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단의 한 과정’의 측면에서 본 주역의 ‘기미’ = The Meaning of the Springs in I Ching as a Process of Decision Ma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9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 삶의 실존은 항상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는 과정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주역』 역시 “역을 지은 자는 우환이 있었을 것이다.”1)라고 말한 것에서도 그런 사실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역은 개인 또는 사회나 국가가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떻게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어떻게 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주역』 에서는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절대적인 불행이나 영원히 지속적인 행복이란 없다. 비록 위험한 상황에 빠져있을지라도 벗어날 길이 있고 행복도 지나치면 불행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주역에서 보는 인간은 항상 자신의 외적 상황과 내적 상황을 파악하여 스스로 변화해 나가야 한다. 말하자면 탁월한 선택을 통해 어떤 순간에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인간은 길하게도 될 수 있고 흉하게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 에서는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그에 따르는 결단력 있는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주역』 에서 ‘기미’는 이러한 판단과 결단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소개된다. 기미라는 용어의 일차적 의미는 일이 구체적으로 완전히 드러나기전 어떤 사태의 미미한 조짐이다. 따라서 기미를 본다는 것은 아직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앞으로의 상황 전개에 따른 길흉을 예측함으로써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미의 의미에 붙여『주역』에서 점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즉 “모든 일에는 반드시 그 조짐이 있다. 그것은 어떠한 일이 발생하는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뜻이다. 조짐을 보고 앞으로 발생할 일을 아는 것이 점이고 그 일에 대비하고자 하는 것(避凶趨吉)이 점을 치는 목적이다.”2)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주역 에서 기미를 아는 것이 상황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건이 되며, 실제로 일련의 판단 과정 중의 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선언적으로 전제한다.
      그러한 전제에 기초해서 이 글에서는 첫째는 『주역』에 나타난 기미의 총체적 의미를 설명하는 가운데 그 의의를 고찰하고(II), 둘째는 『주역』의 구조이해를 통해 기미 파악의 근거를 살펴보고 (III), 셋째로 기미를 파악할 수 있는
      전제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IV), 넷째로는 기미의 파악 후 그것이 어떻게 판단의 한 과정으로 연결되면서, 실천으로 연결되는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V).
      번역하기

      인간 삶의 실존은 항상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는 과정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주역』 역시 “역을 지은 자는 우환이 있었을 것이다.”1)라고 말한 것에서도 그런 사실을 분명히 확인할 수 ...

      인간 삶의 실존은 항상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는 과정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주역』 역시 “역을 지은 자는 우환이 있었을 것이다.”1)라고 말한 것에서도 그런 사실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역은 개인 또는 사회나 국가가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떻게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어떻게 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주역』 에서는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절대적인 불행이나 영원히 지속적인 행복이란 없다. 비록 위험한 상황에 빠져있을지라도 벗어날 길이 있고 행복도 지나치면 불행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주역에서 보는 인간은 항상 자신의 외적 상황과 내적 상황을 파악하여 스스로 변화해 나가야 한다. 말하자면 탁월한 선택을 통해 어떤 순간에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인간은 길하게도 될 수 있고 흉하게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 에서는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그에 따르는 결단력 있는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주역』 에서 ‘기미’는 이러한 판단과 결단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소개된다. 기미라는 용어의 일차적 의미는 일이 구체적으로 완전히 드러나기전 어떤 사태의 미미한 조짐이다. 따라서 기미를 본다는 것은 아직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앞으로의 상황 전개에 따른 길흉을 예측함으로써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미의 의미에 붙여『주역』에서 점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즉 “모든 일에는 반드시 그 조짐이 있다. 그것은 어떠한 일이 발생하는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뜻이다. 조짐을 보고 앞으로 발생할 일을 아는 것이 점이고 그 일에 대비하고자 하는 것(避凶趨吉)이 점을 치는 목적이다.”2)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주역 에서 기미를 아는 것이 상황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건이 되며, 실제로 일련의 판단 과정 중의 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선언적으로 전제한다.
      그러한 전제에 기초해서 이 글에서는 첫째는 『주역』에 나타난 기미의 총체적 의미를 설명하는 가운데 그 의의를 고찰하고(II), 둘째는 『주역』의 구조이해를 통해 기미 파악의 근거를 살펴보고 (III), 셋째로 기미를 파악할 수 있는
      전제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IV), 넷째로는 기미의 파악 후 그것이 어떻게 판단의 한 과정으로 연결되면서, 실천으로 연결되는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V).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appears that the origin of I Ching comes from the issue of what kind of decision should one make in danger. It seems pivotal to grasp the springs(ji) of things to judge the situation in I Ching. In fact, knowing the
      spring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serial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The springs are the slight beginnings of movement. So he who knows these springs, predicts the future and makes a decision can be called
      sprit-like, since he have achieved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penetrating heaven, earth, and man.
      Knowing the springs of things is grounded on the structure of I Ching. It is because I Ching contains the forms and principles of heaven, earth, and man. It means that the whole universe are the organic unity and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a human being as a part of the whole can know what I Ching reveals.
      However, knowing the springs of things requires morally good character. Since the whole direction of I Ching is pointing toward achieving morality, in order to catch the slight beginnings of movement that I Ching indicates
      requires moral character. In this point I Ching is similar to Aristotle. Aristotle argues that happiness comes from the virtuous activity and in oder to act virtuously one needs both the moral virtue as well as the intellectual virtue, especially philosophical wisdom. It is because the moral virtue is guiding the direction and the intellectual virtue finds out the way. Thus morally good character becomes a key point.
      Only a morally upright man can see the springs of things, and act accordingly without waiting for (the delay of) a single day. It is because he is firm as a rock and do what is right without calculating his interest at all. He knows what is the really good for him. It seems that here I Ching provides the solution for the gap between knowing and acting, that is, people knows what is right but still not willing to do it. I Ching provides
      the reason why we should act right.
      번역하기

      It appears that the origin of I Ching comes from the issue of what kind of decision should one make in danger. It seems pivotal to grasp the springs(ji) of things to judge the situation in I Ching. In fact, knowing the springs should be regarded as o...

      It appears that the origin of I Ching comes from the issue of what kind of decision should one make in danger. It seems pivotal to grasp the springs(ji) of things to judge the situation in I Ching. In fact, knowing the
      spring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serial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The springs are the slight beginnings of movement. So he who knows these springs, predicts the future and makes a decision can be called
      sprit-like, since he have achieved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penetrating heaven, earth, and man.
      Knowing the springs of things is grounded on the structure of I Ching. It is because I Ching contains the forms and principles of heaven, earth, and man. It means that the whole universe are the organic unity and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a human being as a part of the whole can know what I Ching reveals.
      However, knowing the springs of things requires morally good character. Since the whole direction of I Ching is pointing toward achieving morality, in order to catch the slight beginnings of movement that I Ching indicates
      requires moral character. In this point I Ching is similar to Aristotle. Aristotle argues that happiness comes from the virtuous activity and in oder to act virtuously one needs both the moral virtue as well as the intellectual virtue, especially philosophical wisdom. It is because the moral virtue is guiding the direction and the intellectual virtue finds out the way. Thus morally good character becomes a key point.
      Only a morally upright man can see the springs of things, and act accordingly without waiting for (the delay of) a single day. It is because he is firm as a rock and do what is right without calculating his interest at all. He knows what is the really good for him. It seems that here I Ching provides the solution for the gap between knowing and acting, that is, people knows what is right but still not willing to do it. I Ching provides
      the reason why we should act righ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기미의 의미와 그 의의
      • Ⅲ. 기미 파악의 근거
      • Ⅳ. 기미 파악의 전제조건
      • V. 기미 판단과 그 실천의 문제
      • Ⅰ. 들어가는 말
      • Ⅱ. 기미의 의미와 그 의의
      • Ⅲ. 기미 파악의 근거
      • Ⅳ. 기미 파악의 전제조건
      • V. 기미 판단과 그 실천의 문제
      • Ⅵ.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장림, "주역의 건강철학" 정보와 사람 2007

      2 김재범, "주역사회학" 예문서원 2001

      3 이기동, "주역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4 장시앙핑, "역과 인류 사유" 이학사 2007

      5 심의용, "세상과 소통하는 힘 주역" 아이세움 2007

      6 이상임, "공자와 아리스토텔레스" 범조사 2002

      7 常秉義, "漢字與易學思維" 新疆人民出版社 2000

      8 金景芳, "易의 철학" 예문서원 1993

      9 권일찬, "意思決定에서 周易占術의 의미와 유용성" 한국행정학회 1999

      10 김석진, "周易占解" 대유학당 2007

      1 유장림, "주역의 건강철학" 정보와 사람 2007

      2 김재범, "주역사회학" 예문서원 2001

      3 이기동, "주역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4 장시앙핑, "역과 인류 사유" 이학사 2007

      5 심의용, "세상과 소통하는 힘 주역" 아이세움 2007

      6 이상임, "공자와 아리스토텔레스" 범조사 2002

      7 常秉義, "漢字與易學思維" 新疆人民出版社 2000

      8 金景芳, "易의 철학" 예문서원 1993

      9 권일찬, "意思決定에서 周易占術의 의미와 유용성" 한국행정학회 1999

      10 김석진, "周易占解" 대유학당 2007

      11 성백효, "周易傳義" 전통문화연구회 1998

      12 高懷民, "中國古代易學史" 崇實大學校 出版部 1990

      13 "『주역과학교실』: 주역과학1, 주역과학아카데미 학술부 펴냄, 수연, 2003"

      14 李 星, "『역』의 ?陰陽五行?이 美學思想에 미친 影響, 『민속학술자료총서』 532, 음양오행 4" 우리마당 터 2005

      15 Hall, David L., "Thinking from the Ha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8

      16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Edited by Jonathan Barnes in : In The Complete Works of Aristotle II. Edited by Jonathan Bar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5

      17 존슨 얀, "DNA와 周易" 몸과 마음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KCI등재
      2007-0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9 1.2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