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도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mun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493117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사회교육전공 , 1999. 8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4.4332 판사항(4)

      • DDC

        300.712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v, 65p. : 수표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57-58

      • 소장기관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조사 연구해 봄으로써 앞으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전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공동체의식의 개념정의와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제주도 중학생들의 의식구조를 내용차원에서 제주인의 가치관, 심리적 동일성, 협동성 영역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가치관면에서 보면 제주사람들이 자랑할 만한 정신으로 37.0 %의 학생들이 ‘강한 생활력'을, 다음으로는 '부지런하다' (23.2 %), '검소하다'(2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사람으로서 부끄럽게 생각되는 것으로 ‘변화에 보수적이다’라고 한 학생이 36.6%로 가장 많았으며 학생들이 생각하는 인생목표로서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것’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70.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는 정보(22.5%)나 이웃(6.6%)보다는 가족(62.3%)을 들고 있었다. 사회적 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실력(62.0%)을 첫째로 꼽고 있었으며, 제주사람들의 마음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로는 돌하르방(32.5%), 삼무정신(31.83%), ?냥정신(28.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은 저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동일성의 면에서 보면, 상당수의 학생들(64.8%)이 제주인 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으며, 제주사투리의 사용빈도와 축구경기에서 보면, 학생들의 소속감 및 일체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학교 학생들에 대하여 한 가족이라는 느낌이 드느냐는 질문에는 40.9%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또한 외지인에 대한 거리감은 76.6%가 별로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협동성의 차원에서 보면 대부분의 학생들(63.4%)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학급 청소 활동에 대한 협동성과 참여도는 저소득층(월 50만원 미만) 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응답(74.2%)을 보이고 있다. 친구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상부상조 태도는 여학생(70.7%)이 남학생(62.2%)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급협의회에서 결정된 사항은 남학생(38.2%)보다는 여학생(46.5%)이, 읍ㆍ면지역(33.6%)보다는 시 지역학생(47.4%)이 비교적 잘 지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79.1%)은 자원봉사 활동 경험이 있었고, 학년별로는 2학년이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공중도덕은 대졸 보호자의 학생이 67.5%로 가장 잘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보전 의식은 여학생(71.6%)이 남학생(64.9%)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도내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별로는 여학생이 더 안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나 소속 학교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 및 준법정신이 높지 않게 나타난 것은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제주도의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지역화 학습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계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개인적 성취감을 맛보고 어려운 이웃과 함께 하려는 ‘사람다운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민주적 절차에 따른 책임성과 준법정신의 내면화 교육이 필요하며, 또한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일제 특별활동이나 특기ㆍ적성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학급협의회, 자원봉사, 진정, 캠페인 등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넷째,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낮게 나타난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조사 연구해 봄으로써 앞으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전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조사 연구해 봄으로써 앞으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전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공동체의식의 개념정의와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제주도 중학생들의 의식구조를 내용차원에서 제주인의 가치관, 심리적 동일성, 협동성 영역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가치관면에서 보면 제주사람들이 자랑할 만한 정신으로 37.0 %의 학생들이 ‘강한 생활력'을, 다음으로는 '부지런하다' (23.2 %), '검소하다'(2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사람으로서 부끄럽게 생각되는 것으로 ‘변화에 보수적이다’라고 한 학생이 36.6%로 가장 많았으며 학생들이 생각하는 인생목표로서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것’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70.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는 정보(22.5%)나 이웃(6.6%)보다는 가족(62.3%)을 들고 있었다. 사회적 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실력(62.0%)을 첫째로 꼽고 있었으며, 제주사람들의 마음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로는 돌하르방(32.5%), 삼무정신(31.83%), ?냥정신(28.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은 저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동일성의 면에서 보면, 상당수의 학생들(64.8%)이 제주인 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으며, 제주사투리의 사용빈도와 축구경기에서 보면, 학생들의 소속감 및 일체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학교 학생들에 대하여 한 가족이라는 느낌이 드느냐는 질문에는 40.9%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또한 외지인에 대한 거리감은 76.6%가 별로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협동성의 차원에서 보면 대부분의 학생들(63.4%)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학급 청소 활동에 대한 협동성과 참여도는 저소득층(월 50만원 미만) 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응답(74.2%)을 보이고 있다. 친구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상부상조 태도는 여학생(70.7%)이 남학생(62.2%)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급협의회에서 결정된 사항은 남학생(38.2%)보다는 여학생(46.5%)이, 읍ㆍ면지역(33.6%)보다는 시 지역학생(47.4%)이 비교적 잘 지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79.1%)은 자원봉사 활동 경험이 있었고, 학년별로는 2학년이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공중도덕은 대졸 보호자의 학생이 67.5%로 가장 잘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보전 의식은 여학생(71.6%)이 남학생(64.9%)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도내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별로는 여학생이 더 안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나 소속 학교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 및 준법정신이 높지 않게 나타난 것은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제주도의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지역화 학습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계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개인적 성취감을 맛보고 어려운 이웃과 함께 하려는 ‘사람다운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민주적 절차에 따른 책임성과 준법정신의 내면화 교육이 필요하며, 또한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일제 특별활동이나 특기ㆍ적성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학급협의회, 자원봉사, 진정, 캠페인 등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넷째,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낮게 나타난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oth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eded for school education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future and to seek a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whole man through research and study of commun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defines the concep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alyzes established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es what consciousness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have in terms of Cheju citizens sense of value, psychological identity and cooperative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Considering students sense of value in being Cheju citizens, 37.0% of the students cite a strong capacity for living as Cheju people's spirit worthy of being proud of, 23.2% of the students cite thrift. As 36.6%,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cite a conservative tendency to change as a weakness of Cheju citizens and the largest percentage, 70.0%, of the students say that their life goal is to lead their lives by doing what they want to do. What they think to be most helpful in leading their future lives is family (62.3%) rather than information(22.5%) or neighbors(6.6%). They count cap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ocial success and they count traditional culture standing for Cheju citizens' minds in terms of Tolharubang (a stone statue shaped like a grandfather : 32.5%), the spirit of Sammu(the lack of thieves, beggars and gates ; 31.83%), and the c'pnang spirit(thrifty spirit: 28.2%). Besides,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younger the students are, the more concern they show about traditional culture.
      In terms of psychological identity,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live their lives with thinking of themselves as Cheju people and they show their relatively higher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in the frequent use of Cheju dialect and the soccer games. However, 40.9% of the students give a nega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ve family feelings about the other students in the same school and 76.6% students say that they feel little distance from mainlanders.
      Most of the students(63.4%) show a positive response to the item of cooperative attitude. The students of lower income class(below 0.5 million won per month) show more positive response to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room cleaning. Girl students(70.7%) show higher positive response than male students(62.2%) in the attitude of mutual aid between friends. It is revealed that girl students(46.5%) rather than male students(38.2%) and students in city areas(47.4%) rather than those in town and county areas(33.6%) observe details decided in class meetings relatively well. Most of the students(79.1%) have experience in volunteer service work and second graders show relatively high participation in it. The students whose parents graduated from colleges(67.5%) are seen to observe public morality best, when considering their parent's education experience and girl students(71.6%) show higher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64.9%)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have comparatively high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girl students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It presents a direction for school education to head for that the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concern about traditional culture, low identity toward their school and law social responsibility and law-abiding spirit.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several proposal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education on th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of Cheju province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econd, various human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enjoy personal achievements and to become humane people who understand and help poor and troubled neighbors.
      Third, there should be education for students to internalize responsibility and law-abiding spirit by democratic procedures, and various volunteer service work programs such as all da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lass meeting, volunteer service work and campaigns for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which students can join voluntarily, should be developed as a motive to enhance community consciousness.
      Fourth, systematic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inquire into why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 lower community consciousness than girls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oth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eded for school education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future and to seek a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whole man through research and study 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oth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eded for school education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future and to seek a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whole man through research and study of commun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defines the concep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alyzes established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es what consciousness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have in terms of Cheju citizens sense of value, psychological identity and cooperative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Considering students sense of value in being Cheju citizens, 37.0% of the students cite a strong capacity for living as Cheju people's spirit worthy of being proud of, 23.2% of the students cite thrift. As 36.6%,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cite a conservative tendency to change as a weakness of Cheju citizens and the largest percentage, 70.0%, of the students say that their life goal is to lead their lives by doing what they want to do. What they think to be most helpful in leading their future lives is family (62.3%) rather than information(22.5%) or neighbors(6.6%). They count cap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ocial success and they count traditional culture standing for Cheju citizens' minds in terms of Tolharubang (a stone statue shaped like a grandfather : 32.5%), the spirit of Sammu(the lack of thieves, beggars and gates ; 31.83%), and the c'pnang spirit(thrifty spirit: 28.2%). Besides,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younger the students are, the more concern they show about traditional culture.
      In terms of psychological identity,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live their lives with thinking of themselves as Cheju people and they show their relatively higher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in the frequent use of Cheju dialect and the soccer games. However, 40.9% of the students give a nega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ve family feelings about the other students in the same school and 76.6% students say that they feel little distance from mainlanders.
      Most of the students(63.4%) show a positive response to the item of cooperative attitude. The students of lower income class(below 0.5 million won per month) show more positive response to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room cleaning. Girl students(70.7%) show higher positive response than male students(62.2%) in the attitude of mutual aid between friends. It is revealed that girl students(46.5%) rather than male students(38.2%) and students in city areas(47.4%) rather than those in town and county areas(33.6%) observe details decided in class meetings relatively well. Most of the students(79.1%) have experience in volunteer service work and second graders show relatively high participation in it. The students whose parents graduated from colleges(67.5%) are seen to observe public morality best, when considering their parent's education experience and girl students(71.6%) show higher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64.9%)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ju province have comparatively high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girl students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It presents a direction for school education to head for that the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concern about traditional culture, low identity toward their school and law social responsibility and law-abiding spirit.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several proposal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education on th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of Cheju province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econd, various human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enjoy personal achievements and to become humane people who understand and help poor and troubled neighbors.
      Third, there should be education for students to internalize responsibility and law-abiding spirit by democratic procedures, and various volunteer service work programs such as all da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lass meeting, volunteer service work and campaigns for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which students can join voluntarily, should be developed as a motive to enhance community consciousness.
      Fourth, systematic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inquire into why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 lower community consciousness than girls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ii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5
      • 1. 공동체 = 5
      • 2. 공동체의식 = 8
      • 목차 = iii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5
      • 1. 공동체 = 5
      • 2. 공동체의식 = 8
      • Ⅲ. 연구 방법 = 11
      • 1. 조사 도구 = 11
      • 2. 조사대상 및 실시 = 12
      • 3. 자료 처리 = 13
      • Ⅳ. 연구 결과와 논의 = 15
      • 1. 가치관에 대한 논의 = 15
      • 2. 심리적 동일성에 대한 논의 = 29
      • 3. 협동성에 대한 논의 = 38
      • Ⅳ. 결론 = 54
      • 참고문헌 = 57
      • = 59
      • 부록 =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