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검증 =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Social Adaption of Disaster Victims: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6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피해자들이 재난피해를 이겨내고 일상으로 적응함에 있어 지역사회공동체 탄력성은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 재난피해자들의 적극적 사회참여는사회적응의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피해를 입은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참여 요인이 조절효과가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재난피해자 안심서비스 구축’ 연구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전처리한 후, 재난피해자 1,738명을 대상으로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참여 수준은 사회적응과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수준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재난피해자들이 재난피해를 이겨내고 일상으로 적응함에 있어 지역사회공동체 탄력성은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 재난피해자들의 적극적 사회참여는사회적응의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

      재난피해자들이 재난피해를 이겨내고 일상으로 적응함에 있어 지역사회공동체 탄력성은 매우 중요하다. 더불어 재난피해자들의 적극적 사회참여는사회적응의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피해를 입은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참여 요인이 조절효과가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재난피해자 안심서비스 구축’ 연구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전처리한 후, 재난피해자 1,738명을 대상으로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참여 수준은 사회적응과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동체 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수준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ilience of these commun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disaster victims recover from damage and adapt to their daily lives.
      Furthermore, th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disaster victims is essential for their social adapt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among individuals affected by disaster damage, while also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results of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s “Disaster Victim Safety Service Establishment” study, this research employed SPSS 22.0 statistical programs to analyze responses from 1,738 disaster victi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adaptation. Additionally,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put forth.
      번역하기

      The resilience of these commun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disaster victims recover from damage and adapt to their daily lives. Furthermore, th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disaster victims is essential for their social adaptation. Thi...

      The resilience of these commun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disaster victims recover from damage and adapt to their daily lives.
      Furthermore, th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disaster victims is essential for their social adapt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among individuals affected by disaster damage, while also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results of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Research Institute’s “Disaster Victim Safety Service Establishment” study, this research employed SPSS 22.0 statistical programs to analyze responses from 1,738 disaster victi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adaptation. Additionally,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adaptation.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put for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균 ; 이정림 ; 서은주, "환경재난의 장기적 사회영향: 기름유출사고 발생 11년의 시점에서 본 두 개의 어촌마을"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13-235, 2019

      2 최송식, "한국의 재난복지의 개념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 (2): 39-91, 2016

      3 함승경 ; 김영욱, "피해자 비난과 공동체 탄력성에 관한 연구: 재난 유형과 죽음의 현저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5 (15): 152-182, 2019

      4 김교헌 ; 김세진 ; 권선중,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론 구성" 한국심리학회 28 (28): 189-208, 2009

      5 최송식 ; 김주희 ; 권혜민 ; 김다미 ; 이소정, "지역사회 재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 연구- 부산시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3 (13): 83-103, 2017

      6 전대욱, "지역공동체 회복력(Community Resilience)의 개념과 적용방안" 34-39, 2015

      7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제3차(2018년도)재난피해자 패널조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8 윤지혜,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15): 1-22, 2018

      9 조성, "재난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협력 네트워크 분석: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 19 (19): 235-268, 2020

      10 김수영, "재난피해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95-108, 2020

      1 김도균 ; 이정림 ; 서은주, "환경재난의 장기적 사회영향: 기름유출사고 발생 11년의 시점에서 본 두 개의 어촌마을"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13-235, 2019

      2 최송식, "한국의 재난복지의 개념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 (2): 39-91, 2016

      3 함승경 ; 김영욱, "피해자 비난과 공동체 탄력성에 관한 연구: 재난 유형과 죽음의 현저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5 (15): 152-182, 2019

      4 김교헌 ; 김세진 ; 권선중,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론 구성" 한국심리학회 28 (28): 189-208, 2009

      5 최송식 ; 김주희 ; 권혜민 ; 김다미 ; 이소정, "지역사회 재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 연구- 부산시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3 (13): 83-103, 2017

      6 전대욱, "지역공동체 회복력(Community Resilience)의 개념과 적용방안" 34-39, 2015

      7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제3차(2018년도)재난피해자 패널조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8

      8 윤지혜,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15): 1-22, 2018

      9 조성, "재난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협력 네트워크 분석: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 19 (19): 235-268, 2020

      10 김수영, "재난피해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95-108, 2020

      11 임혜선 ; 남동엽 ; 이기영, "재난피해자의 회복수준에 대한 지역공동체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소 75 : 5-30, 2022

      12 김현성 ; 김민수, "재난피해자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10 (10): 841-854, 2019

      13 김민수 ; 이용호 ; 배병규, "재난피해가 사회적 불만에 미치는 영향 - 국가 서비스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5 (15): 155-168, 2019

      14 김창진 ; 양기근, "재난취약계층이 재난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기초자치단체 재난관리예산을 중심으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6 (16): 19-44, 2020

      15 이대웅 ; 권기헌, "재난정책분야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결정요인 분석 - 재난유형 가운데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475-509, 2017

      16 노진철, "재난에 노출된 공동체의 탄력성 위기와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변화 - 세월호 참사 사례의 안산시를 중심으로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9 (29): 133-179, 2015

      17 양기근,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9 (9): 249-256, 2009

      18 구원회 ; 백민호,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14 (14): 238-246, 2018

      19 임상규 ; 이남국, "재난관리분야의 민간부문 활성화 방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1 (11): 1-19, 2015

      20 조영진 ; 여은태, "재난관리 주체로서의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법적 과제" 한국비교공법학회 23 (23): 161-190, 2022

      21 이정일, "재난관리 민관협력 효율화 방안" 2016 (2016): 173-206, 2016

      22 은재호, "재난갈등의 원인과 해법"

      23 최남희, "재난 피해자 사후 지원: 재난 피해자의 사회 복귀"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 (2): 1-18, 2006

      24 박진희, "재난 위험 사회의 위험 관리 전략의 새로운 모색 -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시민성(Citizenship)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19) : 91-118, 2015

      25 지영주 ; 김경남, "일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9-27, 2016

      26 문한식 ; 허현미, "이주노동자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65-85, 2015

      27 박은혜 ; 전샛별,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53-275, 2010

      28 한기봉, "위헙사회’와 소통-울리히 벡을 생각하며"

      29 권설아, "시계열자료 분석을 통한 재난발생 이후 지역경제 회복력(resilience)에 관한 연구-세월호 참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56-463, 2018

      30 김상임, "사회적 자본이 재난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1913-1928, 2020

      31 한승주, "사회재난 이후, 정부의 대응과 책임 변화" 정부학연구소 24 (24): 277-308, 2018

      32 지은구 ; 손제희 ; 김민주,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과 타당도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61-192, 2015

      33 김진주 ; 강균영, "사무직 근로자의 회복탄력성, 우울 및 스트레스" 대한산업경영학회 18 (18): 51-57, 2020

      34 홍순범 ; 서광봉 ; 이지열, "복지관 참여 노인들의 여가열의와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75) : 359-367, 2019

      35 이성애 ; 장석헌, "범죄피해자의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한 지원 모델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14 (14): 149-175, 2019

      36 박종원 ; 김숙희, "배우자 사별 여성노인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6) : 1-32, 2015

      37 최송식, "노인의 재난 후 갈등경험과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실천회 6 (6): 45-77, 2020

      38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39 김이레 ; 오설미,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 피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6 (16): 73-90, 2020

      40 송영지 ; 박로사 ; 최송식, "경제수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재난 후 노인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 (11): 1113-1128, 2020

      41 정유리, "결혼이주자의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특성과 지역사회 적응에관한 연구" 4 (4): 55-82, 2014

      42 박은미 ; 송영숙,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및 회복탄력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57-365, 2019

      43 한겨레, "‘위험사회’ 경고 남기고 간 울리히 벡"

      44 Timmerman, P,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the Collapse of Society. Environmental Monograph No. 1"

      45 Kulig, J. C., "Understanding Community Resiliency in Rural Communities Through Multimethod Research" 3 (3): 77-94, 2008

      46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2015

      47 Mundt, J. C., "The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a simple measure of impairment in functioning" 180 (180): 461-464, 2002

      48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49 Nakagawa, Y., "Social capital: A missing link to disaster recovery" 22 (22): 5-34, 2004

      50 Aldrich, D. P.,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silience" 59 (59): 254-269, 2015

      51 김재엽 ; 최지현 ; 류원정, "PTSD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교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43-367, 2012

      52 Wickes, R., "Neighborhood structure,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silience: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2011 Brisbane flood disaster" 96 (96): 330-353, 2015

      53 Ades, Alberto, "National Champions and Corruption:Some Unpleasant Interventionist Arithmetic" 107 : 1023-1042, 1997

      54 Elliott, J. R., "Limits to social capital:Comparing network assistance in two New Orleans neighborhoods devastated by Hurricane Katrina" 51 (51): 624-678, 2010

      55 Hegney, D. G., "Individual Resilience in Rural People : A Queensland Study, Australia" 7 (7): 1-13, 2007

      56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Disaster Risk Reduction and Resilience in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57 Hurlbert, J. S., "Core networks and tie activation:What kinds of routine networks allocate resources in nonroutine situations?" 65 (65): 598-618, 2000

      58 Leykin, D., "Conjoint community resiliency assessment measure-28/10 items (CCRAM28and CCRAM10): A self-report tool for assessing community resilience" 52 (52): 313-323, 2013

      59 Kimhi, S., "Community resilience and the impact of stress:Adult response to Israel’s withdrawal from Lebanon" 2004

      60 Chamlee-Wright, E., "Club goods and post-disaster community return" 21 (21): 429-458, 2009

      61 Kage, R, "Civic engagement in postwar Japan : The revival of a defeate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62 Airriess, C. A., "Church-based social capital, networks and geographical scale: Katrina evacuation, relocation, and recovery in a New Orleans Vietnamese American community" 39 (39): 1333-1346, 2008

      63 Goldberg, E., "Aging after retirement: A Social psychological process" 31 : 41-54, 2006

      64 Bruneau. M.,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imc resilience of communities" 19 : 722-752,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