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급격히 진행된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와 전 세계 대부분 국가 정부들은 유례없는 재정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확대는 경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5870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5-324(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급격히 진행된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와 전 세계 대부분 국가 정부들은 유례없는 재정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확대는 경기...
2008년 9월 미국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급격히 진행된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와 전 세계 대부분 국가 정부들은 유례없는 재정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확대는 경기침체 완화에 일정 정도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기록한 2009년 1분기 GDP 증가세는 신속하고 과감한 재정정책이 상당 부분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하여 취하여진 여러 재정정책들을 정리하고 국제비교 시각에서 이를 평가하였으며,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재정정책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단기와 장기를 구분하여 접근하여야 한다. 장기적으로 민간의 활력을 위해 작은 정부를 추진하는 것과 단기적으로 경기침체 완화를 위해 대규모로 재정을 확대하는 것이 상호모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단기적인 재정확대로 인한 재정수지 적자가 재정건전성 악화로 귀결되지 않도록 경기회복 이후 재정을 긴축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또한 MB 정부 초기에 제시되었던 작은 정부의 규모는 지나치게 작았던 것으로, 2012년의 적정한 조세부담률 목표는 20%가 아닌 23% 수준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vernments of most countries, including the Korean government, are taking a large-scale expansionary fiscal policy agains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have affected almost all countries since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in last September....
Governments of most countries, including the Korean government, are taking a large-scale expansionary fiscal policy agains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have affected almost all countries since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in last September. A large-scale expansionary fiscal policy is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itigating the magnitude of economic contraction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in Korea. Only Korea among 30 OECD countries recorded a positive economic growth in the first quarter of 2009, to which Korea's unprecedented rapid, large-scale fiscal boost contributed.
This paper documents fiscal policies taken in Korea and major OECD countries since September of 2008, and evaluates Korea's fiscal policy in the international context. One should carefully distinguish short-run and long-run in evaluating fiscal policy. Pursuing small government in the long run to vitalize the private sector and using a large scale fiscal expansion in the short run to stabilize the economy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To reconcile these seemingly contradictory policy stances, the government should tighten fiscal policy once the economy recovers from a recession. The new Korean government set its target of the tax ratio in 2012 at around 20%, which is too low. Considering an increase in demand for government services from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rapid aging in Korea, the target should be set at around 23 % instea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태, "한국경제 선진화를 위한 재정개혁 과제" 2008
2 조동철, "최근 경제 상황 및 전망" 2009
3 한국조세연구원, "주요국의 조세・재정정책 동향 및 시사점" 2009
4 곽태원, "저성장시대의 조세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06
5 이영, "외환위기와 한국 조세의 변화" 한국경제학회 55 (55): 341-368, 2007
6 이영, "신정부 재정정책의 여건과 발전방향"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14 (14): 73-140, 2008
7 박기백, "세출구조 및 재정운용 개선방향" 2001
8 한국재정학회, "선진국 진입을 위한 우리나라 세제개편 방안" 2008
9 고영선, "분야간 재원배분의 현황과 개선방향 in: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
10 국회예산정책처, "대한민국재정" 2008
1 김성태, "한국경제 선진화를 위한 재정개혁 과제" 2008
2 조동철, "최근 경제 상황 및 전망" 2009
3 한국조세연구원, "주요국의 조세・재정정책 동향 및 시사점" 2009
4 곽태원, "저성장시대의 조세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06
5 이영, "외환위기와 한국 조세의 변화" 한국경제학회 55 (55): 341-368, 2007
6 이영, "신정부 재정정책의 여건과 발전방향"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14 (14): 73-140, 2008
7 박기백, "세출구조 및 재정운용 개선방향" 2001
8 한국재정학회, "선진국 진입을 위한 우리나라 세제개편 방안" 2008
9 고영선, "분야간 재원배분의 현황과 개선방향 in: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
10 국회예산정책처, "대한민국재정" 2008
11 국회예산정책처, "대한민국재정" 2009
12 박종규, "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경제: 추경예산의 편성방향" 한국재정학회 2009
13 김인준, "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경제" 2009
14 최광, "경제위기와 재정정책: 경제위기 대책에 대한 우려" 2009
15 한국조세연구원,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조세・재정 정책 방향" 2009
16 IMF, "Update on Fiscal Stimulus and Financial Sector Measures" 2009
17 Freedman, Charles, "The case for global Fiscal Stimulus. IMF Staff Postion Note"
18 Kato, Takatoshi, "The Global Economic and Financial Outlook and Challenges for Emerging Economies" 2009
19 Lee, Young, "Tax Structure and Economic Growth" 89 (89): 1027-1043, 2005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 및 편중완화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58 | 0.58 | 0.75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81 | 0.81 | 1.2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