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 Exploring Educational Effects of Maker Activity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90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흔히 비형식교육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메이커 활동’을 초등학교 수업상황에 적용하고, 그 수업결과로서 메이커 활동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본 연구는 흔히 비형식교육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메이커 활동’을 초등학교 수업상황에 적용하고, 그 수업결과로서 메이커 활동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이커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메이커 스페이
      스’ 대신에 ‘메이커 박스’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메이커 교육 모형 중 TMSI 모형을기반으로 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8주(20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수업결과 분석을 위해 매 차시가 끝난 뒤 학생들
      이 작성한 성찰일지 및 면담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본 수업결과로서, 메이커 교육은 개인적 차원(자발적 참여, 재료에 대한 이해 및도구 활용 능력의 신장, 결과물 창출을 위한 지속적 도전 및 문제해결능력의 함양)과사회적 차원(활동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 및 나눔, 결과물을 매개로 한 활발한 소
      통)에서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ker movement has currently has gained particular attention and interests among people over the past decade. Maker activities engaged in the creative production in people’s daily lives, and sharing process and products with others, therefore, h...

      The maker movement has currently has gained particular attention and interests among people over the past decade. Maker activities engaged in the creative production in people’s daily lives, and sharing process and products with others, therefore, have been actively and widely practiced as a new approach for education in the name of
      ‘Maker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first, to develop a maker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nd second, to analyze its educational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mak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TMSI model, utilizing ‘maker box’, in place of ‘makerspace’ as a key part of the maker education. The program, then,
      was applied to 28 4th graders during 8 weeks (20 hours). Data collected from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for the results of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program showed educational effects categorized into two: Individual aspects (autonomous participation, increased abilities for understanding materials and use of tools, persistent challenges for problem-solving and final results) and social aspects (sharing, openness, and active interaction for process and resul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희,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 원미사 2011

      2 김소영,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5 : 203-206, 2016

      3 황중원,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 : 166-176, 2016

      4 미래창조과학부, "메이커 운동 활성화 추진계획"

      5 강인애, "메이커 교육의 평가를 위한 평가틀 및 요소 탐색" 1 : 21-, 2017

      6 메이커 교육 코리아, "메이커 교육 코리아 2016 포럼북: 메이커 교육실천, 그 시작과 여정"

      7 강인애, "대학에서의 메이커 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사례" 1 : 1-29, 2017

      8 장윤금,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289-306, 2017

      9 메이커 교육 코리아, "Youth makerspace playbook in Korean"

      10 Lee, M.,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5 (5): 30-39, 2015

      1 박성희,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 원미사 2011

      2 김소영,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5 : 203-206, 2016

      3 황중원,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 : 166-176, 2016

      4 미래창조과학부, "메이커 운동 활성화 추진계획"

      5 강인애, "메이커 교육의 평가를 위한 평가틀 및 요소 탐색" 1 : 21-, 2017

      6 메이커 교육 코리아, "메이커 교육 코리아 2016 포럼북: 메이커 교육실천, 그 시작과 여정"

      7 강인애, "대학에서의 메이커 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사례" 1 : 1-29, 2017

      8 장윤금,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289-306, 2017

      9 메이커 교육 코리아, "Youth makerspace playbook in Korean"

      10 Lee, M.,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5 (5): 30-39, 2015

      11 Hatch, M.,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McGraw-Hill 2014

      12 Halverson, E.,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84 (84): 495-504, 2014

      13 Dougherty, D., "The maker movement" 7 (7): 11-14, 2012

      14 Ryan, R.,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15 Maslyk, J., "STEAM maker: Foster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elementary classroom" Corwin 2016

      16 Miles, M.,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1994

      17 Papert, S., "Mindstrom: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1980

      18 Blikstein, P., "Meaningful making: Projects and inspiration for fablabs and makerspaces"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016

      19 Thomas, A., "Making makers: Kids, tools, and the future of innovation" Maker Media, Inc. 2014

      20 Litts, B., "Making learning: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5

      21 Cohen, J., "Makification: Towards a framework for leveraging the maker movement in formal education" 1 : 129-135, 2016

      22 Loertscher, D., "Makerspaces in the school library learning commons and the uTEC maker model" 41 (41): 48-51, 2013

      23 Bullock, S., "Maker pedagogy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13 (13): 61-87, 2015

      24 Fields, D.,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121-137, 2016

      25 Blikstein, P.,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64-79, 2016

      26 Wardrip, P.,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97-106, 2016

      27 Tseng, T.,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237-254, 2016

      28 Sheridan, K.,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30-46, 2016

      29 Regalla, L.,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257-272, 2016

      30 Peppler, K.,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141-157, 2016

      31 Brahms, L.,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13-28, 2016

      32 Berland, M.,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196-205, 2016

      33 Bender, S.,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125-144, 2016

      34 McGalliard, M.,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111-124, 2016

      35 Wilkinson, K.,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161-179, 2016

      36 Ryan, J.,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29-44, 2016

      37 Rusk, N., "Makeology: Makers as learners (Vol.2)" Routledge 85-108, 2016

      38 Sheridan, K., "Learning in the making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makerspaces" 84 (84): 505-531, 2014

      39 Martinez, S.,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013

      40 함진호, "ICT DIY 정책과 메이커생태계 구축을 위한 표준화" 33 (33): 5-10, 2015

      41 Blikstein, P.,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Transcript Publishers 1-21, 2013

      42 Kafai, Y., "Electronic textiles as disruptive designs : Supporting and challenging maker activities in schools" 84 (84): 532-55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