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문을 통해 나는 대전의 여성단체 활동 현황이라는 측 면을 통 해 대전지역의 여성운동의 현실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현실과 한국여성운동 담론 사이에는 엄연한 차이들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95241
2000
Korean
309.205
학술저널
109-129(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발제문을 통해 나는 대전의 여성단체 활동 현황이라는 측 면을 통 해 대전지역의 여성운동의 현실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현실과 한국여성운동 담론 사이에는 엄연한 차이들이...
발제문을 통해 나는 대전의 여성단체 활동 현황이라는 측 면을 통
해 대전지역의 여성운동의 현실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현실과 한국여성운동 담론 사이에는 엄연한 차이들이 존재하며, 그
차이는 한국의 여성문제에 대한 분석과 여성운동의 발전이라는 주
제에는 지역이라는 변수가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제 각 지역의 여성들은 각자 서 있는 위치에서 스스로 해결해
야 할 문제를 찾고, 자기의 삶에 기초한 실천을 통해 각각의 문제
들올 풀어가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지역여성들이 자기정체성을 갖고 보다 나은 인식과 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살아가는 지역사회에서 어떠한 여성문제 들 이 있으
며, 그 해결의 실마리는 어디서 풀 것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이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또한 구체적인 여성문제를 발견하고 정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일도 중요하다.
한국의 여성운동이 보다 빨리 확산되어지고 전국적인 틀 안에서
함께 내용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지역, 서로 다른 계층
의 여성들이 각자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장으로 통합되는 것이 필
요하다. 지역 여성 현실에 대한 조사 연구와 이 를 통한 지역여성운
동의 실천은 한국여성운동에 새로운 국면을 열게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