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미숙, "효과적 대학 독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도서관 연계활동과 독서 교과, 비교과 활동 -" 동남어문학회 1 (1): 299-326, 2015
2 조미헌,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291-304, 2013
3 김성숙, "한양대학교 비교과 의사소통 활동 중 렌즈에세이 쓰기 대회 운영 사례 보고" 36 : 9-30, 2014
4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양교육 성과진단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6
5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6 손동현,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3 (3): 21-32, 2009
7 이보경, "쌍방향(In/Out Bound) 국제화를 지향한 대학의 교육실태와 비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63-492, 2012
8 박창남,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71, 2017
9 주은숙, "비교과프로그램으로서의 창의・융합캠프 사례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54-60, 2016
10 최진영,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 조사 및 운영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9-77, 2011
1 조미숙, "효과적 대학 독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도서관 연계활동과 독서 교과, 비교과 활동 -" 동남어문학회 1 (1): 299-326, 2015
2 조미헌,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291-304, 2013
3 김성숙, "한양대학교 비교과 의사소통 활동 중 렌즈에세이 쓰기 대회 운영 사례 보고" 36 : 9-30, 2014
4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양교육 성과진단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6
5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6 손동현,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3 (3): 21-32, 2009
7 이보경, "쌍방향(In/Out Bound) 국제화를 지향한 대학의 교육실태와 비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63-492, 2012
8 박창남,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71, 2017
9 주은숙, "비교과프로그램으로서의 창의・융합캠프 사례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54-60, 2016
10 최진영, "비교과과정 운영 사례 조사 및 운영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9-77, 2011
11 장상필,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소 13 (13): 135-156, 2015
12 Keller, G., "미국 최고의 대학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뜨인돌 2011
13 손미,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25-251, 2008
14 조아라, "동국대 경주캠퍼스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 ‘독서 멘토링’의 운영 사례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 53-98, 2015
15 김정민,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73-791, 2017
16 문성동, "대학에서 비교과영역의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 20 (20): 147-160, 2015
17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5-65, 2007
18 백원영, "대학생의 비교과 활동(extra-curriculum) 및 전공수업 방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261-284, 2012
19 전예원, "대학생의 개인 및 학교생활 변인이 핵심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0 김현우, "대학생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37-357, 2018
21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교양 기초교육백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7
22 김수연,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85-609, 2016
23 한안나,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과 성과: D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0 (30): 111-138, 2017
24 양근우,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및 인증시스템 U-CAAM 의 구축 및 운영" 71-86, 2015
25 최인수, "국내 대학의 창의성 교과목 현황 및 내용분석 : 상위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79-199, 2012
26 조혜경,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한 명저 읽기와 서평 쓰기 제안-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77-698, 2017
27 최정빈, "공과대학의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교과운영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77-88, 2015
28 주현재,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학습원칙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419-448, 2011
29 전은경, "경북대학교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성과 ― 글쓰기 센터 운영(2008~2013)과글쓰기·말하기 통합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233-269, 2014
30 Omazic, M. A., "Virtual Mentorship Program-A Development of Young Professionals and Scientists" IEEE 5 : 331-336, 2008
31 Katz, S., "The liberal arts in school and college" 52 (52): 46-47, 2006
32 Goldenberg, E. N., "Teaching key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2001 (2001): 15-23, 2001
33 채수경, "S-PBL학습방법을 적용한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와 만족도 조사 및 교육효과 비교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73-92, 2012
34 Dunlap,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 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53 (53): 65-85, 2005
35 김향자, "PBL(Problem-Based Learning)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6 (6): 1-20, 2014
36 김현우, "PBL 수업의 학습성과 유형과 단계별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학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403-427, 2013
37 이혜숙,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8 (8): 33-50, 2009
38 AAC&U, "Greater expectations: A New Vision for Learning as a Nation Goes to College" AAC&U 2002
39 Kuh, G. D., "Excerpt from 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 What they are, who has access to them, and why they matter"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