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密陽 살내 新石器遺蹟에 대한 檢討 = An Examination on Neolithic Remains in Salnae, Mily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90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밀양 살내유적은 밀양강 중 · 하류 좌안의 범람원에 입지하고 있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에 이르는 복합유적이다. 신석기시대 유구는 유물산포지, 수혈, 집석노지가 확인되었는데, ...

      밀양 살내유적은 밀양강 중 · 하류 좌안의 범람원에 입지하고 있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에 이르는 복합유적이다. 신석기시대 유구는 유물산포지, 수혈, 집석노지가 확인되었는데, 살내유적의 가장 큰 특징은 주거지는 확인되지 않고, 유문토기 · 석기 · 박편 · 미가공된 석재가 넓은 범위에서 출토되는 유물산포지의 확인이다. 유물산포지에서는 야외캠프와 같은 임시 거주시설을 설치하고, 그 주변에서 석기제작과 같은 생산활동과 야외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등의 소비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살내유적에 출토되는 유문토기는 소량의 자돌문 · 압인문 · 세침선문토기를 제외하면 대부분 단사집선문토기이다. 살내유적의 단사집선문토기는 문양단위의 간격이 넓은 압날형으로 수가리 I 식의 압인형의 단사집선문토기와는 차이를 보인다. 압날형의 단사집선문토기는 범방패총과 동삼동3호 주거지에서 영선동식토기와 함께 출토되기 때문에 신석기시대 전기로 편년되는데, 살내유적에서도 출토상황이 이들 유적과 동일하므로 같은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단사집선문토기와 결합된 이중구연토기도 출토되었다. 이중구연토기는 보통 신석기시대 후 · 만기로 편년되어 왔는데, 최근 살내유적을 비롯하여 경주 황성동유적, 울산 세죽유적, 창영 비봉리유적 등에서 전기로 편년할 수 있는 이중구연토기가 출토되었고, 부산 동삼동 2호 주거지, 청도 오진리유적에서 중기로 편년되는 이중구연토기가 출토되어 이중구연토기에 편년과 출현배경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mains in Salrae, Milyang were typical of complex relic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Age and they were located in the flood plain of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Milyang River. One of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Salnae remains was ...

      The remains in Salrae, Milyang were typical of complex relic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Age and they were located in the flood plain of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Milyang River. One of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Salnae remains was that there were widespread areas with a large amount of remains such as patterned pottery, stone implements, flakes, crude building stones even if the habitation site was not confirmed. In the areas with variou remains, it has been estimated that people built temporary Living space such a outdoor camps and they conducted production activities such as manufacturing stone implements in the neighboring places and consuming activities such as fixing food outdoors. The patterned pottery excavated from the Salnae remain belonged mostly to Dansajipseonmun pottery except for a small amount of Jadolmun · Abinmun · Sechimseonmun pottery. Dansajipseonmun in the Salnae remains had a widely spaced Apnal-shape in pattern unit, which was different from Dansajipseonmun earthenware of Sugari I type of Abin-type. Abnal-typed Dansajipseonmun was excavated along with Yeongsoendong-typed pottery in Beombangpaechong and Dongsam-dong #3 habitation sites; for this reason, it has been recorded as the first part of the Neolithic Age, and it has been assumed that Dansajipseonmun pottery of the Salnae remains was equivalent to the said remains in its chronology. In addition, Ijungguyeon pottery combined with Dansajipseonmun pottery was also excavated. Ijungguyeon pottery has been designated as the late or end of the Neolithic Age. However, some of Ijungguyeon potterye excavated from Gyeongju Hwangseong-dong remains, Ulsan Sejuk remains, Changryeong Bibong-ri remains including Salnae remains could be designated as the first part of the Neolithic Age. Meanwhile, some of Ijungguyeon pottery that has been designated as the middle of the Neolithic Age was excavated in Busan Dongsam-dong #2 habitation site and Cheongdo Ojin-ri remains. In this regard, it would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ronology and the emergence background of Ijungguyeon potte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조사개요
      • Ⅱ. 조사내용
      • Ⅲ. 고찰
      • Ⅳ. 맺음말
      • 요약
      • Ⅰ. 조사개요
      • Ⅱ. 조사내용
      • Ⅲ. 고찰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