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세네갈의 초등학교 중퇴자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부모 50명과 학생 50명으로 나뉘어진 1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구조...
이 연구는 세네갈의 초등학교 중퇴자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부모 50명과 학생 50명으로 나뉘어진 1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차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통계 도구를 적용했다. 기술 통계량은 결과의 빈도와 백분율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고, 카이 제곱 검정은 연관성의 유의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 분석은 연구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를 찾는 데 사용되었다. 응답자에게 수집한 정보는 사회경제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과 소득 수준, 혼인 여부, 농장의 인원 보충 여부, 부모로부터의 경제적 지원, 농장 규모, 목표 혼인 연령, 부모의 직업, 학생의 다른 직업, 그리고 학생을 농장에 데리고 가는 부모 등)과 학교 관련 요인(교내 행사 참여, 수업의 반복, 학교까지의 거리, 그리고 부모의 통제 빈도 등)을 기반으로 하였다.
농장 규모, 학생을 농장에 데리고 가는 부모, 학생의 연령, 학생의 다른 직업, 목표 혼인 연령, 그리고 부모의 직업은 학교 중퇴에 중요한 관련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향유할 수 있도록 교육의 가치를 명확히 하고 교육하기 위해 교육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많은 사람들이 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할수록, 사회의 환경과 경제가 개선되는 결과로서 학교 중퇴율이 낮아질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사회 경제적 발전의 핵심 요소로서 지역사회에 촉진되어야 한다.
게다가, 정부와 교육 이해당사자들은 농부들, 특히 그들의 자녀들을 농장으로 보내는 경향이 있고 소규모의 농지를 소유한 농부들에게 자문을 제공해야 하는데 학교 등록금을 지불할 충분한 소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 외에 집안일 혹은 농장일을 거들도록 하는 대신 그들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다.
추가적으로, 정부, NGO, 그리고 시민사회단체는 실업자들의 자녀가 학교를 중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실업자들을 위해 지역 사회로 취업 기회를 넓혀야 한다.
게다가, 농촌에 대한 교육의 속도를 줄인 부정적인 전통적 가치에 대한 사고방식 변화와 같은 지역사회를 위한 인식 프로그램은 앞으로 사라져야 한다.
교육부는 특히 기초교육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 내에서 접근성과 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과제의 개요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빈곤과 외딴 시골학교에서 중퇴율을 줄일 수 있는 연구 기반의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연구 과제는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 정책 및 실행의 효과 분석 및 정책 격차 파악
- 중퇴 위험이 있는 학습자의 집단 추적 – 학교에서의 모범 사례 탐색 및 복제 보장
- 정책 및 실행의 진행 상태와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 도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