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형이상학파 종교시인 George Herbert의 시집 The Temple을 시적 상상력의 예술적 차원과 더불어 신학적 의미의 추구라는 종교와 예술의 이원론적 관점에서 분석 하고자 한다. The Temple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06152
Choi, In-Soon (English Dep. Seo-Kyeong University)
1995
English
841.000
학술저널
35-45(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형이상학파 종교시인 George Herbert의 시집 The Temple을 시적 상상력의 예술적 차원과 더불어 신학적 의미의 추구라는 종교와 예술의 이원론적 관점에서 분석 하고자 한다. The Temple이 ...
본 논문은 형이상학파 종교시인 George Herbert의 시집 The Temple을 시적 상상력의 예술적 차원과 더불어 신학적 의미의 추구라는 종교와 예술의 이원론적 관점에서 분석 하고자 한다. The Temple이 극화시킨 신의 영역을 향한 시인의 상승의 꿈은 지속적인 상향의 움직임이 아닌 상승과 하강의 반복적 역동성에 의해 발전, 전개된다. 시인의 상상력의 상승적 움직임은 노력 없이 이루어지는 순탄한 것이 아니라, 매순간 그를 끌어내리는 수많은 정신적 갈등 (Spiritual Conflicts)를 극복하기 위한 끊임없는 투쟁의 산물이다.
신과의 관계를 통한 시인의 정신적 성장 과정의 드라마인 The Temple의 주요 참여자들-시인, 신, 그리고 그리스도-을 각기 중심으로 하여 본고를 세부분으로 분류한다. "인간: 돌과 같은 마음의 변모"라는 부제의 Ⅰ장에서는 인간의 마음을 상징하는 "돌"의 이미지가 부동성의 가치 없는 돌의 무게를 벗어 던지고, 소중한 황금의 빛으로 유동화하는 것을 "Sepulchre"에서 "The Starre"에 이르는 시들을 통하여 논한다. Ⅱ장, "신: 돌과 같은 마음의 조율,"은 신이 주체가 되어 인간의 영혼이라는 돌에 가열과 냉각의 반복적인 힘을 가함으로서 "pulley"나 bucket"등의 역동적 물체가 잡아당기고 끌어내리는 힘을 견딜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하는 과정을 "Love Ⅰ"에서 "Temple Ⅱ"에 걸친 시들을 통하여 추적한다. "그리스도: 신과 인간사이의 중재"의 Ⅲ장은 "silk twist"나 "sunne-beam"등의 이미지로 상징되는 그리스도가 인간과 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며 시인이 신의 영역을 향해 상승하는 여정의 동반자가 되는 장면을 묘사한 "Mattens," "The Sacrifice"등의 시들을 다룬다.
T.S. Eliot이 The Temple을 전체적으로 공부해야 할 작품 ("an oeuvre to be studied entire")이라고 밝힌 바와 같이, 개개의 시들의 단편적 이해보다는 인간과 신의 합체라는 보다 커다란 종교적 주체를 이들이 점증적으로 이루어 가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manuscript sent to Nicholas Ferrar, George Herbert defined the collection of his poetic works, The Temple, as "a picture of the many Spiritual Conflicts that have passed betwixt God and my soul, before I could subject mine to the will of Jesus my...
In a manuscript sent to Nicholas Ferrar, George Herbert defined the collection of his poetic works, The Temple, as "a picture of the many Spiritual Conflicts that have passed betwixt God and my soul, before I could subject mine to the will of Jesus my Master; in whose service I have now found perfect freedom." As the poet himself suggested, the study of his works requires religious as well as aesthetic consideration. Joseph Summers, a renowned critic of Herbert's works, sees the temple of the title as a symbol for the body, particularly that of a Christian as he stands in relation to God and to the divine body of Chris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itle has produced other noteworthy interpretations among modern commentators. J.D. Walker, suggesting the structural analogy between Herbert's temple and the Hebrew one, explains the three divisions of Herbert's book by the Hebraic temple's tripartite division into porch, holy place, and holy of holies,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the scene of ritual purification, religious activity within the church, and the final stage of man's union with God. Louis Martz comments that the volume reduplicates the process of meditation, which consists of the sacramental introduction, the body of conflicts, and the plateau of assurance. They both point to the moral hierarchy of the poet's spiritual growth reflected in The Temple.
Martz characterizes the movement of Herbert's poems as "a steady onward pulsation --- an equananimity, a calm, a measured poise." My understanding of The Temple differs from Martz's for all his elaborate treatment of the poems. Admittedly, the overall spiritual movement is that of ascension. But each of the poems is not developed by the "steady onward" movement, but by the repetitious alternation between downward and upward movements that defines "the many Spiritual Conflicts that have passed betwixt God and [the poet's] soul."
The Temple is the dramatization of the poet's spiritual development in his relation to God. The upward movement of Herbert's imagination is not an effortless, smooth ascension. Each step upward is hard won by the poet's constant struggle to overcome "the many Spiritual Conflicts" that pull him down, in which process the poet's "stonie heart" transforms itself so that God may lift it to heaven through the existence of Christ as mediator. Man, God, and Christ are three active participants in the drama of The Temple, George Herbert's collected poems. The drama of the poet's spiritual ascension toward the divine realm will be traced in this essay by arranging it into three sections: the section of Man, of God, and of Christ.
영어의 완료상(The Perfect aspect)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