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일자리를 통한 은퇴 고령자 일경험의 의미: Modified Grounded Theory = Meaning of Retired Elderly People’s Work-Experience Through Social Employment: Modified Grounded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6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eply the meaning of the work experience of retired elderly people in the process of career maintenance through social employ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eight elderly people who have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eply the meaning of the work experience of retired elderly people in the process of career maintenance through social employ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eight elderly people who have been engaged in schools to protect school violence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Kinoshita was used. The collected qualitative materials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work analysis sheets, and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as follow. Three categories are first, the necessity of continuing work, second, interaction with the work environment, third, consistent socialization and Life-span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e work experience of the elderly retired following. First, elderly people's job conducted role as a bridge connec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econd, they meant establishing the processes of self concept as a social member in old age. Thir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in old age were promoted as a mechanisms to adapt to changes in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고령자의 사회적 일자리를 통한 직업유지과정에서 일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근본으로 기노시다(木下...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고령자의 사회적 일자리를 통한 직업유지과정에서 일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근본으로 기노시다(木下康仁)가 제안한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은퇴 고령자의 인적자본활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학교 보안관과 배움터지킴이 업무에 종사하는 8명을 심층인터뷰하였다. 작업분석시트를 활용하여 동시다중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지속의 당위성, 환경과의 상호작용, 지속적 사회화와 발달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은퇴 고령자들은 일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내·외부적 당위성을 가지며, 일을 통해 지속적이고 역동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노년기에도 지속적 사회화와 발달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은퇴 고령자의 직업유지과정에서 일경험은 첫째, 과거, 현재, 미래 삶을 연결하는 가교적 역할을 한다. 둘째, 노년기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아개념을 확립하는 과정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변화한 삶에 적응하는 기제로 지속적인 사회화와 발달을 촉진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2 김원경, "한국 노인교육 연구 동향 :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35-263, 2011

      3 우국희, "취업노인의 직장 내 연령차별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281-304, 2012

      4 최종혁, "질적 연구 방법론" 도서출판 신정 2011

      5 김봉환, "진로상담이론: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학지사 2010

      6 박성미, "직업적응이론의 성격구인에 대한 고찰" 한국진로상담학회 4 (4): 185-198, 1999

      7 엄동욱,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국민노후보장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연구원 8 (8): 17-38, 2008

      8 송진영, "중고령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 : 96-120, 2007

      9 박윤희, "중고령자의 고용 및 직업능력개발 요구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83-111, 2010

      10 홍백의, "중·고령자의 고용형태별 퇴직과정 유형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91-319, 2010

      1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2 김원경, "한국 노인교육 연구 동향 :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35-263, 2011

      3 우국희, "취업노인의 직장 내 연령차별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281-304, 2012

      4 최종혁, "질적 연구 방법론" 도서출판 신정 2011

      5 김봉환, "진로상담이론: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학지사 2010

      6 박성미, "직업적응이론의 성격구인에 대한 고찰" 한국진로상담학회 4 (4): 185-198, 1999

      7 엄동욱,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국민노후보장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연구원 8 (8): 17-38, 2008

      8 송진영, "중고령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 : 96-120, 2007

      9 박윤희, "중고령자의 고용 및 직업능력개발 요구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83-111, 2010

      10 홍백의, "중·고령자의 고용형태별 퇴직과정 유형과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91-319, 2010

      11 이경희, "준·고령자 직업훈련의 훈련생 및 훈련 특성이 재고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527-538, 2011

      12 박경하,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 유형화 연구 - 다양성과 불평등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91-327, 2011

      13 석상훈,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경로 유형과 은퇴 후 소득 비교" 한국경제발전학회 16 (16): 59-82, 2010

      14 최옥금,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1 (31): 15-31, 2011

      15 곽지영, "여성장애인의 직업 선택 및 유지 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29-61, 2006

      16 김태현, "여성복지론" 교문사 2007

      17 노동부, "사회적일자리창출사업 시행공고문"

      18 최종혁,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질적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91-316, 2010

      19 고호태,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노인일자리사업의 경제적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61-88, 2012

      20 최종혁, "문화복지 개념 정립을 위한 질적 연구 - 휴먼서비스 실천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45-182, 2009

      21 최종암, "대전시 고령자들의 연령별 일자리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21-47, 2009

      22 최혜지,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참여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47-270, 2013

      23 김영선, "노인일자리사업의 건강 효과성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419-435, 2011

      24 고재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1209-1228, 2011

      25 이소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331-354, 2013

      26 이석원,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시간활용 변화와 적극적 노년생활"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51-80, 2010

      27 임중철,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9-50, 2012

      28 이경욱, "노인과 지역사회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623-640, 2011

      29 이재영,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양기대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353-382, 2012

      30 이준우, "근로장애인 직업적응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위탁과제보고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31 Charmarz, K., "근거이론의 구성" 학지사 2013

      32 구자관, "고령화 사회의 고령인력 취업에 관한 연구: Field Suryey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157-173, 2012

      33 문영미, "고령자 취업영향요인 분석"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 (2): 77-93, 2005

      34 기영화,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의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기초연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29-44, 2010

      35 기영화,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현장사례연구: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5-48, 2011

      36 김용원, "고령자 고용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26 (26): 107-137, 2008

      37 방하남, "강요된 선택 :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73-108, 2011

      38 Atchle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9th ed.)" Wadsworth Thomason Learning 2000

      39 OECD, "OECD Factbook 2013"

      40 Mayhew, k., "How to improve the human capital of older workers or sad tale of the magic Bullet" 2004

      41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Inc. 1990

      42 OECD, "Ageing and Employment Policies- Live Longer" Work Longer 2006

      43 Dawis, R. V.,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An individual-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University pf Minnesota Press 1984

      44 Atchley, R. C.,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29 (29): 183-190, 1989

      45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 과정;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한국노동연구원 3 (3): 103-140, 2003

      4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