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직무 적합성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통해 대화경찰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역할모호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 Concept on Person-Job fit and Work Engagement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ole Ambigu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1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Work Engagement in non-stand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Dialogue Police and analyzed data from 172 peopl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at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Job fit and Work engagemen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Work Engagement. The Role Ambiguity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indirect-effects of Person-Job fit on the Work Engagement through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a clear role to non-stand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Dialogue Police and provide training and HR policy that can enhance their expertise for higher work engag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Work Engagement in non-stand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For this reason, we conduc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Work Engagement in non-stand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Dialogue Police and analyzed data from 172 peopl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at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Job fit and Work engagemen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Work Engagement. The Role Ambiguity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indirect-effects of Person-Job fit on the Work Engagement through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a clear role to non-stand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Dialogue Police and provide training and HR policy that can enhance their expertise for higher work eng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무 요구-자원 이론의 관점에서 비상설 임무형 전문조직에서 개인-직무 적합성,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모호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화경찰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전문직 자아개념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역할모호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고, 개인-직무 적합성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경로가 역할모호성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화경찰과 같은 비상설 임무형 전문조직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 명확한 역할 부여의 필요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제도가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직무 요구-자원 이론의 관점에서 비상설 임무형 전문조직에서 개인-직무 적합성,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모호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본 연구는 직무 요구-자원 이론의 관점에서 비상설 임무형 전문조직에서 개인-직무 적합성,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모호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화경찰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전문직 자아개념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역할모호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고, 개인-직무 적합성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경로가 역할모호성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화경찰과 같은 비상설 임무형 전문조직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 명확한 역할 부여의 필요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제도가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숙영,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적용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313-345, 2017

      2 황규진, "협의관리모델 분석을 통한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1 (11): 65-77, 2011

      3 정민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39-259, 2016

      4 염윤호,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 운용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23 (23): 255-284, 2021

      5 이장로, "한국과 미국 근로자의 감정적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직장상사의 리더십 행동과 근로자의 역할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73-99, 2012

      6 박민우, "집회의 자유와 공익 조화를 위한 법·제도 연구" 경찰청

      7 경찰청, "집회의 자유와 공공 안녕질서의 공존을 위한 2021년 대화경찰제도 운영 계획"

      8 유승식, "집회시위의 자유 보장을 위한 협력의 원칙 도입"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199-222, 2021

      9 정준선, "집회·시위 관리정책에서 ʻ한국형 대화경찰ʼ 제도의 의미" 경찰대학 20 (20): 151-180, 2020

      10 윤미소, "직무중심 인사관리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 적합성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노동연구원 19 (19): 33-61, 2019

      1 오숙영,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묶음방법 적용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313-345, 2017

      2 황규진, "협의관리모델 분석을 통한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1 (11): 65-77, 2011

      3 정민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39-259, 2016

      4 염윤호,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 운용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23 (23): 255-284, 2021

      5 이장로, "한국과 미국 근로자의 감정적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직장상사의 리더십 행동과 근로자의 역할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73-99, 2012

      6 박민우, "집회의 자유와 공익 조화를 위한 법·제도 연구" 경찰청

      7 경찰청, "집회의 자유와 공공 안녕질서의 공존을 위한 2021년 대화경찰제도 운영 계획"

      8 유승식, "집회시위의 자유 보장을 위한 협력의 원칙 도입"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199-222, 2021

      9 정준선, "집회·시위 관리정책에서 ʻ한국형 대화경찰ʼ 제도의 의미" 경찰대학 20 (20): 151-180, 2020

      10 윤미소, "직무중심 인사관리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 적합성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노동연구원 19 (19): 33-61, 2019

      11 엄유경,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변화저항의 관계에서 조직학습역량의 매개효과: 경찰조직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61-85, 2012

      12 정윤길,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성과에 대한 역할스트레스와 멘토링의 역할" 14 (14): 85-103, 2002

      13 이용찬, "중소기업 제품 판매원의 역할스트레스가 직무열의와 적응판매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8 (38): 1-24, 2016

      14 전호성, "조직침묵, 직무몰입, 조직공정성,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87-112, 2018

      15 천보영, "조직과 개인특성이 직무적합성을 통해 경력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47-78, 2012

      16 이진주, "정서적 소진이 상호작용 공정성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41-165, 2018

      17 고정옥,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간호학회 17 (17): 81-89, 2014

      18 김정민, "재직 경찰공무원의 역량 탐색을 위한 델파이 연구 : 인적성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1 (21): 145-174, 2019

      19 양야기,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 및 조절효과" 기본간호학회 19 (19): 158-167, 2012

      20 이승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10-20, 2008

      21 고성희, "영양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94-402, 2018

      22 이명성, "사회자본과 인적자본투자가 판매원의 역할 스트레스 및 직무열의, 판매노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2 (22): 97-118, 2017

      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화경찰이 집회현장에서 갈등 완화.마찰 방지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24 심희섭, "대화경찰 투입이 집회·시위 소요시간 변화궤적에 미치는 효과: 성장혼합모형 검증"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171-198, 2021

      25 서승호, "기업 내 구성원의 개인-조직 가치일치성과 목표일치성이 업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22 (22): 77-102, 2020

      26 이현응, "국내외 HRD 연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93-117, 2019

      27 김병섭,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직무몰입도 : 동기이론과 스트레스 이론을 중심으로" 28 (28): 1279-1300, 1994

      28 최규현,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직무성과: 역할모호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7 (17): 1-31, 2020

      29 우하린, "공공조직에서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진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3 (33): 299-319, 2019

      30 박지혜, "공공기관 구성원 개인의 직무 및 조직 적합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32 (32): 2199-2221, 2019

      31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12 (12): 117-142, 2010

      32 김근호, "경찰관의 과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사의 학습지원, 지식공유, 업무몰입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33 (33): 39-72, 2019

      33 오태곤, "경찰관의 개인-환경적합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찰서와 순찰지구대 근무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55-278, 2013

      34 김성환,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과 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16 (16): 3-22, 2014

      35 남주성, "경찰공무원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대학 15 (15): 3-37, 2015

      36 Park, S., "Work engagement in nonprofit organizations : a conceptual model" 17 (17): 5-33, 2018

      37 Bakker, A. B., "Wellbeing: A complete reference guide" 1-2, 2014

      38 Schaufeli, W. B.,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Preliminary manual. O 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Unit" 26 (26): 64-100, 2003

      39 Gecas, V., "The self-concept" 8 (8): 1-33, 1982

      40 Burns, R. B., "The self concept in theory, measurement, development, and behaviour" Addison-Wesley Longman Limited 1979

      41 Xanthopoulou, D., "The role of personal resources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14 (14): 121-141, 2007

      42 Farhadi, A.,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work-related quality of life of nurses working in the wards of patients with COVID-19" 20 (20): 1-8, 2021

      43 Schaufeli, W. 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3): 71-92, 2002

      44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86): 499-512, 2001

      45 Braine, R. D.,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s predictor of work identity and work engagement : a comparative analysis" 37 (37): 52-62, 2011

      46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37 (37): 1-9, 2011

      47 Hakanen, J. J.,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a three-year cross-lagged study of burnout, depression, commitment, and work engagement" 22 (22): 224-241, 2008

      48 Deci, E. L.,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19 (19): 109-134, 1985

      49 Cao, X.,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sational support on burnout among community health nurses in China : the mediating rol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24 (24): E77-E86, 2016

      50 Arthur, D. G.,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University of Newcastle 1990

      51 Cable, D. M.,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fit perceptions" 87 (87): 875-884, 2002

      52 Arnold B. Bakker,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Emerald 22 (22): 309-328, 2007

      53 Bakker, A. B., "Strategic and proactive approaches to work engagement" 46 (46): 67-75, 2017

      54 Spiller, S. A., "Spotlights, floodlights, and the magic number zero : Simple effects tests in moderated regression" 50 (50): 277-288, 2013

      55 Bentler. P. M.,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88): 588-606, 1980

      56 Geiger, J. W. K., "Self-image an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s" 19 (19): 50-54, 1988

      57 Wells, E. L., "Self-esteem: It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Beverly Hills 1976

      58 Preacher, K. J.,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36 (36): 717-731, 2004

      59 Rizzo, J. R.,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15 (15): 150-163, 1970

      60 Eys, M. A., "Role ambiguity, task cohesion, and task self-efficacy" 32 (32): 356-373, 2001

      61 Kahn, W. 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33 (33): 692-724, 1990

      6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15

      63 McDonald, R. P.,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7 (7): 64-82, 2002

      64 Edwards, J. R.,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6 : 283-357, 1991

      65 Kahn, R. L.,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John Wiley 1964

      66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Inc. 1998

      67 Arthur, D. G.,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 a critical review" 17 (17): 712-719, 1992

      68 Caldwell, D. F., "Measuring person-job fit with a profile-caparison process" 75 (75): 333-349, 1990

      69 Arthur, D. G., "Measure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15 (15): 328-335, 1995

      70 Memon, M. A., "Linking person-job fit, person-organization fit, employee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 A three-step conceptual model" 11 (11): 313-320, 2015

      71 Di Cai,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Work Engagement: The Effects of Person-Job Fit, Person-Group Fit, and Proactive Personality" Frontiers Media SA 9 : 1-12, 2018

      72 Bakker, A. B., "Job resources boost work engagement, particularly when job demands are high" 99 (99): 274-284, 2007

      73 Bakker, A. B., "Job demands–resources theory : taking stock and looking forward" 22 (22): 273-285, 2017

      74 Schaufeli, W. 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25 (25): 293-315, 2004

      75 Kooij, D. T. A. M., "Job crafting towards strengths and interests : The effects of a job crafting intervention on person-job fit and the role of age" 102 (102): 971-981, 2017

      76 Tubre, T. C., "Jackson and Schuler(1985)Revisited :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26 (26): 155-169, 2000

      77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7

      78 Sharma, S.,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oderator variables" 18 (18): 291-300, 1981

      79 Cristina Rubino, "How do stressors lead to burnout? The mediating role of motiv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4 (14): 289-304, 2009

      80 Karasek, R. A.,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asic Books 1990

      81 Bakker, A. B., "Handbook of well-being" DEF Publishers 2018

      82 Gillet, N., "Examining the roles of work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s on satisfaction and anxiety as a function of role ambiguity" 150 (150): 644-665, 2016

      83 Hooper, D., "Evaluating model fit: a synthe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literature" 195-200, 2008

      84 Shuck, B., "Employeeengagement : an examination of antecedent and outcomevariables" 14 (14): 427-445, 2011

      85 Lauver, K. J.,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59 (59): 454-470, 2001

      86 Glazer, S., "Consistency of implications of three role stressors across four countries" 26 (26): 467-487, 2005

      87 Kristof-Brown, A. L.,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58 (58): 281-342, 2005

      88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8, 1990

      89 Bakker, A. B., "Burnout and work engagement : the JD–R approach" 1 (1): 389-411, 2014

      90 Schaufeli, W. B.,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2 (2): 120-132, 2017

      91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2003

      92 Scroggins, W. A., "Antecedents and outcomes of experienced meaningful work : a person-job fit perspective" 7 (7): 68-78, 2008

      93 Hayes, A. F.,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50 (50): 1-22, 2015

      94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1 (21): 230-258, 1992

      95 이창희, "2급응급구조사 교육생과 2급응급구조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응급환자 돌봄 지각의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826-5838, 2012

      96 Hughey, J., "16PE-E structure using radical parcel versus items" 107 (107): 107-119, 1982

      97 임시혁, "(SPSS와 GPower를 활용한) 통계자료분석의 이해와 적용" 아카데미프레스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력개발연구 -> HRD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 2.1 2.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1 3.561 0.6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