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분자(Rubus occidentalis L.) 추출물을 처방한 헤어토너가 탈색으로 인해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 = Study on the Effect of Hair Toner Formulated with Rubus Occidentalis L. Extract on the Hair Damaged by Bl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21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nvestigates the effect of hair toner formulated with Rubus Occidentalis L. extract on hair damaged by bleaching. The antioxidant functions of bokbunja material was examined via the tests of total phenol content, flavonoid content, and Vitamin B ...

      This investigates the effect of hair toner formulated with Rubus Occidentalis L. extract on hair damaged by bleaching. The antioxidant functions of bokbunja material was examined via the tests of total phenol content, flavonoid content, and Vitamin B analysis. Bokbunja hair toner was prepared in 3 different concentrations. Untreated hair tress was bleached using a commercial hair bleaching agent and then treated with <shampoo→towel dry→air dry→toner treatment> once each day for 40 days. Hair samples were examined on their surface characteristics, tensile strength, and amount of protein leak. Total phenol content of the bokbunja material was 2999.50 μg GAE/mL and the flavonoid content was 955.140 μg CE/mL. Vitamin B contents were B2 0.403 μg/mL, B3 0.545 μg/mL, B5 0.357 μg/mL, B6 0.213 μg/mL, and B7 0.022 μg/mL. Tensile strengths of bleached hair without bokbunja hair toner treatment were 368.3 MPa, 386.2 MPa, and 479.4 MPa which were only 43.1~56.1% of the tensile strength of untreated hair. Bleached hair increased in tensile strength to 488.8 MPa, 549.2 MPa, and 521.6 MPa after 40 days of toner treatment. Bleached hair showed a higher amount of protein leak (218.48 μg/mL) compared to untreated hair (186.53 μg/mL). After 40 days of bokbunja hair toner treatment, the protein leak of hair treated with 3 different toners was 247.57 μg/mL (5%), 241.22 μg/mL (10%), and 267.13 μg/mL (15%)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otein leak of untreated hair as well as the protein leak of bleached hair without the toner trea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효정, "포공영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모발화장품 제조와 모발 보호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이선,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357-1362, 2014

      3 이귀연, "탈색모발의 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 38 (38): 251-257, 2008

      4 김수정, "탈모방지 및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바이오에프디엔씨, ㈜우신화장품

      5 김민선, "천연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4 (14): 249-262, 2013

      6 노정애, "인장강도 측정에 의한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 39 (39): 49-56, 2009

      7 반효정, "염색 시술 시 포공영 샴푸 처리에 따른 모발 손상도 및 색상도 변화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73-83, 2015

      8 최묘선, "염색 모발을 산성 웨이브 펌으로 시술 시 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발의 손상과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165-177, 2015

      9 이보름, "손상 모발을 위한 EPA 함유 샴푸 개발" 한국임상약학회 21 (21): 256-269, 2011

      10 이귀영, "산화형 영구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 38 (38): 339-345, 2008

      1 반효정, "포공영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모발화장품 제조와 모발 보호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이선,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357-1362, 2014

      3 이귀연, "탈색모발의 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 38 (38): 251-257, 2008

      4 김수정, "탈모방지 및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바이오에프디엔씨, ㈜우신화장품

      5 김민선, "천연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4 (14): 249-262, 2013

      6 노정애, "인장강도 측정에 의한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 39 (39): 49-56, 2009

      7 반효정, "염색 시술 시 포공영 샴푸 처리에 따른 모발 손상도 및 색상도 변화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73-83, 2015

      8 최묘선, "염색 모발을 산성 웨이브 펌으로 시술 시 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발의 손상과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165-177, 2015

      9 이보름, "손상 모발을 위한 EPA 함유 샴푸 개발" 한국임상약학회 21 (21): 256-269, 2011

      10 이귀영, "산화형 영구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 38 (38): 339-345, 2008

      11 정선주, "복분자의 염색성과 염색 지속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2 차환수, "복분자딸기의 성숙 단계별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683-688, 2007

      13 박선화, "복분자 추출물을 활용한 헤어 토너가 손상모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천대학교대학원 2018

      14 신현재, "복분자 유용 성분의 연구과 그 응용" 한국생물공학회 21 (21): 405-409, 2006

      15 강은희, "모발화장품의 제형에 따른 손상모발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11 (11): 283-291, 2005

      16 정지영,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별모발화장품 제조에 따른 모발의 보호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7

      17 Smith, J. R., "Use of atomic force microscopy for high-resolution non-invasive structural studies of human hair" 48 : 199-208, 1997

      18 Stankovic, M. S., "Total phenolic content, flavonoid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rrubium peregrinum L. extracts" 33 : 63-72, 2011

      19 Chlopicka, J.,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pseudocereal breads" 46 : 548-555, 2012

      20 Wolfram, L. J., "The mechanism of hair bleaching" 21 : 875-900, 1970

      21 Kaume, "The blackberry fruit: A review on its composition and chemistry, metabolism and bioavailability, and health benefits" 60 : 5716-5727, 2012

      22 Tillou, R., "Restoring essential hair fiber lipids with quarternized 18-MEA"

      23 Silva, A. L., "Protein loss quantification of abraded virgin and abraded bleached hair according to Bradford assay" 55 (55): S175-S179, 2004

      24 Wiesche, E. S., "Prevention of hair surface aging" 62 (62): 237-249, 2011

      25 Chen, J.,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strawberry FaASR gene in relation to fruit ripening" 6 (6): 1-14, 2011

      26 Wikipedia, "Lambertianin C"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7 Tattersall, D. B.,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ruit-specific, Thaumatin-like protein that accumulates at very high levels in conjunction with the onset of sugar accumulation and berry softening in grapes" 114 : 759-769, 1997

      28 Dias, M. F. R. G., "Hair cosmetics: An overview" 7 (7): 2-15, 2015

      29 Helmenstine, A. M., "Hair color chemistry: How hair coloring works" ThoughtCo

      30 Bolduc, C., "Hair care products: Waving, straightening, conditioning, and coloring" 19 : 431-436, 2001

      31 Fernandez, E., "Efficacy of antioxidants in human hair" 117 : 146-156, 2012

      32 Wikipedia, "Cyanidin"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33 Yang, J. W., "Comparison of th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black raspberry,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ith those of six other berries" 15 (15): 110-117, 2017

      34 Robbins, C., "Chemical and physical behavior of human hair"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12

      35 Wikipedia, "CIE color spac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36 USDA, "Basic report:09042, blackberries, raw.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Legacy Release

      37 Lupo, M. P., "Antioxidants and vitamins in cosmetics" 19 : 467-473, 2001

      38 Wada, 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Oregon caneberries" 50 : 3495-3500, 2002

      39 Nakamura, A., "A rapid extraction procedure of human hair proteins and identification of phosphorylated species" 25 (25): 569-572, 2002

      40 Fujii, T., "A novel purification procedure for keratinassociated proteins and keratin from human hair" 13 (13): 92-10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0.6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