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록대교 개통으로 인한 ‘공간’의 의미변화가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인들의 일상적인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에 주목한다. 따라서 소록대교 개통 이전의 장소성의 변화과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록대교 개통으로 인한 ‘공간’의 의미변화가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인들의 일상적인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에 주목한다. 따라서 소록대교 개통 이전의 장소성의 변화과정...
본 연구는 소록대교 개통으로 인한 ‘공간’의 의미변화가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인들의 일상적인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에 주목한다. 따라서 소록대교 개통 이전의 장소성의 변화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며, 국가권력과 주체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소록대교 개통 과정에서 구성되는 담론과 소록대교 개통 전·후 지역민의 일상변화를 분석하였다.
소록대교 개통 후 관광객은 급증한다. 이는 기존의 병원 및 고립된 섬의 이미지가 개방된 공간, 역사문화 관광지로 공간적 특성이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장소성에 대한 변화는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전도시키고, 사회와 단절된 채 살아온 한센인 공동체의 일상에 충격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한센인들은 외부인을 경계하며, 자신의 활동 공간을 축소하는 전략을 취한다. 그들은 주객의 전도를 한탄하면서도 관광객을 규제하기 위해 주차비를 받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센인 스스로도 소록도의 공간적 정체성들이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재 소록도란 공간은 개방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이윤창출의 도구로 활용되진 않는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국립병원의 장소성에서 서서히 관광지로 의미가 변화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빛복지협회, (78) : 2005
2 국립소록도병원, 2009
3 Giorgio Agamben, "호모사케르" 새물결 2008
4 국가인권위원회, "한센인 인권실태 조사" 2005
5 국사편찬위원회, "한센병, 고통의 기억과 질병정책" 2005
6 정근식, "한국에서 근대적 나 구료의 형성" 1 (1): 1-30, 1997
7 Harvey, D.,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1994
8 차윤근, "최근 17년간 소록도갱생원 나사망자의의 통계적 관찰" 102 : 4-8, 1960
9 정근식, "질병공동체의 해체와 이주의 네트웍: 두 정착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9) : 41-79, 2006
10 고흥군청, "주요 업무계획" 2008
1 한빛복지협회, (78) : 2005
2 국립소록도병원, 2009
3 Giorgio Agamben, "호모사케르" 새물결 2008
4 국가인권위원회, "한센인 인권실태 조사" 2005
5 국사편찬위원회, "한센병, 고통의 기억과 질병정책" 2005
6 정근식, "한국에서 근대적 나 구료의 형성" 1 (1): 1-30, 1997
7 Harvey, D.,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1994
8 차윤근, "최근 17년간 소록도갱생원 나사망자의의 통계적 관찰" 102 : 4-8, 1960
9 정근식, "질병공동체의 해체와 이주의 네트웍: 두 정착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9) : 41-79, 2006
10 고흥군청, "주요 업무계획" 2008
11 전남도청, "제3차 전라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 2008
12 Carl Schmitt, "정치신학" 법문사 1988
13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32 (32): 169-184, 1997
14 Edward Relph,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5 최정기, "일제하 조선의 나환자 통제에 대한 일연구" 전남대학교 1994
16 정근식, "일제 말기 소록도갱생원과 이춘상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72) : 330-359, 2005
17 최시룡, "영남지방 나병의 역학적 고찰" 3 : 87-135, 1965
18 Harry Harootunian, "역사의 요동" 휴머니스트 2006
19 장세룡, "앙리 르페브르와 공간의 생산 - 역사이론적 ‘전유’의 모색 -" 부산경남사학회 (58) : 293-325, 2006
20 조형근, "식민지체제와 의료적 규율화. in: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70-221, 1997
21 정근식, "식민지적 근대와 신체의 정치" 51 (51): 211-265, 1996
22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록도 한센병환자의 강제노역에 관한조사" 2006
23 심전황, "소록도 반세기" 국립소록도병원 1979
24 국립소록도병원, "소록도 80년사" 1996
25 Michel Foucault, "성의역사" 나남 2004
26 Michel Foucault, "비정상인들" 동문선 1999
27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법철학강요" 흥신사상신서 1990
28 정일준, "미셀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1994
29 Braudel, Fernand,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권 상" 까치 1996
30 정근식, "동아시아 한센병사 연구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학회 12 : 5-41, 2002
31 최병두, "데이비드 하비의 정치경제학적 공간이론" 12 : 1997
32 최병두, "데이비드 하비의 역사지리유물론" 31 (31): 204-239, 1996
33 정호기,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전남대학교 2002
34 고흥군청, "군정백서" 2007
35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립소록도 병원 장기발전계획 연구" 2002
36 "국립보건원. 2000. 한센병관리사업지침"
37 Michel Foucault,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사 2003
38 Ning Wang, "관광과 근대성" 일신사 2004
39 Harvey, D., "공간에서 장소로 다시 반대로: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에 대한 성찰" 5 : 32-71, 1995
40 김승현, "공간, 미디어 및 권력 - 새로운 이론틀을 위한 시론" 한국언론학회 3 (3): 82-121, 2007
41 고흥군청, "고흥군 관광개발종합계획(2001-2010)" 2002
42 Max Horkheimer,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43 전남도청, "거금연륙교 가설공사 추진현황" 2009
44 Michel Foucault, "감시와 처벌" 나남 1994
45 Lefebvre, Henri,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1991
46 국립소록도병원, "2009년 국립소록도 병원 방문객 현황" 2010
47 국립소록도병원, "1935, 1967, 1974, 1984, 1996, 2007 연보"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08-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7-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4 | 0.77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