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최명희 소설에 드러난 ‘집’의 공간 표상 = On the Spatial Figures in Choi, Myunghee's Narrative Fi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1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Spatial Figures in Choi, Myunghee's Narrative Fictions


      Jang, Il-gu


      Honbul(Spirit Light), Choi Myunghee's famous roman-fleuve is a narrative masterpiece that describes various cultures of Honam province in detail. It could be called as an ethnographical narrative that covers various folk- believes or religious thoughts, customs, public life styles of Namwon region in liminal periods of early westernized and colonial times. Especially the cultural symbols and representations of house and family ideology are the keys for understanding of Honbul.
      A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place, 'house' signifies double senses of safe-guard and confine. It could be a mechanism of existential stability, or of suppression. This symbolical mechanism works on the ideological significance of family as well. Narrative space could be created as the counter-mechanism for liberal projection of existences, and Honbul or other Choi's short stories be the exemplary fictional narratives.
      번역하기

      On the Spatial Figures in Choi, Myunghee's Narrative Fictions Jang, Il-gu Honbul(Spirit Light), Choi Myunghee's famous roman-fleuve is a narrative masterpiece that describes various cultures of Honam province in detail. It could be called as an et...

      On the Spatial Figures in Choi, Myunghee's Narrative Fictions


      Jang, Il-gu


      Honbul(Spirit Light), Choi Myunghee's famous roman-fleuve is a narrative masterpiece that describes various cultures of Honam province in detail. It could be called as an ethnographical narrative that covers various folk- believes or religious thoughts, customs, public life styles of Namwon region in liminal periods of early westernized and colonial times. Especially the cultural symbols and representations of house and family ideology are the keys for understanding of Honbul.
      A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place, 'house' signifies double senses of safe-guard and confine. It could be a mechanism of existential stability, or of suppression. This symbolical mechanism works on the ideological significance of family as well. Narrative space could be created as the counter-mechanism for liberal projection of existences, and Honbul or other Choi's short stories be the exemplary fictional narra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최명희 소설에 드러난 ‘집’의 공간 표상을 해석한 결과다. 집은 안정된 삶의 터전으로서 실존을 보호하는 속성을 지닌 ‘장소’로 일단 이해된다. 그렇지만 집이 그러한 장소성을 상실한 채 더 이상 존재의 안정감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실존을 가두어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할 때가 있어 문제다. 이때 집은 물리적 장소로서보다, 이념이나 관념으로 환치된 공간적 표상으로서 이해된다.개화와 근대화, 산업화와 도시화 도정에서 과도기 때마다 삶의 안정을 잃고 안주할 수 없었던 이들의 사정이 개인 차원에 걸치지 않고, 사회 전반이나 역사의 문제로 확산되는 국면을 이야기한 것이 요체인 최명희 소설에서, ‘집’의 공간 표상이 드러나는 것은 이와 관련된다. 등단작인 <쓰러지는 빛>에서 존재의 저변인 집을 잃은 가족의 아픔은 일개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 당시 사회 전반에 걸친 산업화와 도시화로 빚어진 무장소성의 표상을 돌이킨다. <주소> 또한 안식할 수 있는 장소가 아닌 것으로 변질된 집의 형상을 묘파한다.이러한 집의 공간 표상이 혼불의 구심 가운데 하나를 점하고 있으며, 다채로운 그 표상들이 종내 ‘가와 가문’에 관한 이념적 표지로 전환되어 주제를 드러내는 기제로 작동한다. 일개 집안의 문제는 과도기에 처한 민족 문제로 비약하는가 하면, 존재를 억압하는 가문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변주된다. 일견 그와 같은 관념적 사태를 구체적인 집의 형상을 통해 표상하는 데서 혼불 특유의 서사 전략과 미학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종내 문화지 규모의 서사로 각광 받는 이 소설의 본색을 재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최명희 소설에 드러난 ‘집’의 공간 표상을 해석한 결과다. 집은 안정된 삶의 터전으로서 실존을 보호하는 속성을 지닌 ‘장소’로 일단 이해된다. 그렇지만 집이 그러한 장소성을...

      이 글은 최명희 소설에 드러난 ‘집’의 공간 표상을 해석한 결과다. 집은 안정된 삶의 터전으로서 실존을 보호하는 속성을 지닌 ‘장소’로 일단 이해된다. 그렇지만 집이 그러한 장소성을 상실한 채 더 이상 존재의 안정감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실존을 가두어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할 때가 있어 문제다. 이때 집은 물리적 장소로서보다, 이념이나 관념으로 환치된 공간적 표상으로서 이해된다.개화와 근대화, 산업화와 도시화 도정에서 과도기 때마다 삶의 안정을 잃고 안주할 수 없었던 이들의 사정이 개인 차원에 걸치지 않고, 사회 전반이나 역사의 문제로 확산되는 국면을 이야기한 것이 요체인 최명희 소설에서, ‘집’의 공간 표상이 드러나는 것은 이와 관련된다. 등단작인 <쓰러지는 빛>에서 존재의 저변인 집을 잃은 가족의 아픔은 일개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 당시 사회 전반에 걸친 산업화와 도시화로 빚어진 무장소성의 표상을 돌이킨다. <주소> 또한 안식할 수 있는 장소가 아닌 것으로 변질된 집의 형상을 묘파한다.이러한 집의 공간 표상이 혼불의 구심 가운데 하나를 점하고 있으며, 다채로운 그 표상들이 종내 ‘가와 가문’에 관한 이념적 표지로 전환되어 주제를 드러내는 기제로 작동한다. 일개 집안의 문제는 과도기에 처한 민족 문제로 비약하는가 하면, 존재를 억압하는 가문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변주된다. 일견 그와 같은 관념적 사태를 구체적인 집의 형상을 통해 표상하는 데서 혼불 특유의 서사 전략과 미학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종내 문화지 규모의 서사로 각광 받는 이 소설의 본색을 재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혼불읽기 문화읽기" 한길사 1999

      2 "혼불의 문학세계" 소명출판 2001

      3 "혼불과 전통문화" 신아출판사 2003

      4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5 "최명희의 문학세계" 한길사 2004

      6 "최명희 소설 연구" 2004

      7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8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4

      9 "사회 공간론" 한울 2003

      10 "가와 가문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88

      1 "혼불읽기 문화읽기" 한길사 1999

      2 "혼불의 문학세계" 소명출판 2001

      3 "혼불과 전통문화" 신아출판사 2003

      4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5 "최명희의 문학세계" 한길사 2004

      6 "최명희 소설 연구" 2004

      7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8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4

      9 "사회 공간론" 한울 2003

      10 "가와 가문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88

      11 "The Poetics of Space" 1994

      12 "The Anthropology of Space and Place" Blackwell 2003

      13 "Sein und Zeit" 1972

      14 "Mensch und Raum im Roman" 1971

      15 "Fictional Space in the Modernist and Postmodernist American Novel"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6-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9-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0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