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I. 서론 II. 고교평준화 정책의 주요쟁점 1. 학력의 저하 2. 사교육비 부담 3.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III. 경북지역의 고교교육 현황 IV. 경북지역 고등학교 체제의 발전방안 1. 고등학교 유형의 다양화 2. 일반고의 규모에 따른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3.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인력자원의 활용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25762
2008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7-77(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선, "현행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성과분석" 7 (7):
2 김태종, "평준화-비평준화 논의를 넘어서" 81-86, 2005
3 김기석 외,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4 강태중,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KEDI 정책포럼"
5 홍후조, "평준화 비평준화를 넘어 고교 혁신 필요" 2007
6 강태중, "특수목적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에 관련된 논란: 한 편의 정리”" 한국교육정치학회 2002
7 교육부,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건설을 위한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8 김민남 외, "참여정부의 교육혁신 방향 연구" 55-86,
9 이주호, "자립형사립학교 활성화 및 자립형 공립학교 도입방안, 자립형 학교에 대한 공청회" 2 : 1-22, 2004
10 정일환, "자립형사립고 추진과정 분석과 확대방안 탐색”, 바른교육권실천행동 정책토론회 자료집"
1 김경선, "현행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성과분석" 7 (7):
2 김태종, "평준화-비평준화 논의를 넘어서" 81-86, 2005
3 김기석 외,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4 강태중,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KEDI 정책포럼"
5 홍후조, "평준화 비평준화를 넘어 고교 혁신 필요" 2007
6 강태중, "특수목적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에 관련된 논란: 한 편의 정리”" 한국교육정치학회 2002
7 교육부,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건설을 위한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8 김민남 외, "참여정부의 교육혁신 방향 연구" 55-86,
9 이주호, "자립형사립학교 활성화 및 자립형 공립학교 도입방안, 자립형 학교에 대한 공청회" 2 : 1-22, 2004
10 정일환, "자립형사립고 추진과정 분석과 확대방안 탐색”, 바른교육권실천행동 정책토론회 자료집"
11 강영혜 외,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제도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0
12 김용호 외, "자립형 사립고교 운영 방향에 관한 연구,사학연구,제24집"
13 교육인적자원부, "자립형 사립고 시범운영방안 안내"
14 정광희 외, "일반계 고교 운영체제 다양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5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1995
16 김정래 외, "사립고등학교의 평준화 정책 적합성 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2003
17 최준렬, "김해지역 고등학교 입시제도 개선에 관한 요구, 김해지역 고교 입시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18 한국교육개발원, "김천시 교육명품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토론회 자료집"
19 "김천고등학교 중장기발전계획 연구팀,김천고등학교 중장기발전계획"
20 정일환, "교육정책론: 이론과 적용" 원미사 2000
21 정일환,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균형신장’에 대한 토론요지" 133 : 133-142, 2005
22 김미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탐색: 평준화 지역의 고등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51-89, 2005
23 서정화 외,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법률제정방안" 5 (5): 2005
24 교육부, "교육50년사" 1998
25 강인수, "고등학교 평준화제도의 헌법적합성 검토" 20 (20): 23-54, 2002
26 김윤태 외,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평가연구: 고등학교 선발고사 추첨배정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8
27 성기선,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26 (26): 1999
28 강태중,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중 3-고2 시기지출에 대한 탐색 분석"
29 김영철 외,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95
30 김병성 외,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5
31 김경선, "고등학교 평준화 보완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분석" 69~90 21 (21): 69-90, 2003
32 정일환, "고교평준화 추진에 따른 실태와 개선방안, 경북발전 연구 논문집(5)" 611-664, 2007
33 강영혜,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III),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2005
34 윤종혁 외,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1)"
35 김양분, "고교 평준화 정책과 학생 만족도" 199-215, 2005
36 김영철, "경상북도 고교입시제도 개선 방안, 경상북도 고교 입시제도 개선방안 공청회, 경북교육 진단 및 포항 고입제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자료집"
37 정일환,김경선,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제도의 추진과정 분석과 보완방안 탐색”" 20 (20): 259-281, 2002
38 Schneider, B., "“Public school choice: Some Evidence from the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988”, Education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8 (18): 19-29, 1996
39 Cobb, R., "“Agenda building as a comparative political proces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0 : 126-128, 1976
40 Boyd, W. L., "The politics of excellence and choice in education" The Falmer Press 1988
41 Cookson, "School choice: The struggle for the soul of American education" Yale University Press 1994
42 Worthen, B. R.,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Longman 1997
43 Chubb, J. E., "Politics, markets, and America’s schools, Washington" Brookings Institution 1990
44 Lasley, "Charters:A value added opportunity for urban teachers" 31 (31): 499-511, 1999
45 Liebman, J. S., ""Voice, not choice"" 101 : 259-314, 1992
교사 평가의 정치학: 새로운 교사 평가제의 도입 및 시범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96 | 1.068 | 0.26 |