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육성된 옥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평옥, 강다옥, 양안옥, 신광옥, 장다옥, 청안옥, 청다옥, 안다옥, 다평옥, 평강옥, 평안옥, 다안옥, 수원 184, 강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01974
김미정 (농촌진흥청) ; 정건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성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이재은 (국립식량과학원) ; 전원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심강보 (국립식량과학원) ; 김민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권영업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허성기 (국립식량과학원) ; Kim, Mi Jung ; Jung, Gun Ho ; Kim, Sung Kook ; Lee, Jae Eun ; Jeon, Weon Tai ; Shim, Kang Bo ; Kim, Min Tai ; Woo, Koan Sik ; Kwon, Yong Up ; Heu, Sunggi
2017
Korean
growth yield ; GDD ; maize ; planting date
KCI등재
학술저널
214-223(1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서 육성된 옥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평옥, 강다옥, 양안옥, 신광옥, 장다옥, 청안옥, 청다옥, 안다옥, 다평옥, 평강옥, 평안옥, 다안옥, 수원 184, 강일...
국내에서 육성된 옥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평옥, 강다옥, 양안옥, 신광옥, 장다옥, 청안옥, 청다옥, 안다옥, 다평옥, 평강옥, 평안옥, 다안옥, 수원 184, 강일옥, P3394 등 총 15종의 옥수수품종이 시험연구에 사용되었다. 파종기는 4월 5일, 6월 25일, 7월 5일 총 3회 파종하였다. 종합적인 생육을 보면 강다옥이 착수고율 조금 높지만 생육이 4월 또는 7월에 파종 시 가장 좋았다. 그 다음엔 광평옥으로 광평옥의 경우 전체적인 생육은 강다옥 보다는 조금 낮았지만 착수고율이 낮아 재배 시에 좀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겠다. 다안옥의 경우 생육은 4월에 파종하나 7월에 파종하나 모든 경우에 다 좋지 않았다. 그러나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적인 측면에서 곡실의 수량과 이삭의 형태 등만을 고려한다면 파종 시기에 관계없이 평강옥과 다평옥이 이삭무게와 종실무게가 많아서 좋은 품종으로 제시할 수 있다. 곡실용 옥수수의 생육에는 출사기까지 유효적산온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유효적산 온도가 $1500^{\circ}C{\sim}1800^{\circ}C$ 이상만 되면 정상적인 생육이 이루어지고 충분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식용 옥수수의 경우 당도와 질감 등 많은 고려 요소가 필수요소로 첨가 되어야 하므로 앞으로 이러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 재배적인 측면과 식품으로서의 가치 평가가 함께 이루어 져야 정확한 품종 제시가 가능해 질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정, "파종시기에 따른 유색찰옥수수 품종의 등숙 중 이삭 및 종실 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60 (60): 308-317, 2015
2 손범영,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79-186, 2009
3 정건호, "파종시기가 찰옥수수 2기작 재배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7 (57): 195-201, 2012
4 정건호, "파종시기가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6 (26): 496-504, 2014
5 김미정, "찰옥수수 2기작 재배시 등숙 중 이삭 및 종실 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59 (59): 73-82, 2014
6 PENG JINGLUN,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인 탐색" 한국농림기상학회 17 (17): 261-269, 2015
7 김미정, "단옥수수 주요 품종의 등숙 중 종실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59 (59): 445-456, 2014
8 손범영, "내도복 단교잡 사료용 옥수수 신품종 ‘청다옥’" 한국육종학회 46 (46): 172-176, 2014
9 손범영, "국내육성 사일리지옥수수의 일반생육특성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한국작물학회 51 (51): 233-238, 2006
10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II : Present and future of climate change in Korea" 86-, 2009
1 김미정, "파종시기에 따른 유색찰옥수수 품종의 등숙 중 이삭 및 종실 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60 (60): 308-317, 2015
2 손범영,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79-186, 2009
3 정건호, "파종시기가 찰옥수수 2기작 재배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7 (57): 195-201, 2012
4 정건호, "파종시기가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6 (26): 496-504, 2014
5 김미정, "찰옥수수 2기작 재배시 등숙 중 이삭 및 종실 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59 (59): 73-82, 2014
6 PENG JINGLUN,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인 탐색" 한국농림기상학회 17 (17): 261-269, 2015
7 김미정, "단옥수수 주요 품종의 등숙 중 종실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59 (59): 445-456, 2014
8 손범영, "내도복 단교잡 사료용 옥수수 신품종 ‘청다옥’" 한국육종학회 46 (46): 172-176, 2014
9 손범영, "국내육성 사일리지옥수수의 일반생육특성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한국작물학회 51 (51): 233-238, 2006
10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II : Present and future of climate change in Korea" 86-, 2009
11 Benoit, G. R., "The growth and yield of corn.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effects" 57 : 223-226, 1965
12 Ottman, M. J, "Supplemental radiation effects on senescence, plant nutrition and yield of field grown corn" 80 : 619-626, 1988
13 Kim, K. D., "Soil climate maps and suitability classes for forage production in Gangwon province using soil and climate digital databas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2
14 Jung, T. W., "Kerne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rate during the grain filling in super sweet corn" 45 (45): 176-180, 2000
15 Herrero, M. P, "High temperature stress and pollen viability of maize" 20 (20): 796-800, 1980
16 Gilmore, E. C, "Heat units as a method of measuring maturity in corn" 50 : 611-615, 1958
17 George, J. R., "Grain crop production in the North Central United States. 3rd Print"
18 Thomas, R. K., "Global climate change impacts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78, 2009
19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cal Yearbook"
20 Kim, D. A, "Forage crops: its characteristics and cultivation method" Sunjinmunhwasa 167-198, 1986
21 Park, S. U., "Effect on the plant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hybrid" 32 (32): 92-96, 1987
22 Song, S. H., "Effect of the plant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fall-harvest sweet corn" 3 : 89-95, 1985
23 Kim, D. A., "Effect of planting date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corn four maturity groups" 16 (16): 327-337, 1996
24 Herrero, M. P, "Drought stress and its effect on maize reproductive systems" 21 (21): 105-110, 1981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n standard cultivation method"
26 Jung, S. K., "Comprehensive technology of corn cultivation and utilization"
27 Jung, M. P., "Changing trends of climatic variables of agroclimatic zones of rice in South Korea" 5 (5): 13-19, 2014
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tandard"
29 Nevins, D. J, "A method for determining net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of plant leaves" 10 : 3-6, 1970
Review of Rice: Production, Trade, Consumption, and Future Demand in Korea and Worldwide
남부평야지에서 적미 품종의 이앙시기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및 수량변이
논 재배 팥 품종별 수량구성요소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9 | 0.9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