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방향 수립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Gyeonggi-d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i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5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echnological inno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industrial econom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each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promot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projects linked to the reg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Gyeonggi- d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for the basic plan of Gyeonggi-do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romise of the 7th private sector in accordanc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five major strategies of the Basic Plan for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7th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As a result, Gyeonggi province needed to promot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 lead future industry and strengthen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to revitalize local economy. In addition, based on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mplementation plan based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licy objectives such as the cre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ecosystem and the support of customiz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in issues of the 7th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are “Innovative Economy (Jobs)”, “Clean Environment” and “Stable Housing”. Gyeonggi Provinc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to lead the innovation economy and to create high-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 of Gyeonggi-d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local government’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irec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번역하기

      Today, technological inno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industrial econom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revital...

      Today, technological inno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industrial econom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each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promot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projects linked to the reg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Gyeonggi- d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for the basic plan of Gyeonggi-do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romise of the 7th private sector in accordanc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five major strategies of the Basic Plan for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7th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As a result, Gyeonggi province needed to promot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 lead future industry and strengthen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to revitalize local economy. In addition, based on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mplementation plan based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licy objectives such as the cre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ecosystem and the support of customiz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in issues of the 7th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are “Innovative Economy (Jobs)”, “Clean Environment” and “Stable Housing”. Gyeonggi Provinc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to lead the innovation economy and to create high-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 of Gyeonggi-d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local government’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irec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과학기술은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의 경쟁력과 지역산업 경제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과학기술정책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각 지자체와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과학기술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과학기술혁신역량이 매우 우수한 지자체로 경기도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 과학기술정책에 부합하여,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과민선7기 공약에 대한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산학연관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의 5대 전략과 민선7기 5대 공약 16대 정책과제의 정책방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기도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미래산업을 선도하고, 지역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과학기술정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에 근거하여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4차 산업혁명 맞춤형 연구개발 지원 등과학기술정책 목표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실행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경기도 민선7기 공약의 주요 이슈는 “혁신경제(일자리)”, “깨끗한 환경”, “안정된 주거” 등으로 경기도 과학기술정책은 혁신경제를 선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과학기술정책의 실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방향과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방향 수립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과학기술은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의 경쟁력과 지역산업 경제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과학기술정책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

      오늘날 과학기술은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의 경쟁력과 지역산업 경제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과학기술정책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각 지자체와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과학기술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과학기술혁신역량이 매우 우수한 지자체로 경기도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 과학기술정책에 부합하여,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과민선7기 공약에 대한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산학연관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의 5대 전략과 민선7기 5대 공약 16대 정책과제의 정책방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기도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미래산업을 선도하고, 지역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과학기술정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에 근거하여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4차 산업혁명 맞춤형 연구개발 지원 등과학기술정책 목표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실행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경기도 민선7기 공약의 주요 이슈는 “혁신경제(일자리)”, “깨끗한 환경”, “안정된 주거” 등으로 경기도 과학기술정책은 혁신경제를 선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과학기술정책의 실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방향과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방향 수립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새로운경기위원회, "활동 종합 보고회 발표자료"

      2 홍성주,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 추격의 성공과 탈추격 실험" 들녘 2017

      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4 윤종민, "지방분권의 관점에서 본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현황 및 발전과제" 법학연구소 28 (28): 103-141, 2017

      5 이상용, "지방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지방정부의 과제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분석(2001-2003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6 (16): 155-176, 2004

      6 윤종민,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13-36, 2017

      7 김태운,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의 체계성 제고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전평가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219-248, 2016

      8 천세봉,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81-108, 2012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8~2022)" 2017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2017

      1 새로운경기위원회, "활동 종합 보고회 발표자료"

      2 홍성주,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 추격의 성공과 탈추격 실험" 들녘 2017

      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역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4 윤종민, "지방분권의 관점에서 본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현황 및 발전과제" 법학연구소 28 (28): 103-141, 2017

      5 이상용, "지방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지방정부의 과제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분석(2001-2003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16 (16): 155-176, 2004

      6 윤종민,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13-36, 2017

      7 김태운,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의 체계성 제고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전평가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219-248, 2016

      8 천세봉,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81-108, 2012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8~2022)" 2017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2017

      11 김태운, "정책공동체 관점에서의 지방자치단체 위원회 운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127-155, 2019

      12 이장재,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 연구개발 분야의 중장기 재정소요 분석" 77-90, 2006

      13 이찬구,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논의 :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1 (21): 1-32, 2018

      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업무보고" 2018

      15 경기도, "공약실천계획서"

      16 경기도,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기본계획(2018~2022)" 2017

      17 Asheim, B. T.,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2005

      18 Freeman, C.,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Pinter Publishers 1989

      19 Malecki, E. J., "Techn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dynamics of local, regional, and national change"

      20 Braczyk, H. J., "Regional innovation systems:the role of governances in a globalized world" Psychology Press 1998

      21 Laranja, M., "Policies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Translating rationales into regional policies in a multi-level setting" 37 (37): 823-835, 2008

      22 Tödtling, F., "One size fits all?: Towards a differentiated regional innovation policy approach" 34 (34): 1203-1219, 2005

      23 OECD, K.,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outlook"

      24 Nelson, R. R., "National innovation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5 김경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지자체별 산업 경쟁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8 (18): 117-131, 2017

      26 김은영, "4차 산업혁명시대 지역의 신산업육성을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461-480, 2018

      27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018 경기도과학기술통계백서" 2018

      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2 1.2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