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정 내 경제 및 문화자본과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 In-Home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Infant's Electronic Media Us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32777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남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2.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v, 75 p. ; 26 cm.

      • 일반주기명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나종혜
        참고문헌: p. 64-72

      • UCI식별코드

        I804:25013-200000173773

      • 소장기관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ituation of electronic media use of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economic capital which forms the basis of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is related to the electronic media 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ituation of electronic media use of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economic capital which forms the basis of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is related to the electronic media usage pattern of young children. To do this, I used the 7th year (2014)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Child Rearing Policy Institute, which was collected for 6-year-old infants and their parents. I collected data on electronic media use of infants,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through the 7th(2014) CAPI (Protected) Questionnaire for Korean Children's Panel. In addition, data on the experiences of using cultural facil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Mothers of the 7th(2014) Korean Children Pane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experience of using infant cultural facilities, and electronic media usage pattern of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based on Bourdieu capital theor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looked at the general tendencies of economic capita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cultural capital(parental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using infant cultural facilities) and the use of electronic media by infants. The average household income of Korean households that raised infants was 45.327 million won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222.53. The residence area wa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education level of Korean parents who raised infants was most graduated from 4 year university, and the father's education level was higher than mother's education level. Korean children’s use of cultural facilitie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overall, and the use time of electronic media for play purposes was about 6 times higher than the educational purposes.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of electronic media for young children are economic capita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cultural capital (parental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using infant cultural facilities). That is,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the greater the resid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using the cultural facilities of the infant, the longer the time for media use for educational purposes for infant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Reside in non-metropolitan areas, the lower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the lower the experience of using infant cultural facilities, the higher the time spent for playing media and the total time spent for media use.
      Third, the variables of economic capita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cultural capital (parental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using infant cultural facilities) were all significant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fant electronic media use. The variables whic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the use of educational media for young children were the experience of using cultural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and infants. The variables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purpose of using the play electronic media and the total electronic media use wer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experience of using cultural facilities of infants.
      In conclusion, the use of electronic media by infants was found to be related to economic capita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cultural capital (parental education level, infant cultural facility utilization experience). Specifically, Infant's use of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children's experience of using cultural facilities and residence area. And the use of playful media and total media use of young children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parents’educational level and young children' s use of cultural facilities. This suggests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welfare agencie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the same cultural experience regardless of their residential areas, by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cultural experienc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a program for early childhood media use instruction for infants' parent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use of high - quality media contents and discriminated media use of inf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미디어 사용의 전반적 실태를 알아보고, 문화자본과 문화자본의 근간을 이루는 경제자본이 유아의 미디어 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미디어 사용의 전반적 실태를 알아보고, 문화자본과 문화자본의 근간을 이루는 경제자본이 유아의 미디어 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전기 만 6세 유아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수집된 육아정책연구소의 7차년도(2014년)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을 이용하였다. 한국아동패널 7차(2014년도) CAPI(보호자용) 질문지’를 통해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과 각 가정의 가구소득, 거주 지역, 부모의 교육수준에 대한 자료를 얻었고, ‘한국아동패널 7차(2014년도) 어머니 대상 질문지’를 통해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이를 통해 얻어진‘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가구소득’, ‘거주 지역’, ‘부모의 교육수준’,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을 부르디외의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자본인 가구소득과 거주 지역, 문화자본인 부모의 교육수준과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다. 유아를 양육하는 우리나라 가정의 가구소득 평균은 453.27만원이며 표준편차가 222.53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거주 지역은 수도권에 집중되었다. 유아를 양육하는 우리나라 부모의 교육수준은 4년제 대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고,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어머니의 교육수준보다 높았다. 우리나라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은 전반적으로 부족하게 나타났으며, 전자미디어의 사용은 놀이목적 사용시간이 교육목적 사용시간보다 약 6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경제자본(가구소득, 거주 지역), 문화자본(부모의 교육수준,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 모두였다. 즉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수도권에 거주할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이 높을수록 유아의 교육목적 미디어 사용시간은 높아진 반면,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비수도권에 거주할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이 낮을수록 놀이목적 미디어 사용시간과 총 미디어 사용시간이 높아졌다.
      셋째,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은 변인은 경제자본(가구소득, 거주 지역), 문화자본(부모의 교육수준,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 모두였다. 그 중 유아의 교육목적 미디어 사용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변인은 거주지역과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 이었으며, 놀이목적 미디어 사용 및 총 미디어 사용에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변인은 부모의 교육수준과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은 경제자본(가구소득, 거주 지역)과 문화자본(부모의 교육수준,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교육목적 미디어 사용은 거주지역 및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이, 유아의 놀이목적 미디어 사용과 총 미디어 사용은 부모의 교육수준과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이 가장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기관 및 복지기관을 중심으로 유아의 문화경험 기회 증대를 통해,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모든 유아가 동일한 문화경험을 할 수 있도록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의 질 높은 미디어 콘텐츠 사용과 분별된 미디어 사용을 위해 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미디어 사용지도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7
      • 1)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양상과 중요성 7
      • 2)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에 관한 선행연구 11
      • 2. 피에르 부르디외의 자본 이론 14
      • 1) 경제자본: 가구소득, 거주지역 15
      • 2) 문화자본: 부모의 학력,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 16
      • 3. 가정 내 경제 및 문화자본과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21
      • Ⅲ. 연구방법 24
      • 1. 연구대상 24
      • 2. 연구도구 27
      • 1)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27
      • 2) 가구소득 27
      • 3) 거주 지역 28
      • 4) 부모의 교육수준 28
      • 5) 유아의 문화시설 이용경험 28
      • 3. 자료분석 30
      • Ⅳ. 연구결과 31
      • 1. 가정 내 경제 및 문화자본과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실태 31
      • 1) 가정 내 경제자본의 일반적 경향 31
      • (1) 가구소득 31
      • (2) 거주지역 34
      • 2) 가정 내 문화자본의 일반적 경향 36
      • (1) 부모 교육수준 36
      • (2) 유아 문화시설 이용경험 39
      • 3)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의 일반적 경향 42
      • 2. 가정 내 경제 및 문화자본에 따른 유아 전자미디어 사용 45
      • 1) 가정 내 경제자본에 따른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시간 45
      • (1) 가구소득에 따른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시간 차이 45
      • (2) 거주지역에 따른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시간 차이 47
      • 2) 가정 내 문화자본에 따른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시간 49
      • (1)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른 유아의 미디어 사용시간 차이 49
      • (2)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른 유아의 미디어 사용시간 차이 51
      • 3. 가정 내 경제 및 문화자본과 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시간 간 관계 53
      • Ⅴ. 논의 및 결론 55
      • 1.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55
      • 2. 결론 및 제언 61
      • 참고문헌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