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1부 현대시 교육의 쟁점과 지향
- '청출어람(靑出於藍)'과 현대시 교육의 목표 = 15
- 1. 교육의 목적성과 현상성
- 2. 시 교육 목표로서 '선어람': 지식에서 역량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3865812
파주 : 창비교육, 2015
2015
한국어
895.714071 판사항(23)
9791186367124 94370
단행본(다권본)
경기도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 박수연 [외]엮음
416 p. : 삽화 ; 26 cm
창비교육총서 ; 2
색인수록
공편자: 최현식, 오연경, 민재원
저자: 김규중, 민재원, 박수연, 오연경, 이삼남, 이종은, 정영효, 주상태, 최현식, 표영조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현대시의 이해와 교육에 필수적인 시학의 개념과 실제, 현장의 생생한 수업 사례로 펼쳐 가는 현대시 교육론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은 ‘창비교육총서’의 첫 번째 각론서로, 연구자와 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현대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현대시 교육의 목표에서부터 사회 변화의 양상과 시 교육, 실제 수업 사례까지, 현대시 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또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며 생동감을 더하고 이론과 실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은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현대시 교육의 목표, 방법, 평가, 교재, 내용을 중심으로 현재 시 교육의 쟁점과 현황을 살피고, 2부에서는 현대시 교육에 필요한 시학 개념을 정리한다. 3부에서는 다매체 시대, 탈서정 경향, 청소년 시 등 현대 사회의 변화 양상이 현대시 교육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