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疑代非疑用法的用考察 = A study on pragmatic studies about non-interrogative usage of Chinese interrogative pronou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7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疑問代詞라 함은 의문을 표시하는 대사로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표시하는 형식(特指疑問句)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쓰였던 의문문의 형식 중 하나이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의문대사들의 의미변화에 따라 다양한 비의문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문대사의 비의문용법을 심도깊게 분석하기 위해 화용론적 접근법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의문대사가 비의문용법으로 쓰일때, “預設” “疑問域” “焦點”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으며 의문대사의 비의문용법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묘사와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疑問代詞라 함은 의문을 표시하는 대사로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표시하는 형식(特指疑問句)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쓰였던 의문문의 형식 중 하나이다. 하지...

      疑問代詞라 함은 의문을 표시하는 대사로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표시하는 형식(特指疑問句)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쓰였던 의문문의 형식 중 하나이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의문대사들의 의미변화에 따라 다양한 비의문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문대사의 비의문용법을 심도깊게 분석하기 위해 화용론적 접근법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의문대사가 비의문용법으로 쓰일때, “預設” “疑問域” “焦點”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으며 의문대사의 비의문용법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묘사와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宇明, "疑的用及功能的衰" 1997

      2 徐盛桓, "疑句探功能的移" 1999

      3 徐 杰, "普通法原法象" 北京大出版社 2001

      4 郭懋, "反句的用特点" 1997

      5 叔湘, "≪近代指代≫" 林出版社 1985

      6 叔湘, "<疑否定肯定>" 第4期 1985

      7 "<焦点和非性法范" 1993

      8 邢福, "<代特指性是非>" 第4期 1987

      1 李宇明, "疑的用及功能的衰" 1997

      2 徐盛桓, "疑句探功能的移" 1999

      3 徐 杰, "普通法原法象" 北京大出版社 2001

      4 郭懋, "反句的用特点" 1997

      5 叔湘, "≪近代指代≫" 林出版社 1985

      6 叔湘, "<疑否定肯定>" 第4期 1985

      7 "<焦点和非性法范" 1993

      8 邢福, "<代特指性是非>" 第4期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변화없음 -> 한국중어중문학회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미등록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중어중문학회 -> 변화없음
      영문명 : Th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Of Korea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5-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2 0.57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