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음악으로 해석한 식민지 조선 영화 「반도의 봄」 = The Film Music of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 an Interpretation through Film Music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84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lm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made in March 1941 by Byungil Lee, is considered as “a wonder discovery” - its technical lapidary style stands out from other Korean films at ‘the time of slogan’ of th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e astonishing film music of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using the Leitmotiv (I call it “tragic love Leitmotiv”) functions, give obvious messages to screens which alone remain unclear.
      This study addresses the understudied film music exploring a new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is film. As result, the dual construction of the film can be apparently exposed: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production of the film “Chunhyanjon” (the film in the film) by the Korean filmmaker Huh, while the love story between two women and a man (Joenghee, Ana and Yongil) composes the second one. However, according the description of music, Ana becomes the key figure among them and has the function of combining the two different parts of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 she plays the Antipodean of the filmmaker Huh.
      번역하기

      The film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made in March 1941 by Byungil Lee, is considered as “a wonder discovery” - its technical lapidary style stands out from other Korean films at ‘the time of slogan’ of th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

      The film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made in March 1941 by Byungil Lee, is considered as “a wonder discovery” - its technical lapidary style stands out from other Korean films at ‘the time of slogan’ of th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e astonishing film music of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using the Leitmotiv (I call it “tragic love Leitmotiv”) functions, give obvious messages to screens which alone remain unclear.
      This study addresses the understudied film music exploring a new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is film. As result, the dual construction of the film can be apparently exposed: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production of the film “Chunhyanjon” (the film in the film) by the Korean filmmaker Huh, while the love story between two women and a man (Joenghee, Ana and Yongil) composes the second one. However, according the description of music, Ana becomes the key figure among them and has the function of combining the two different parts of Spring in the Korean Peninsula - she plays the Antipodean of the filmmaker Hu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원, "한국영화음악사" 민속원 2010

      2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8권" 민속원 2008

      3 이준희, "한국가요사" 미지북스 2009

      4 배연형, "한국 유성기음반" 한걸음·더 2011

      5 김려실,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삼인 2006

      6 김관, "토오키 음악" 1 (1): 1939

      7 이영재, "제국 일본의 조선영화. 식민지 말의 반도 : 협력의 심정, 제도,논리" 현실문화 2008

      8 신하경, "일제 말기 ‘조선붐’과 식민지 영화인의 욕망 ― 영화 <반도의 봄(半島の春)>을 통해 ―" 아시아문화연구소 23 : 79-106, 2011

      9 김관, "영화와 음악: 음악감독대망론"

      10 구경은, "영화와 음악" 문학과 지성사 2006

      1 이진원, "한국영화음악사" 민속원 2010

      2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8권" 민속원 2008

      3 이준희, "한국가요사" 미지북스 2009

      4 배연형, "한국 유성기음반" 한걸음·더 2011

      5 김려실,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삼인 2006

      6 김관, "토오키 음악" 1 (1): 1939

      7 이영재, "제국 일본의 조선영화. 식민지 말의 반도 : 협력의 심정, 제도,논리" 현실문화 2008

      8 신하경, "일제 말기 ‘조선붐’과 식민지 영화인의 욕망 ― 영화 <반도의 봄(半島の春)>을 통해 ―" 아시아문화연구소 23 : 79-106, 2011

      9 김관, "영화와 음악: 음악감독대망론"

      10 구경은, "영화와 음악" 문학과 지성사 2006

      11 이경분, "아도르노, 아이슬러 그리고 "영화를 위한 작곡"" 한국서양음악학회 2 (2): 27-47, 2004

      12 김소영, "신여성의 시각적 재현" 문학과영상학회 7 (7): 93-130, 2006

      13 난파연보 공동연구 위원회, "새로 쓴 난파 홍영후 연보" 한국음악협회 경기도지회/민족문제연구소 2006

      14 한국영상자료원, "발굴된 과거 (비디오녹화자료): 일제시기 극영화 모음1940년대"

      15 "매일신보"

      16 "동아일보"

      17 장유정, "다방과 카페, In 모던보이의 아지트" 살림 2008

      18 이준희, "극영화 ‘반도의 봄’, 거기에 ‘조선의 슈베르트’ 있었다"

      19 森川潤, "朝鮮映畵와 音樂"

      20 신강호, "<미몽>, <반도의 봄>의 영화 스타일 분석" 한국영화학회 39 (39): 395-42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