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Textom,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을 키워드로 빅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88876
2021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57-178(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Textom,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을 키워드로 빅데...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Textom,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지방교육재정을 키워드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ㆍ2차 데이터 정제를 실시하였고, 이후 공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핵심 키워드를 50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공출현 빈도분석, 거시적 네트워크 유의성, 중심성 분석, 에고 네트워크 분석, k-core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키워드 네트워크는 응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통적으로 지원, 정부, 학교, 학생, 교육부, 문제, 예산의 키워드들이 연결중심성, 인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과 정부 키워드는 여타 키워드와 높은 밀도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core 분석결과 핵심키워드 50개는 이해관계 키워드집단, 현집중정책 키워드집단, 개혁과제 키워드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도출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지방교육재정의 사회적 인식과 그 각각의 키워드가 함양하는 의미를 도출하여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방향성에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 through big data. For this research purpose, Textom, Ucinet6, and Netdraw were used to collect data using local education finance as keywords and conduct network analysis. The c...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 through big data. For this research purpose, Textom, Ucinet6, and Netdraw were used to collect data using local education finance as keywords and conduct network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data purification. After that, 50 key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co-occurence,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e social network of local education finance is highly concentrated. Second, the keywords of support, government, school, student, education, problem, and budget were found to be high in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ird, the keyword of support and government was found to be connected with other keywords in high density. Fourth, 50 key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interest keyword groups, current concentration keyword groups, and reform task keyword groups. From this research results,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will be th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local education finance policy.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철안, "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진단과 재설계방안 탐색" 교육발전연구소 26 (26): 1-19, 2016
2 이태훈, "프랑스 연금제도의 변화와 최근 개혁안" 10 : 76-81, 2019
3 권예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리질리언스(Resilience) 연구동향 분석" 한국상담학회 17 (17): 105-121, 2016
4 경제정보센터, "지방재정 운용의 비효율적 칸막이 없어진다"
5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지방교육재정이란"
6 송기창, "지방교육재정의 변화추이 분석에 따른 문재인정부의 정책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57-92, 2017
7 주철안, "지방교육재정에 관한 연구" 25 : 85-99, 1992
8 나민주, "지방교육재정분권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7 (27): 1-19, 2018
9 윤기현, "지방교육재정과 일반지방재정의 공평성 수준 및 재정지출효과에 관한 비교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10 구균철, "지방교육재정 재원조달체계의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9 (19): 33-75, 2014
1 주철안, "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진단과 재설계방안 탐색" 교육발전연구소 26 (26): 1-19, 2016
2 이태훈, "프랑스 연금제도의 변화와 최근 개혁안" 10 : 76-81, 2019
3 권예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리질리언스(Resilience) 연구동향 분석" 한국상담학회 17 (17): 105-121, 2016
4 경제정보센터, "지방재정 운용의 비효율적 칸막이 없어진다"
5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지방교육재정이란"
6 송기창, "지방교육재정의 변화추이 분석에 따른 문재인정부의 정책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57-92, 2017
7 주철안, "지방교육재정에 관한 연구" 25 : 85-99, 1992
8 나민주, "지방교육재정분권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7 (27): 1-19, 2018
9 윤기현, "지방교육재정과 일반지방재정의 공평성 수준 및 재정지출효과에 관한 비교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10 구균철, "지방교육재정 재원조달체계의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9 (19): 33-75, 2014
11 김병주, "지방교육재정 운영성과 평가제도의 진단과 발전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129-152, 2015
12 이병호, "지방교육재정 경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13 김상훈, "지방교육재정 건전성 분석 및 재정정책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14 주철안, "지방교육자치와 교육재정의 운영" 1 : 41-63, 1996
15 이영내, "지방교육 복지재정의 실태 분석 연구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를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1245-1260, 2014
16 매일경제, "재정지출 구조조정 나선 정부…교육재정교부금부터 손본다"
17 서원석,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7-124, 2019
18 강승지, "우리나라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141-168, 2018
19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연금개혁으로 공무원 부담 늘리고 받는 연금액 줄였다"
20 연합뉴스, "시가 9억 이상 아파트 공시가 21% 인상 확정"
21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7
22 최인봉,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학업성취도 평가 이슈 분석" 교육과정평가원 2015
23 송태민, "소셜 빅데이터 기반 저출산 정책 수요 예측"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4 한국경제연구원, "새해 들어서도 개선되지 못하는 경기 전망"
25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9
26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13
27 이강훈,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121-144, 2018
28 황해익,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13-235, 2018
29 김경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부모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41-758, 2017
30 김병만,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보통합의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9 (29): 17-39, 2019
31 Textom,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텍스톰 2018
32 연합뉴스, "박능후 "국민연금 개혁 단일 정부안 제시 고민중""
33 서화정,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시·도별 지방교육재정 세출 경향 및 격차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271-297, 2017
34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2
35 한겨레, "나라 빚 내서 3차 추경도 한다는데…감당 여력 있나"
36 김민희, "고등학교 무상교육 실현방안 연구’에 대한 토론: 재원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3 : 55-59, 2019
37 Wasserman, S.,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8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SAGE 2012
39 Knoke, D.,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2008
40 Prell, C.,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2012
41 박선주, "SW 교육 뉴스데이터의 감성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89-96, 2017
42 Seidman, S. B., "Network Structure and Minimum Degree" 5 (5): 269-287, 1983
43 Bott, E., "Family and Social Networks" Tavistock Publication 1957
44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1 (1): 215-239, 1979
45 Borgatti, S. P.,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Publications 2013
46 교육부, "2019년 2학기부터 고등학교 무상교육 시행"
47 기획재정부, "2019-2023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재정전략과 정책보고서" 2019
48 교육부, "2015년도 지방교육재정 운영성과평가 계획" 지방교육지원국지방교육재정 분석・평가팀 2015
음악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ㆍ청소년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