은 힙합은 미국 본토와의 제 문화사회적 차이로 인하여, 장르의 성격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들이 발견된다. 그 중에서도 ‘어떻게 해야 진정한 힙합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상기시키는 힙합의 진정성에 대한 논의는 현재 진행형이다.
예술의 진정성(authenticity)에 대한 담론은 발터 벤야민의 고전적인 아우라(aura) 개념으로부터 확인해볼 수 있다. 벤야민 이후에도 사회학과 문화학, 음악학 등 제 분야에서 진정성 개념을 재해석하고 있는데, 크게 작품 및 창작자 측면과 수용자 및 사회 측면 두 가지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쇼미더머니』시리즈 중 가장 최근에 종영한 시즌3을 통하여 현재 한국 힙합에서 요구되는 진정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주목해보고자 한다.『쇼미더머니3』에서 현저하게 드러난 부분은 창작자의 진정성인데, 특히 아이돌 출신이 정통 힙합에 도전한다는 사실에 대하여 프로그램 안팎으로 상당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창작자의 출신 배경이 힙합의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재의 한국 힙합이 생각해보아야 할 진정성 함의에 대해 고찰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자 목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thenticity has long been discussed in arts. Recently, there is an ongoing debate on the authenticity in popular culture in general and in popular music in particular. In popular music, discussions concerned with authenticity has been notably in folk...
Authenticity has long been discussed in arts. Recently, there is an ongoing debate on the authenticity in popular culture in general and in popular music in particular. In popular music, discussions concerned with authenticity has been notably in folk and rock. Yet, hip hop is another genre that deserves discussions on authenticity. In the United States where hip hop has its roots, hip hop has long beenmostly enjoyed by youth in the lower class in the city. Hip hop has been synonymous with violence, crime and other anti-social activities. Hip hop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in the late 1980s. Hip hop in Korea has been popular tomiddle class youth quite oftenwith experiences in foreign countries. Hip hop fanbase has long been limited. Local Music TV channel M.net has launched a hip hop audition program "Show me the money". this audition program has contributed to the wider acceptance of hip hop in terms of age and gender. A hot issue surrounding hip hop is the authenticity. Authenticity has long been discussed in various disciplines ranging from philosophy and sociology to popular music studies. Authenticity in hip hop comes from two some what different perspectives. One is the authenticity of the hip hop artist. Authenticity come from his personal background and how the artist has made his way in life. The other is concerned with the authenticity of the audience and society. These two aspects can help to explain the authenticity of hip hop. In Korea, central issue is concernedwith the first aspect.More specifically, the authenticity of idol hip hop, a rapper froman idol group. Showme the money has shown how an intial prejudice against the idol hiphopper can be gradually changed over the course, winding up the idol rapper to win the competition.
국문 초록 (Abstract)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인 『쇼미더머니』시리즈를 통해 최근 힙합과 관련된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쇼미더머니』는 그간의 일반적인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달리 힙합이라는 하나의 ...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인 『쇼미더머니』시리즈를 통해 최근 힙합과 관련된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쇼미더머니』는 그간의 일반적인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달리 힙합이라는 하나의 장르에만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음악 애호가들과 일반 대중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타 장르에 비해 수용의 역사가 짧은 힙합은 미국 본토와의 제 문화사회적 차이로 인하여, 장르의 성격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들이 발견된다. 그 중에서도 ‘어떻게 해야 진정한 힙합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상기시키는 힙합의 진정성에 대한 논의는 현재 진행형이다.
예술의 진정성(authenticity)에 대한 담론은 발터 벤야민의 고전적인 아우라(aura) 개념으로부터 확인해볼 수 있다. 벤야민 이후에도 사회학과 문화학, 음악학 등 제 분야에서 진정성 개념을 재해석하고 있는데, 크게 작품 및 창작자 측면과 수용자 및 사회 측면 두 가지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쇼미더머니』시리즈 중 가장 최근에 종영한 시즌3을 통하여 현재 한국 힙합에서 요구되는 진정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주목해보고자 한다.『쇼미더머니3』에서 현저하게 드러난 부분은 창작자의 진정성인데, 특히 아이돌 출신이 정통 힙합에 도전한다는 사실에 대하여 프로그램 안팎으로 상당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창작자의 출신 배경이 힙합의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재의 한국 힙합이 생각해보아야 할 진정성 함의에 대해 고찰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자 목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thenticity has long been discussed in arts. Recently, there is an ongoing debate on the authenticity in popular culture in general and in popular music in particular. In popular music, discussions concerned with authenticity has been notably in folk...
Authenticity has long been discussed in arts. Recently, there is an ongoing debate on the authenticity in popular culture in general and in popular music in particular. In popular music, discussions concerned with authenticity has been notably in folk and rock. Yet, hip hop is another genre that deserves discussions on authenticity. In the United States where hip hop has its roots, hip hop has long beenmostly enjoyed by youth in the lower class in the city. Hip hop has been synonymous with violence, crime and other anti-social activities. Hip hop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in the late 1980s. Hip hop in Korea has been popular tomiddle class youth quite oftenwith experiences in foreign countries. Hip hop fanbase has long been limited. Local Music TV channel M.net has launched a hip hop audition program "Show me the money". this audition program has contributed to the wider acceptance of hip hop in terms of age and gender. A hot issue surrounding hip hop is the authenticity. Authenticity has long been discussed in various disciplines ranging from philosophy and sociology to popular music studies. Authenticity in hip hop comes from two some what different perspectives. One is the authenticity of the hip hop artist. Authenticity come from his personal background and how the artist has made his way in life. The other is concerned with the authenticity of the audience and society. These two aspects can help to explain the authenticity of hip hop. In Korea, central issue is concernedwith the first aspect.More specifically, the authenticity of idol hip hop, a rapper froman idol group. Showme the money has shown how an intial prejudice against the idol hiphopper can be gradually changed over the course, winding up the idol rapper to win the competi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대, "한국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울 2008
2 이규탁,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토착화" 한국학연구소 36 (36): 59-84, 2011
3 양승규, "한국 음악산업에서의 점진적 혁신:유재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7 (17): 161-188, 2014
4 이주연, "크로스오버 방송프로그램의 탐색적 연구 - KBS '열린음악회'를 중심으로(1993-1999) -" 한국문화산업학회 11 (11): 89-110, 2011
5 이수범, "청소년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이용 동기가 음악 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9 (9): 121-138, 2009
6 김홍중,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한국사회학회 43 (43): 1-29, 2009
7 최유준, "아도르노의 음악미학" 작은이야기 2010
8 이수완, "서구 대중음악론에서 진정성 개념의 의미에 대한 소고" 한국미학회 65 (65): 99-129, 2011
9 Frith, S., "사운드의 힘 : 록음악의 사회학" 한나래 1995
10 Gracyk, T., "록음악의 미학" 이론과실천 2002
1 김영대, "한국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울 2008
2 이규탁,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토착화" 한국학연구소 36 (36): 59-84, 2011
3 양승규, "한국 음악산업에서의 점진적 혁신:유재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7 (17): 161-188, 2014
4 이주연, "크로스오버 방송프로그램의 탐색적 연구 - KBS '열린음악회'를 중심으로(1993-1999) -" 한국문화산업학회 11 (11): 89-110, 2011
5 이수범, "청소년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이용 동기가 음악 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9 (9): 121-138, 2009
6 김홍중,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한국사회학회 43 (43): 1-29, 2009
7 최유준, "아도르노의 음악미학" 작은이야기 2010
8 이수완, "서구 대중음악론에서 진정성 개념의 의미에 대한 소고" 한국미학회 65 (65): 99-129, 2011
9 Frith, S., "사운드의 힘 : 록음악의 사회학" 한나래 1995
10 Gracyk, T., "록음악의 미학" 이론과실천 2002
11 Negus, K., "대중음악이론: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마티 2012
12 송화숙,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Authenticity)개념" 대중서사학회 (21) : 345-370, 2009
13 Longhurst, B., "대중음악과 사회" 예영커뮤니케이션 1999
14 최유준, "대중매체시대, 음악은 진보하는가 : 벤야민의 대중예술론에 대한 아도르노의 미학적 답변" 한국미학예술학회 29 : 91-117, 2009
15 Shuker, R., "대중 음악 사전" 한나래 2012
16 Benjamin, W.,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길 2007
17 Grossberg, L., "We Gotta Get Out of this Place: Popular Conservatism and Postmodern Culture" Routledge 1992
18 Hebdige, D., "Subculture : The Meaning of Style" Methuen 1979
19 Thornton, S., "Club Clusters : Music, Media and Subcultural Capital" Polity Press 1995
20 코디최, "20세기 문화 지형도" 컬처그라퍼 2010
백남준의 전시작품의 실험에 새겨지는 새로운 시대정신 형상화
항공사의 서비스 가치, 만족, 행위의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