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구선수의 부상 후 후유증 극복에대한 의미탐색 연구 : 심리적 치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5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상 후 경기를 통해 부상을 경험한 농구선수 5명을 대상으로 재활훈련 기간 동안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 및 요인들을 파악하고, 후유증 극복과정에 대한 농구선수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질적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3년 10월-12월 사이에 입원 또는 내원했던 5명의 엘리트 농구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개방형 질문지, 참여관찰 그리고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구선수들의 운동 후 부상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운동 중 경험하는 부상과 고통에 대해 부득이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과정으로 치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운동선수들이 부상을 경시하는 인식의 이면에는 경기력에 대한 스트레스와 주위의 압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상극복 과정의 심리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재활훈련 초기에는 참여자들 마다 복귀에 대한 걱정, 불안 등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였으나, 재활훈련 종료시점에는 대체적으로 참여자들의 심리상태가 안정화되고 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어느 정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재활 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동료들과 부모님의 격려 그리고 감독을 비롯한 운동 관계자들의 관심과 심리 상담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상재발 및 이에 따른 후유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부상재발에 대해 전반적으로 농구선수들이 상당히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부상재발에 대한 걱정(두려움) 때문에 재활훈련 중에도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재활훈련을 방해하는 등 선수들에게 있어 가장 큰 고민거리(걱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상을 경험한 선수가 다치지 않기 위해 몸을 사리게 되는 상황은 곧 그 선수의 경기력과 수행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부상재발에 대한 두려움이 복귀 후의 선수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활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비싼 재활훈련 비용, 재활선수 대비 적은 선수재활 트레이너 수에 의한 재활훈련의 비효율성 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활훈련 비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아울러 농구선수들은 재활훈련 중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심리상담(면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심리 상담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재활훈련 기간 동안 일어나는 심리적 변화로 인해 전반적인 재활훈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재활훈련에 있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건강까지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상 후 경기를 통해 부상을 경험한 농구선수 5명을 대상으로 재활훈련 기간 동안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 및 요인들을 파악하고, 후유증 극복과정에 대한 농구선수들의 전반적인 ...

      본 연구는 부상 후 경기를 통해 부상을 경험한 농구선수 5명을 대상으로 재활훈련 기간 동안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 및 요인들을 파악하고, 후유증 극복과정에 대한 농구선수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질적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3년 10월-12월 사이에 입원 또는 내원했던 5명의 엘리트 농구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개방형 질문지, 참여관찰 그리고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구선수들의 운동 후 부상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운동 중 경험하는 부상과 고통에 대해 부득이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과정으로 치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운동선수들이 부상을 경시하는 인식의 이면에는 경기력에 대한 스트레스와 주위의 압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상극복 과정의 심리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재활훈련 초기에는 참여자들 마다 복귀에 대한 걱정, 불안 등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였으나, 재활훈련 종료시점에는 대체적으로 참여자들의 심리상태가 안정화되고 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어느 정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재활 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동료들과 부모님의 격려 그리고 감독을 비롯한 운동 관계자들의 관심과 심리 상담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상재발 및 이에 따른 후유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부상재발에 대해 전반적으로 농구선수들이 상당히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부상재발에 대한 걱정(두려움) 때문에 재활훈련 중에도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재활훈련을 방해하는 등 선수들에게 있어 가장 큰 고민거리(걱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상을 경험한 선수가 다치지 않기 위해 몸을 사리게 되는 상황은 곧 그 선수의 경기력과 수행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부상재발에 대한 두려움이 복귀 후의 선수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활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비싼 재활훈련 비용, 재활선수 대비 적은 선수재활 트레이너 수에 의한 재활훈련의 비효율성 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활훈련 비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아울러 농구선수들은 재활훈련 중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심리상담(면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심리 상담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재활훈련 기간 동안 일어나는 심리적 변화로 인해 전반적인 재활훈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재활훈련에 있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건강까지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jury in sports not only brings about the economic loss and a big setback i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but also weakens fighting power. In the basketball games out of various kinds of sports games, the process of offense and defense is fierce, the injuries occur simultaneously owing to frequent tussles among the players, and the intensive training acts as the cause of injury as well. Therefore, if he cannot display a playing ability necessarily owing to the injury even with good physical power and technology, the game player is of no use. The sport injury rehabilitation must be executed with physical and mental therapy side by side, but in tim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in reality, injured players or player-medical trainers focus only on physical rehabilitation therapy.
      Hereby we progressed this research to figure out the mental changes and factors experienced during the rehabilitation period targeting 5 basketball players who had experienced the injury through the games after the injury, and grasp overall awareness of basketball players on the conquest process of aftereffect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or this research, we progressed this study targeting 5 elite basketball players who had entered or visited the hospital between October - December of 2013. As for measuring equipments for the proceeding in the research, we used the tools verified in the studies of Kim Myung-jo(2010), Chung Eun-na(2011) and Park Seong-hwan(2013) by reconstructing it fitted for this research.
      In synthesizing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the study participants as to the injury after the exercises mostly showed the tendency to regard the injury and pain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exercises as the process to accept inevitably. Likewise, in the back side of the awareness that athletes make light of the injury, it appeared that the stress as to the performance power and ambient pressure acted as an important factor.
      But in case of basketball players with the experience of the injury, it was examined that generally the basketball players had a negative awareness considerably as to injury recurrence. In addition, the worry(fear) as to injury recurrence caused psychological unrest and stress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terrupted rehabilitation training, which appeared the biggest source of trouble(worry) to the players.
      Therefore it was shown that in order to relieve the mental burden and worry of such basketball players it requires much concern in the restoration of mental health through the psychological consultation as well as rehabilitation training. Especially, it was surveyed in this study that the mental change occurring dur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eriod cast an affirmative effect upon overal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compose a program considering the mental, psychological health as well as physical health in rehabilitation training.
      번역하기

      The injury in sports not only brings about the economic loss and a big setback i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but also weakens fighting power. In the basketball games out of various kinds of sports games, the process of offense and defense is fierce,...

      The injury in sports not only brings about the economic loss and a big setback i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but also weakens fighting power. In the basketball games out of various kinds of sports games, the process of offense and defense is fierce, the injuries occur simultaneously owing to frequent tussles among the players, and the intensive training acts as the cause of injury as well. Therefore, if he cannot display a playing ability necessarily owing to the injury even with good physical power and technology, the game player is of no use. The sport injury rehabilitation must be executed with physical and mental therapy side by side, but in tim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in reality, injured players or player-medical trainers focus only on physical rehabilitation therapy.
      Hereby we progressed this research to figure out the mental changes and factors experienced during the rehabilitation period targeting 5 basketball players who had experienced the injury through the games after the injury, and grasp overall awareness of basketball players on the conquest process of aftereffect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or this research, we progressed this study targeting 5 elite basketball players who had entered or visited the hospital between October - December of 2013. As for measuring equipments for the proceeding in the research, we used the tools verified in the studies of Kim Myung-jo(2010), Chung Eun-na(2011) and Park Seong-hwan(2013) by reconstructing it fitted for this research.
      In synthesizing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the study participants as to the injury after the exercises mostly showed the tendency to regard the injury and pain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exercises as the process to accept inevitably. Likewise, in the back side of the awareness that athletes make light of the injury, it appeared that the stress as to the performance power and ambient pressure acted as an important factor.
      But in case of basketball players with the experience of the injury, it was examined that generally the basketball players had a negative awareness considerably as to injury recurrence. In addition, the worry(fear) as to injury recurrence caused psychological unrest and stress dur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terrupted rehabilitation training, which appeared the biggest source of trouble(worry) to the players.
      Therefore it was shown that in order to relieve the mental burden and worry of such basketball players it requires much concern in the restoration of mental health through the psychological consultation as well as rehabilitation training. Especially, it was surveyed in this study that the mental change occurring dur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eriod cast an affirmative effect upon overal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compose a program considering the mental, psychological health as well as physical health in rehabilitation trai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문제 4
      • 4. 용어의 정의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문제 4
      • 4.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7
      • 1. 농구선수에 대한 이해 7
      • 2. 운동부상의 원인과 이해 10
      • 3. 운동 부상 후의 심리 15
      • Ⅲ. 연구방법 20
      • 1. 연구참여자 20
      • 2. 측정도구 21
      • 3. 연구절차 22
      • 4. 자료분석 24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6
      • 1. 운동 후 부상에 대한 선수들의 인식 26
      • 2. 부상 극복과정의 심리적 변화 30
      • 3. 부상재발 및 이에 따른 후유증에 대한 인식 34
      • 4. 재활훈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8
      • Ⅴ. 논의 45
      • Ⅵ. 결론 및 제언 50
      • 참 고 문 헌 53
      • 부 록 59
      • 국 문 초 록 61
      • ABSTRACT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