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불교 물질문화의 정신적 배경 : 불교의 물질관과 중세 일본 불교의 물질을 둘러싼 담론 = Medieval Japanese Buddhist Discourse on Material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불교 물질문화 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동아시아를 비롯 불교가 성행했던 문화권에서 불교 특유의 물질문화가 번영하게 된 배경을 고찰하며 특히 불교의 물질에 대한 인식과 태도...

      이 글은 불교 물질문화 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동아시아를 비롯 불교가 성행했던 문화권에서 불교 특유의 물질문화가 번영하게 된 배경을 고찰하며 특히 불교의 물질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주목한다. 먼저 역사적으로 불교 물질문화의 번영에도 불구하고 물질문화 전반이나 그 안에서 사용된 불교 관련 사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함을 지적하고, 그 원인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종교학계에 만연한 편견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며 불교 물질문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중국의 불교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불교의 물질에 대한 태도와 그 변화를 살펴본 후, 일본 불교에서의 물질관과 그 논의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세 일본의 밀교, 그 중에서도 중세 천태 불교의 교학적 논의의 성숙과 발전에 따라 활발히 전개된 초목성불의 담론이 일본 불교의 물질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 결과적으로 불교 측의 물질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이끄는데 그 정신적 토대가 되었음을 확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s a first step for the stud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explores the ground of the prosperous material culture in East Asia, focusing on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dentifying the lack of material studies in the field of Budd...

      This essay, as a first step for the stud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explores the ground of the prosperous material culture in East Asia, focusing on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dentifying the lack of material studies in the field of Buddhism, the essay criticizes common biases about the study of material entities, spread among scholars of religion across the world. After a brief illustration of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n China, the essay specifically examines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t thought regarding materials and material culture. In particular, this essay explores how the medieval Tendai discussion about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by grass and trees was developed, as the Tendai doctrine of original enlightenment matured in medieval Japan. Moreover, the essay investigates the manner in which these discourses transformed Japanese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n general, and concludes that these materials provided the spiritual ground for the developed prosperit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throughout Japanese histo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