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7명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초등 영재들의 일상에서의 경험을통해 이들의 일상 살아가기와 삶의 질의 단면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영재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06625
2015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73-198(2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7명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초등 영재들의 일상에서의 경험을통해 이들의 일상 살아가기와 삶의 질의 단면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영재들...
본 연구에서는 7명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초등 영재들의 일상에서의 경험을통해 이들의 일상 살아가기와 삶의 질의 단면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영재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나타난 주제들(themes) 중 가장 핵심적인주제들을 이들의 일상의 거점지인 학교, 학원, 영재교육원, 그리고 가정의 4가지 맥락에서 제시하였다.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모순(矛盾)의 수학시간-오히려 뒤처지기와 딴짓을 위한 시간벌기’, ‘상위권 유지를 위한 학업적 부담’, ‘좋은 해-나쁜 해 신드룸’,‘시기와 질투 안고 살기’의 주제들이 도출되었고, 학원생활과 관련해서는 ‘수준별 학습과 재미로 학교보다 더 학교같은 학원’, ‘체력이 딸리고 기진맥진함’이 주제로 제기되었다. 영재교육원 생활과 관련해서는 ‘누구를 위한 영재교육인가’와 ‘영재를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이 그리고 끝으로 가정생활과 관련해서는 ‘시간가는 줄 모르고 푹 빠져듦’, ‘슈퍼맘과 초특급 영재’, 그리고 ‘이해관계로서의 형제자매와의 애증’이 주요주제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록 7명의 초등영재들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질적연구이지만 영재교육에서의 사교육 이슈, 공교육에서의 개인차 부재 문제 등 현 교육시스템이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이슈와 문제들을 영재 아이들의 실제 목소리와 사례를 통해 경험적으로 생생하게 제기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henomenologically analyze the everyday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gifted through everyday experience of sev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under an university 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hrough looki...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henomenologically analyze the everyday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gifted through everyday experience of sev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under an university 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hrough looking over four core places of their everyday life-the four of which are school, institution, gifted
education center, and home-this study shows the core themes of the themes that have surfaced dur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rresponding gifted students. About school, these contexts have been deducted; “math itself is fun but math in school is boring”, “pressure to keep the grades high”, “good year-bad year syndrome based on
the teacher factor”, “putting up with jealousy and even hatred from classmates.” On institution part, “more school-like than school with differentiated curriculum by individualization and fun”, “running out of stamina and being exhausted” have been drawn as themes. Regarding gifted education center, “gifted education for whom?”, and “negative impressions towards the gifted” have been pointed out. At the last division, home, “concentrating without the notion of time”, “super-mom and super-gifted”, and “love and hatred from brothers and sisters” have been conducted as themes. The significance of the deducted themes lies within the fact -although this is a qualitative study on seven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that this study is indicating various issues tha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aces such as the private education issue, the absence of consideration about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etc. The undertone of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and discussed in dept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환, "학생의 삶과 갈등" 학지사 1996
2 송경미, "초등 저학년 영재아동의 내적비동시성에 따른 부적응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양진향,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4 Kvale, S., "인터뷰: 내면을 보는 눈" 하나의학사 1996
5 허창재, "영재아동의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호사라, "영재들이 겪는 문제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53-175, 2008
7 한기순,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영재학회 18 (18): 519-542, 2008
8 Clark, B.,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시그마프레스 2010
9 Davis, G. A., "영재교육" 박학사 2005
10 김영훈, "엄마가 모르는 아빠효과" 베가북스 2009
1 조용환, "학생의 삶과 갈등" 학지사 1996
2 송경미, "초등 저학년 영재아동의 내적비동시성에 따른 부적응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양진향,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4 Kvale, S., "인터뷰: 내면을 보는 눈" 하나의학사 1996
5 허창재, "영재아동의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호사라, "영재들이 겪는 문제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53-175, 2008
7 한기순,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영재학회 18 (18): 519-542, 2008
8 Clark, B.,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시그마프레스 2010
9 Davis, G. A., "영재교육" 박학사 2005
10 김영훈, "엄마가 모르는 아빠효과" 베가북스 2009
11 강미선, "아버지 양육태도가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과학 영재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조석희, "슈퍼부모들의 공부 기술" 판테온하우스 2010
13 Csikszent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해냄 2005
14 한기순, "과학영재교육원을 통해서 본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인류학회 9 (9): 123-151, 2006
15 이현주, "경험표집법(ESM)을 이용한 음악영재의 삶의 질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6 Levine, S., "What constitutes quality of life?" Le Jacq Publishing, Inc 1984
17 Renzulli, J. S.,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The dream, the design, and the destination" 35 : 73-80, 1991
18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19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2002
20 Omery, A., "Phenomenology: a Method for Nursing Research" 5 (5): 49-63, 1983
21 Silverman, L. K., "Personality development: The pursuit of excellence" 6 : 5-19, 1983
22 Huebner, E. S.,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6 : 15-24, 2005
23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24 Silverman, L. K.,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n & Bacon 307-320, 1991
25 Lufting, R. L., "Assessing the social status of gifted students by their age peers" 25 : 134-138, 1990
26 Brown, B. B.,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cceptance:Skirting the “brain-nerd” connection" 55 (55): 55-60, 1990
과학영재청소년의 성격과 직업흥미의 진로발달성숙에 대한 관계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유아 창의성 교육 방안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6 | 1.751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