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흰쥐에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숙취해소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1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 effect of a mixture of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Nelumbo nucifera G. (leaf), and Camellia sinensis (seed) (MIX) on acute ethanol-induced hangover in Sprague-Dawley rats. Plasma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s in MIX-treated rats significantly decreased at 3 h and 5 h after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25%, 3 g/kg body weight/d) as compared to ethanol-treated rats.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IXtreated rats than in ethanol-treated rats. MIX exhibited high ADH and ALDH activities on direct assays using S9 rat liver fraction for ethanol metabolic enzymes clearance 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 could alleviate ethanol-induced hangover symptoms by elevating activities related to hepatic ethanol-metabolizing enzymes against ethanol induced metabolites, and MIX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o be a new anti-hangover material.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 effect of a mixture of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Nelumbo nucifera G. (leaf), and Camellia sinensis (seed) (MIX) on acute ethanol-induced hangover in Sprague-Dawley rats. Plasma et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 effect of a mixture of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Nelumbo nucifera G. (leaf), and Camellia sinensis (seed) (MIX) on acute ethanol-induced hangover in Sprague-Dawley rats. Plasma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s in MIX-treated rats significantly decreased at 3 h and 5 h after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25%, 3 g/kg body weight/d) as compared to ethanol-treated rats.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IXtreated rats than in ethanol-treated rats. MIX exhibited high ADH and ALDH activities on direct assays using S9 rat liver fraction for ethanol metabolic enzymes clearance 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 could alleviate ethanol-induced hangover symptoms by elevating activities related to hepatic ethanol-metabolizing enzymes against ethanol induced metabolites, and MIX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o be a new anti-hangover mater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택, "흑마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0 (20): 225-230, 2010

      2 강수희, "참모자반 메탄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및 숙취해소능과 α-glucosidase 활성저해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2 (22): 1420-1427, 2012

      3 이석준, "약용식물 추출물이 첨가된 미네랄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393-400, 2011

      4 유양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4-159, 2009

      5 황자영, "매실즙이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29-332, 2004

      6 전태원, "랫드에서 헛개나무와 천마 혼합 추출물의 에탄올 섭취에 의한 숙취 제거 효과" 한의병리학회 16 (16): 12-910, 2002

      7 정명아, "녹차씨 주정추출물의 카페인 함량 평가와 고지방식이 비만유도 C57BL/6 마우스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항비만효과" 한의병리학회 30 (30): 88-94, 2016

      8 송하연, "녹차씨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70-1475, 2015

      9 최근호, "급성 알코올 중독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식품 조성물의 보호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07-1112, 2011

      10 성혜미,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 추출 음료의 알코올 분해 효능" 한국식품과학회 46 (46): 616-621, 2014

      1 양승택, "흑마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0 (20): 225-230, 2010

      2 강수희, "참모자반 메탄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및 숙취해소능과 α-glucosidase 활성저해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2 (22): 1420-1427, 2012

      3 이석준, "약용식물 추출물이 첨가된 미네랄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393-400, 2011

      4 유양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4-159, 2009

      5 황자영, "매실즙이 알코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29-332, 2004

      6 전태원, "랫드에서 헛개나무와 천마 혼합 추출물의 에탄올 섭취에 의한 숙취 제거 효과" 한의병리학회 16 (16): 12-910, 2002

      7 정명아, "녹차씨 주정추출물의 카페인 함량 평가와 고지방식이 비만유도 C57BL/6 마우스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항비만효과" 한의병리학회 30 (30): 88-94, 2016

      8 송하연, "녹차씨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70-1475, 2015

      9 최근호, "급성 알코올 중독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식품 조성물의 보호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07-1112, 2011

      10 성혜미,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 추출 음료의 알코올 분해 효능" 한국식품과학회 46 (46): 616-621, 2014

      11 Wiese JG., "The alcohol hangover" 132 : 897-902, 2000

      12 Bucher T., "Specific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ethyl alcohol based on an enzymatic reaction" 29 : 615-616, 1951

      13 Lieber CS, "Liver adaptation and injury in alcoholism" 288 : 356-362, 1973

      14 Gemma S., "Individual susceptibility and alcohol effects : biochemical and genetic aspects" 42 : 8-16, 2006

      15 Nordmann R., "Implication of free radical mechanisms in ethanol-induced cellular injury" 12 : 219-240, 1992

      16 Huang B.,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edible lotus(Nelumbo nucifera Gaertn. )leaves" 120 : 873-878, 2010

      17 Kang H., "Hepatoprotective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damage in mice" 76 : 267-273, 2014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 to the utilization of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19 Lieber CS,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257 : 59-84, 1997

      20 홍세철, "Effect of the Mixture of Pueraria lobata and Sorbus commixta Extract on the Alcohol-induced Hangover in Rats" 한국생약학회 21 (21): 98-103, 2015

      21 Cho SH.,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the antioxidation in alcohol-treated rat hepatocyte" 30 : 679-683, 2001

      22 Lebsack ME., "Effect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on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n the baboon" 30 : 2273-2277, 1981

      23 Lundquist F., "Determination with aldehyde dehydrogenase" Academic Press 1509-1513, 1974

      24 An SW.,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NB and Alnus japonica Steud" 7 : 263-268, 1999

      25 Kim CI,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4 (4): 26-30, 1999

      26 Swift R., "Alcohol hangover : mechanisms and mediators" 22 : 54-60,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