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질환은 작업 시 사용되는 신체부위와 사용빈도, 취급 공구 및 부재 중량물, 손잡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2005 년도 노동부 산업재해 분석 자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99894
2006
Korean
530
학술저널
123-126(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골격계 질환은 작업 시 사용되는 신체부위와 사용빈도, 취급 공구 및 부재 중량물, 손잡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2005 년도 노동부 산업재해 분석 자료...
근골격계 질환은 작업 시 사용되는 신체부위와 사용빈도, 취급 공구 및 부재 중량물, 손잡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2005 년도 노동부 산업재해 분석 자료를 보면 근골격계 질환의 약 80%가 제조업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적, 사회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 사업장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의 산업안전보건문제가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또한 어떤 식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관리하여야 하는지, 더욱이 자신의 사업장이 근골격계 부담 작업 조사 대상인지도 모르는 사업장이 부지기수인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 16 개 중소규모 제조업체의 작업장에 존재하는 작업 및 공정의 근골격계 질환 관련 인간공학적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계제조업, 금속제조업, 전자제조업, 기타 제조업(피혁 및 비금속)에서 수행되는 대표적인 작업들을 작업현장에서 직접 측정한 동영상 촬영과 인간공학적 작업환경 조사표를 토대로 2~3 초 간격으로 샘플링된 자세별로 작업의 세부적인 내용, 사용 도구 및 다양한 자세 분류체계에 의하여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한 작업 조건과 작업 부하에 대한 다양한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들을 이용하여 정밀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사업장별 전체적인 작업공정에서 근로자들이 반복적으로 사용 중인 동작수행 요인에 따른 신체부위별(손가락, 손목, 팔꿈치, 어깨, 목, 등, 하지) 작업자세 분류체계에 의한 평가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분석결과들이 바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규모 사업장의 업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업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 부위 및 비율에 대하여 예방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 방법론을 사업장에 적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nkle Foot Orthosis(AFO) 착용 시 발목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른 발/발목 복합체의 Roll-Over 특성
T&T olfactometer를 활용한 한국 노인의 후각 역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