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 Local Government Officials’ Percep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3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on the public servant’s perception on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variable in fields such as law, system, work processing, and coopera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ch field had positive (+) influence.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government. Firs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legal system, the local government-centered ordinance infrastructure should be secured. Second, in terms of work processing, practical manual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 is required. Third, in terms of cooperation, the system for supporting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horizontal decision-making and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on the public servant’s perception on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on the public servant’s perception on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variable in fields such as law, system, work processing, and coopera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ch field had positive (+) influence.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government. Firs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legal system, the local government-centered ordinance infrastructure should be secured. Second, in terms of work processing, practical manual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 is required. Third, in terms of cooperation, the system for supporting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horizontal decision-making and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소연, "한국형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안 연구: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재난안전분야 비교 사례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3

      2 여차민, "통합재난관리이론의 분석적 해석 - 재난관리체계 설계에의 정책적 함의 -" 한국정책학회 23 (23): 441-468, 2014

      3 이재은, "코어 시스템(Core System)과 국가위기관리시스템의 개선 방향 - 세월호 재난관리 분석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18, 2015

      4 신상민,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소고" 8 (8): 11-20, 2015

      5 채경석,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 바람직한 재난관리체계의 모색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129-145, 2005

      6 양기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협력적 재난관리 방안 연구: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5 (5): 121-153, 2010

      7 권건주,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효율화 방안 : 삼척시 사례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 (1): 79-92, 2005

      8 이훈래,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5 (15): 127-150, 2015

      9 박동균,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대한지방자치학회 13 (13): 131-154, 2012

      10 김경호,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영향요인 분석: 대구광역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9-147, 2012

      1 원소연, "한국형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안 연구: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재난안전분야 비교 사례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3

      2 여차민, "통합재난관리이론의 분석적 해석 - 재난관리체계 설계에의 정책적 함의 -" 한국정책학회 23 (23): 441-468, 2014

      3 이재은, "코어 시스템(Core System)과 국가위기관리시스템의 개선 방향 - 세월호 재난관리 분석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18, 2015

      4 신상민,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소고" 8 (8): 11-20, 2015

      5 채경석,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 바람직한 재난관리체계의 모색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129-145, 2005

      6 양기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협력적 재난관리 방안 연구: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5 (5): 121-153, 2010

      7 권건주,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효율화 방안 : 삼척시 사례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 (1): 79-92, 2005

      8 이훈래,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5 (15): 127-150, 2015

      9 박동균,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대한지방자치학회 13 (13): 131-154, 2012

      10 김경호,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영향요인 분석: 대구광역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9-147, 2012

      11 네모토마사쯔구,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체계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 - 일본 재해대책 기본법 개정과 스기나미 구(杉並區) 사례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49-69, 2015

      12 "제천화재참사 때 사회재난 지원조례 충북 지자체 ‘딱 1곳뿐’"

      13 최승필, "재난방지체계에 있어서 구조와 권한에 관한 법⋅제도적 검토 -우리나라와 독일의 재난관리체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6 (36): 17-35, 2012

      14 김봉철, "재난관리행정주체로서의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 -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그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4 (14): 129-157, 2014

      15 박주현, "재난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구미 불산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 12 (12): 98-119, 2013

      16 채진, "재난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분석 - 소방행정 조직․관리 요인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5 (5): 40-51, 2009

      17 김영주, "재난관리 조직의 협력수준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53 (53): 83-116, 2015

      18 이재은, "재난관리 정보공유와 NDMS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191-214, 2005

      19 최희천, "재난관리 단계의 기존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대응단계와 복구단계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201-218, 2010

      20 박찬석, "재난관리 단계별 소방업무 중요도분석 및 업무재설계" 한국재난정보학회 10 (10): 578-583, 2014

      21 이재은, "위기관리학과 재난관리학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111-132, 2015

      22 이재은, "위기관리학(제2판)" 대영문화사 2018

      23 윤선희, "수혜자 중심의 재난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재난관리 4단계 중 ‘대응단계’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379-389, 2015

      24 배재현, "미국의 재난대응과 협력적 거버넌스: 허리케인 ‘카트리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 (20): 189-216, 2010

      25 강인호, "미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계와 정책시사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8 (18): 1-16, 2008

      26 주상현, "미국 재난관리 시스템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365-392, 2016

      27 채진, "다조직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 구제역 방역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57-79, 2012

      28 이유현, "국제사회의 재난정책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한국 재난정책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255-290, 2017

      29 유현종, "국가적 재난관리의 책임성과 확보방안" 한국행정학회 49 (49): 419-450, 2015

      30 김태윤, "국가재해재난관리체계의 구조와 기능" 4 (4): 6-20, 2004

      31 김주찬, "국가재해난관리체계의 당위적 구조" 한국화재소방학회 16 (16): 8-17, 2002

      32 배재현, "국가재난안전관리체계의 재설계에 관한 탐색적 논의" 경기개발연구원 16 (16): 319-341, 2014

      33 김은성, "국가재난안전관리 정책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9

      34 이창원, "국가 재해재난 관리 조직의 개편 방안에 관한 연구" 1-37, 2003

      35 임창호, "경찰의 포괄적 재난관리체계에의 영향요인" 치안정책연구소 31 (31): 151-197, 2017

      36 Cutter, Susan L, "The Geographies of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29 : 65-77, 2014

      37 McGuire, Michael, "The Effect of Problem Severity,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Capacity, and Agency Structure on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on: Evidence from Local Emergency Management" 70 (70): 279-288, 2010

      38 Kusumasari, Bevaola, "Resource capability for local government in managing disaster" 19 (19): 438-451, 2010

      39 Platt, Stephen, "Measuring Resilience and Recovery" 19 : 447-460, 2016

      40 Cigler, Beverly A, "Managing Disaster: Strategies and Policy Perspectives" Duke University Press 39-52, 1988

      41 Rodriguez-Nikl, Tonatiuh, "Linking Disaster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32 (32): 157-169, 2015

      42 Birkland, Thomas A, "Lessons of Disaster: Policy Change after Catastrophic Event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6

      43 Haddow, George D,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Butterworth-Heinemann 2014

      44 Phillips, Brenda D,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CRC Press 2016

      45 Henstra, Daniel, "Evaluating local government emergency management program: what framework should public managers adopt" 70 (70): 236-246, 2010

      46 Godschalk, David R,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1991

      47 Pearce, Laurie, "Disaster Management and Community Planning, and Public Participation: How to Achieve Sustainable Hazard Mitigation" 28 (28): 211-228, 2003

      48 Schneider, Saundra K, "Dealing with Disaster: Public Management in Crisis Situations" M. E. Sharpe 2011

      49 Booth, Simon, "Crisis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Simulation Oriented Scenariou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5-118, 1991

      50 Waugh, William L., Jr,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for Effective Emergency Management" 66 (66): 131-140, 2006

      51 Zobel, Christopher W, "Characterizing Multi-event Disaster Resilience" 42 : 83-94, 2014

      52 Lindell, Michael, "Are Local Emergency Management Agencies Effective in Developing Community Preparedness" 12 (12): 159-182, 1994

      53 McLoughlin, David.,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45 (45): 165-172,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1 0.31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