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진보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진보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이 중요시될 뿐만 아니라 진보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복합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개발하여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체험형 인터랙티브 스마트 교육으로 설계하는 과정을 통하여 디자인적 사고와 기술적 접근의 융복합된 과정이 기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에서 다양성의 한 모색으로 제시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란, "한국 문화예술교육 연구 경향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31): 76-97, 2017
2 조희경,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콘텐츠 디자인에 나타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요소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441-452, 2019
3 윤혜영, "증강현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49) : 71-91, 2018
4 전지윤, "인간의 내재적 관계 형상화를 위한 모바일 아트 구현 및 이미지텔링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407-416, 2012
5 정유선, "예술중심 융합교육에서 모바일 증강현실(AR)의 활용방안"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113-126, 2016
6 전지윤, "모바일 아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감각확장기기로서 스마트 폰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4
7 이주현, "맥락적 환경을 고려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19) : 179-218, 2010
8 배윤주, "국내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11년-2018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319-339, 2019
9 Y.K. Ja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ical Trends" 38 (38): 40-, 2010
10 전지영, "Interactive Authoring Tool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국정보처리학회 12 (12): 612-630, 2016
1 전경란, "한국 문화예술교육 연구 경향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1 (31): 76-97, 2017
2 조희경,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콘텐츠 디자인에 나타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요소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441-452, 2019
3 윤혜영, "증강현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49) : 71-91, 2018
4 전지윤, "인간의 내재적 관계 형상화를 위한 모바일 아트 구현 및 이미지텔링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407-416, 2012
5 정유선, "예술중심 융합교육에서 모바일 증강현실(AR)의 활용방안"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113-126, 2016
6 전지윤, "모바일 아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감각확장기기로서 스마트 폰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4
7 이주현, "맥락적 환경을 고려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19) : 179-218, 2010
8 배윤주, "국내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11년-2018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319-339, 2019
9 Y.K. Ja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ical Trends" 38 (38): 40-, 2010
10 전지영, "Interactive Authoring Tool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한국정보처리학회 12 (12): 612-630, 2016
11 N. M. Hwa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Philosophy & Reality, Philculture" 129-, 2018
12 E. Y. Jung, "Development of New Business Model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46-84, 2018
13 심효영,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증강현실(AR)기반의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19-127, 2017
YouTube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별 특성 및 사용자 반응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ame Character Design Based on Mythical Motif - Focused on League of Legend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2-1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지털컨텐츠학회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37 | 0.636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